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최근 나흘새 온열환자 285명 보고, 매년 7월 중순부터 급증경향
◇ 10명 중 4명은 낮시간대(12~17) 실외에서 발생, 낮시간 전후로도 주의 필요
◇ 폭염특보 시 실외활동 자제 및 수분섭취, 휴식 등 건강수칙 준수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폭염, 열대야 등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됨에 따라 온열질환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온열질환 :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가 나타나며, 방치시 생명이 위태로움(일사병․열사병이 대표적)

○ 질병관리본부는「온열질환 감시*」결과(5.20~7.15) 올해 총 551건의 온열환자가 신고(사망 4명)되었으며, 최근 나흘(7.12~7.15)새 285명(52%)이 신고되어 급증세를 보고이고 있다고 밝혔다.
* 온열질환 감시 : 전국 응급의료기관(519개) 기반으로 한 표본감시체계

- 또한, 지난 5년간(2013~2017) 자료분석 결과 7월 중순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8월 중순까지(7.11~8.20) 환자의 78%(5,077명)가 집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난 5년간 온열질환자는 총 6,500명 보고되었으며, 10명 중 4명(2,588명, 40%)은 낮시간대(12~17시) 논밭‧작업현장 등 실외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폭염특보 시 낮시간대 야외활동을 가급적 자제할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낮시간대를 전후한 아침‧저녁(9시~12시, 17시~21시)에도
실외에서 2,162명(33%)의 온열질환자가 보고되었으며,

- 집안이나 작업장 등 실내에서 발생한 경우도 1,291명(20%)에 달해 폭염과 열대야가 예보되어 있는 경우에는 건강수칙 준수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하였다.

□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는 건강수칙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므로 물 자주 마시기,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등 건강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 폭염 시에는, 갈증을 느끼기 이전부터 규칙적으로 수분을 섭취하도록 하며, 어지러움, 두통, 메스꺼움 등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한다.

○ 폭염 주의보·경보가 발령되면 가능한 위험시간대(12시~17시) 활동을 줄이고, 활동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챙 넓은 모자, 밝고 헐렁한 옷 등을 착용하면 온열질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폭염 시 음주 또는 다량의 카페인 음료를 마신 후 작업하면 위험하고, 만성질환(심혈관질환, 당뇨병, 뇌졸중, 투석 등)이 있는 사람은 폭염에 더 취약할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 일사병․열사병 등 온열질환이 발생하면 즉시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옮기도록 하고, 옷을 풀고 시원한(너무 차갑지 않은) 물수건으로 닦아 체온을 내리고 의료기관을 방문한다.

○ 환자에게 수분보충은 도움 되나 의식 없는 경우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음료수를 억지로 먹이지 않도록 하며 신속히 119에 신고하여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 질병관리본부KCDC 2018-07-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51 포장 비닐 및 소형 부품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개구리 저울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07.19
3250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JIF 땅콩버터(18)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07.22
3249 살모넬라 오염가능성 있는 초콜릿(9)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07.21
3248 해외주식 거래 관련 투자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08.22
3247 알러지 및 접촉성 피부염 유발 성분 함유된 Al Haramain 향수(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0.18
3246 단추형 전지 노출되어 삼킬 경우 사망 위험 있는 LED 머리띠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2.15
3245 손가락 끼임 위험 있는 People 유아용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2.15
3244 겨울 스포츠 안전사고 발생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2.21
3243 '콘센트·전원플러그 안전 사용’을 위한 소비자정보 제작·보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2.22
3242 파트너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3.01.11
3241 금속 이물질 혼입돼 부상 위험 있어 리콜된 Chupa Chups 사탕세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3.01.12
3240 과산화수소 과다 검출된 Crest 치아미백스트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3.07.13
3239 불이 붙을 위험이 있는 Tempur 여행용 베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3.09.18
3238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 성분이 포함된 Sante 안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3.09.19
3237 올해 일본뇌염 첫 의사환자 발생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09.07
3236 필터링 기능 테스트 받지 않은 AIR Queen 마스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11.14
3235 향료 HICC 성분 존재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Orlane 세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12.07
3234 2-클로로에탄올 존재 가능성 있어 리콜된 Seitenbacher 피트니스 바(식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12.08
3233 긴 끈으로 인해 영유아 목졸림 위험 있는 Konig Kids 모빌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12.09
3232 벤젠 검출 가능성 있는 Bed Head 드라이 샴푸(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12.13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