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지난 6월 17일 북한산국립공원 인근에서 포획된 야생멧돼지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 장마철 이후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휴가철을 맞이하여 정해진 탐방로 이용 등 야생진드기와 야생동물 접촉 주의 안내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 6월 17일 북한산국립공원 인근에서 포획된 야생멧돼지 2마리를 검사한 결과, 1마리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이하 SFTS)'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7월 6일 밝혔다.

※ SFTS(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으로, 고열과 함께 혈소판이 감소하는 것이 특징

SFTS 감염의 주요 매개체인 작은소피참진드기(이하 야생진드기)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여름 휴가철을 맞아 야외활동 시 주의가 요구된다.

SFTS는 주로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야생진드기에 물려 감염된다. 이 야생진드기는 수풀이 우거진 곳에서 활동하다가 야생동물을 흡혈하며 증식하고, 이 과정에서 야생동물과 진드기 간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야생동물이 직접 사람에게 감염시킨 사례는 보고된 바 없다. 다만, 야생진드기는 야생동물의 몸에 붙어 생활하기도 하므로 야생동물과 접촉할 경우 야생진드기가 사람에게 옮겨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국립환경과학원이 2016년~2018년 3월~12월의 인천 및 전북지역의 작은소피참진드기의 SFTS 바이러스 보유 여부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중 0.7%가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에 포획된 어린 멧돼지 2마리는 멧돼지 출현이 잦은 북한산 일대를 대상으로 환경부가 국립공원관리공단 등 관계기관과 함께 '멧돼지는 산으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과정 중에 서울 도봉구 지역에서 잡힌 개체들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야생포유류 감염병 조기감시 사업의 하나로, 2016년부터 멧돼지 등 야생동물에 대한 SFTS, 돼지인플루엔자, 돼지열병, 구제역 등 4종의 질병을 진단해오고 있다. 올해의 경우, 멧돼지 총 13마리에 대해 질병을 조사했으며, 이번 북한산 인근에서 포획된 2마리 중 1마리의 '비장'에서 SFTS 바이러스 유전자를 7월 3일 최종적으로 확인했다.

※ 2018년 1월 이후 총 13건의 멧돼지 질병진단(포획 10, 사체 3)

국립환경과학원은 이번 검출결과를 질병관리본부, 농림축산식품부, 국립공원관리공단 및 지자체 등 관련 기관에 7월 4일 통보했다.

정원화 국립환경과학원 생물안전연구팀장은 "장마철 이후 여름 휴가철에는 야생진드기의 활동이 다시 활발해지기 때문에 야외에서 활동할 때 야생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야생동물과의 접촉도 피해야 한다"라며, "안전보건공단 등 관계기관에서 제공하는 예방관리 수칙을 준수하면 SFTS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 작은소피참진드기 활동시기 : 4~11월, 집중발생기 7~10월   

환경부는 SFTS의 안전·예방 수칙을 담은 현수막을 전국 국립공원 주요 탐방로에 걸고, 탐방 안내소에 책자를 비치할 계획이다. 아울러, 전국 지자체 및 관련 기관에도 책자를 배포하고 주민센터 민원실 등에 비치하여 국민들에게 알릴 계획이다.
※ 환경부(http://www.me.go.kr), 국립환경과학원(http://www.nier.go.kr), 국립공원관리공단(http://www.knps.or.kr) 누리집에도 게시

또한, 야생동물 매개 질병 관리의 강화를 위해, SFTS 바이러스 검출결과를 신속하게 공유하는 등 관계기관과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야생동물에 의한 질병 전파 예방 및 저감을 위해, 진드기 퇴치 방안과 천연기피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이번에 야생멧돼지에서 SFTS 바이러스가 검출됨에 따라 야생동물의 SFTS 감염실태 조사를 강화할 예정이다.



[ 환경부 2018-07-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91 의약품 안전하게 사용하고 올바르게 구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0 2022.05.02
3090 의약품 성분 함유된 The Grind 운동 보조제(아이스 체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4.02.15
3089 의약품 성분 함유된 The Grind 운동 보조제(아이스 블루 라즈베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4.02.15
3088 의약품 성분 검출된 속눈썹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7.13
3087 의약품 부작용인가요? '약물안전카드'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0.08.28
3086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14-3330로 전화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1.01.20
3085 의약외품 액상소화제 용법·용량에 맞춰 복용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4.01.31
3084 의심하고, 끊고,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04.24
3083 의류제품 소비자분쟁, 절반 이상이 사업자 책임으로 나타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90 2017.03.31
3082 의류쇼핑몰 선남선녀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3.05.22
3081 의류쇼핑몰 XXXSOCFF(스코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08.28
3080 의류·신발 등 전자상거래 주문제작 상품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0 2018.11.05
3079 의료기기인 '모유착유기',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19.05.02
3078 의료기기 온라인 중고거래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1.08.13
3077 의료기기 부작용 공개 확대..."제품별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19.01.29
3076 의료기관 폐업으로 인한 소비자피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1.12.01
3075 의도하지 않게 발효돼 알코올 있어 리콜된 Copenhagen 탄산음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3.01.13
3074 음식물처리기 사용 관련 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05.31
3073 으뜸전자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0.20
3072 육교 승강기, 관리감독 안되고 안전성도 문제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5 2017.09.07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