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지난 6월 17일 북한산국립공원 인근에서 포획된 야생멧돼지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 장마철 이후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휴가철을 맞이하여 정해진 탐방로 이용 등 야생진드기와 야생동물 접촉 주의 안내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 6월 17일 북한산국립공원 인근에서 포획된 야생멧돼지 2마리를 검사한 결과, 1마리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이하 SFTS)'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7월 6일 밝혔다.

※ SFTS(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으로, 고열과 함께 혈소판이 감소하는 것이 특징

SFTS 감염의 주요 매개체인 작은소피참진드기(이하 야생진드기)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여름 휴가철을 맞아 야외활동 시 주의가 요구된다.

SFTS는 주로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야생진드기에 물려 감염된다. 이 야생진드기는 수풀이 우거진 곳에서 활동하다가 야생동물을 흡혈하며 증식하고, 이 과정에서 야생동물과 진드기 간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야생동물이 직접 사람에게 감염시킨 사례는 보고된 바 없다. 다만, 야생진드기는 야생동물의 몸에 붙어 생활하기도 하므로 야생동물과 접촉할 경우 야생진드기가 사람에게 옮겨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국립환경과학원이 2016년~2018년 3월~12월의 인천 및 전북지역의 작은소피참진드기의 SFTS 바이러스 보유 여부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중 0.7%가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에 포획된 어린 멧돼지 2마리는 멧돼지 출현이 잦은 북한산 일대를 대상으로 환경부가 국립공원관리공단 등 관계기관과 함께 '멧돼지는 산으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과정 중에 서울 도봉구 지역에서 잡힌 개체들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야생포유류 감염병 조기감시 사업의 하나로, 2016년부터 멧돼지 등 야생동물에 대한 SFTS, 돼지인플루엔자, 돼지열병, 구제역 등 4종의 질병을 진단해오고 있다. 올해의 경우, 멧돼지 총 13마리에 대해 질병을 조사했으며, 이번 북한산 인근에서 포획된 2마리 중 1마리의 '비장'에서 SFTS 바이러스 유전자를 7월 3일 최종적으로 확인했다.

※ 2018년 1월 이후 총 13건의 멧돼지 질병진단(포획 10, 사체 3)

국립환경과학원은 이번 검출결과를 질병관리본부, 농림축산식품부, 국립공원관리공단 및 지자체 등 관련 기관에 7월 4일 통보했다.

정원화 국립환경과학원 생물안전연구팀장은 "장마철 이후 여름 휴가철에는 야생진드기의 활동이 다시 활발해지기 때문에 야외에서 활동할 때 야생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야생동물과의 접촉도 피해야 한다"라며, "안전보건공단 등 관계기관에서 제공하는 예방관리 수칙을 준수하면 SFTS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 작은소피참진드기 활동시기 : 4~11월, 집중발생기 7~10월   

환경부는 SFTS의 안전·예방 수칙을 담은 현수막을 전국 국립공원 주요 탐방로에 걸고, 탐방 안내소에 책자를 비치할 계획이다. 아울러, 전국 지자체 및 관련 기관에도 책자를 배포하고 주민센터 민원실 등에 비치하여 국민들에게 알릴 계획이다.
※ 환경부(http://www.me.go.kr), 국립환경과학원(http://www.nier.go.kr), 국립공원관리공단(http://www.knps.or.kr) 누리집에도 게시

또한, 야생동물 매개 질병 관리의 강화를 위해, SFTS 바이러스 검출결과를 신속하게 공유하는 등 관계기관과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야생동물에 의한 질병 전파 예방 및 저감을 위해, 진드기 퇴치 방안과 천연기피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이번에 야생멧돼지에서 SFTS 바이러스가 검출됨에 따라 야생동물의 SFTS 감염실태 조사를 강화할 예정이다.



[ 환경부 2018-07-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58 B형 인플루엔자 유행 증가세, 지금이라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8 2024.02.01
4057 이런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8 2024.02.01
4056 의약외품 액상소화제 용법·용량에 맞춰 복용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5 2024.01.31
4055 설 선물 구매할 때 허위.과대.부당 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3 2024.01.31
4054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1 2024.01.31
4053 불법 채권추심 관련 3차 금융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4 2024.01.30
4052 화재 위험 있는 MASPRO 보안 카메라 및 모니터 세트(WHC10M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2 2024.01.25
4051 화재 위험 있는 MASPRO 보안 카메라 및 모니터 세트(WHC7M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6 2024.01.25
4050 고무볼 혼입 가능성이 있는 Branston 콩 통조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6 2024.01.25
4049 ‘온라인에서 성행하는 유령 유사수신 업체’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6 2024.01.25
4048 매년 증가하는 스키·스노보드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7 2024.01.24
4047 녹말 이쑤시개는 식품이 아닙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8 2024.01.24
4046 롯데ON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6 2024.01.24
4045 웁스(WHOOPS)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2 2024.01.23
4044 미신고(불법) 거래소를 통한 투자권유, 투자금만 받고 출금은 거부하는 사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1 2024.01.22
4043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3 2024.01.22
4042 유명 패션브랜드 모방한 사칭사이트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5 2024.01.22
4041 어그(UGG) 부츠 판매하는 사기의심 해외쇼핑몰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1 2024.01.22
4040 방통위, 갤럭시 S24 이용자 사기 피해 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6 2024.01.18
4039 ‘무늬만’ 신규사업, 불공정거래 집중조사 및 투자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6 2024.01.18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266 Next
/ 26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