•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1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최근 나흘새 온열환자 285명 보고, 매년 7월 중순부터 급증경향
◇ 10명 중 4명은 낮시간대(12~17) 실외에서 발생, 낮시간 전후로도 주의 필요
◇ 폭염특보 시 실외활동 자제 및 수분섭취, 휴식 등 건강수칙 준수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폭염, 열대야 등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됨에 따라 온열질환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온열질환 :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가 나타나며, 방치시 생명이 위태로움(일사병․열사병이 대표적)

○ 질병관리본부는「온열질환 감시*」결과(5.20~7.15) 올해 총 551건의 온열환자가 신고(사망 4명)되었으며, 최근 나흘(7.12~7.15)새 285명(52%)이 신고되어 급증세를 보고이고 있다고 밝혔다.
* 온열질환 감시 : 전국 응급의료기관(519개) 기반으로 한 표본감시체계

- 또한, 지난 5년간(2013~2017) 자료분석 결과 7월 중순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8월 중순까지(7.11~8.20) 환자의 78%(5,077명)가 집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난 5년간 온열질환자는 총 6,500명 보고되었으며, 10명 중 4명(2,588명, 40%)은 낮시간대(12~17시) 논밭‧작업현장 등 실외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폭염특보 시 낮시간대 야외활동을 가급적 자제할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낮시간대를 전후한 아침‧저녁(9시~12시, 17시~21시)에도
실외에서 2,162명(33%)의 온열질환자가 보고되었으며,

- 집안이나 작업장 등 실내에서 발생한 경우도 1,291명(20%)에 달해 폭염과 열대야가 예보되어 있는 경우에는 건강수칙 준수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하였다.

□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는 건강수칙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므로 물 자주 마시기,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등 건강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 폭염 시에는, 갈증을 느끼기 이전부터 규칙적으로 수분을 섭취하도록 하며, 어지러움, 두통, 메스꺼움 등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한다.

○ 폭염 주의보·경보가 발령되면 가능한 위험시간대(12시~17시) 활동을 줄이고, 활동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챙 넓은 모자, 밝고 헐렁한 옷 등을 착용하면 온열질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폭염 시 음주 또는 다량의 카페인 음료를 마신 후 작업하면 위험하고, 만성질환(심혈관질환, 당뇨병, 뇌졸중, 투석 등)이 있는 사람은 폭염에 더 취약할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 일사병․열사병 등 온열질환이 발생하면 즉시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옮기도록 하고, 옷을 풀고 시원한(너무 차갑지 않은) 물수건으로 닦아 체온을 내리고 의료기관을 방문한다.

○ 환자에게 수분보충은 도움 되나 의식 없는 경우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음료수를 억지로 먹이지 않도록 하며 신속히 119에 신고하여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 질병관리본부KCDC 2018-07-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53 감전 위험 있는 Vovor 핫 스테이플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2.05.02
2952 부품 탈락으로 삼킬 경우 질식 위험 있는 ZEFAL 유아용 물병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2.05.03
2951 과열 발생하는 리튬이온 배터리가 내장된 스마트워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2.06.07
2950 디지털프라자 365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2.07.08
2949 향료 HICC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수입 거부된 RASASI 남성용 향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2.12.14
2948 가을철 야외활동 때 야생진드기 매개 감염병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18.09.17
2947 생활 속 유해물질 안전정보를 알려 드려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0.11.17
2946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트레이닝 바지(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1.05.03
2945 무등록 제조 제품을 소분한 곡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1.06.29
2944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Natava Super Foods 클로렐라 가루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5.03
2943 어린이 안전사고 관련 소비자 안전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5.24
2942 900미터 이상 깊이에서 압력을 조정하지 않는 다이브 컴퓨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6.07
2941 오폐수처리장.폐기물처리시설 작업 중 화재·폭발사고 증가에 따른 경보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6.20
2940 향료 HICC 성분 존재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ANNAYAKE 향수(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3.01.13
2939 향료 HICC 성분 존재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ANNAYAKE 향수(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3.01.13
2938 가을 수확기 안전수칙 준수로 농기계 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18.10.25
2937 반려동물 부가서비스 이용 관련 소비자피해 증가 추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0.12.02
2936 고춧대 차(茶), 코로나19 예방.치료 광고에 현혹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01.19
2935 파손된 부품 크기가 작아 질식 위험 있는 Angusiasm 목욕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11.03
2934 과충전 시 발화 위험 있는 JOWAY 보조배터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11.29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