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르면 내년부터 고향사랑 상품권을 모바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온・오프라인에서 결제수단으로 쓸 수 있을 뿐 아니라 ‘선물하기’도 가능해진다.

현행 상품권은 대부분 종이 상품권으로, 온라인 및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이 어렵고 해당지역에 방문해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이제 전국의 소비자가 어디서나 모바일상품권을 구매하여 온라인・모바일을 통해 사용이 가능하게 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와 한국조폐공사(사장 조용만)는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고향사랑 상품권 모바일 운영체제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조폐공사는 60년 이상의 유가증권 등 제조경험과 위・변조 방지 노하우를 바탕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보안성이 높은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상품권 운영체제를 개발하고,

행안부는 지자체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각 지자체별 수요를 모바일 상품권 운영체제 개발에 반영하는 한편, 개발된 운영체제를 지자체에 보급・확산시킬 계획이다.

모바일 고향사랑 상품권 운영체제 개발을 통해 상품권 사용자, 지역 소상공인 및 영세자영업자 등 가맹점, 발행 지자체 모두 효용이 크게 증가할 것이다.

상품권 사용자는 충전형, 정액형, 복지이용권(바우처) 등 모바일 기반의 다양한 형태로 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선물하기도 할 수 있게 된다.

가맹점은 신청・등록 절차를 편리하게 일괄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새로운 결제 수단을 갖추게 되어 전국의 소비자를 상대로 판매가 가능하여 영업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자체도 사용자・가맹점 정보를 통합관리 할 수 있게 되어 가맹점 등록・심사・관리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복지수당의 접수・심사・관리도 간소화될 전망이다. 또한 공통 운영체제 구축으로 개별 지자체의 과도한 중복 재정투자 없이도 모바일 운영체제 공급이 가능하다.

모바일 운영체제 구축을 통해 고향사랑 상품권이 활성화되면 지역 내 소비를 장려하고 지역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소득 증대에 기여해 골목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할 것이다.

지자체별로 운영하고 있는 각종 지역특산물 쇼핑몰, 정보화마을(327개)과 사회적 기업(1,978개) 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하여 고향사랑 상품권을 결제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지역농산물 및 사회적기업 생산특산물 등 온라인 판매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행정안전부는 향후에도 국정과제인 ‘소상공인・자영업자 역량 강화’ 대책의 일환으로 지자체의 상품권 발행을 적극 권장하고, 지원 방안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며, 올해 중 상품권 도입 및 활용에 관한 근거법령 제정을 추진*하고 표준 조례안을 제공할 예정이다.
* 「고향사랑 상품권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연내 제정 추진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번 협약체결이 모바일시대에 맞춰 고향사랑 상품권의 발행・유통을 혁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지역 소상공인 소득 증대와 골목상권 살리기에 적극 동참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고향사랑 상품권은 지자체가 발행하고 해당 지역에서만 사용가능한 상품권으로 기초 지자체 중심으로 전국 61개 지자체에서 운용하고 있으며 점차 도입하는 지자체가 확산되는 추세이다. 2017년 한 해 동안 한국조폐공사 공급액 기준 3,100억 원 규모로 발행되었다.


[ 행정안전부 2018-07-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45 ‘어린이 통학버스 운전자 하차확인장치 작동의무’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5 50
5644 긴급한 환자 전원, 보다 신속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7 50
5643 ‘디엠지(DMZ) 평화의 길’ 철원 구간 6월 1일부터 개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0 50
5642 영양플러스사업으로 임신부·영유아 영양상태 개선됐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7 50
5641 소상공인 부담 완화 위해 지방공공기관 결제수단 확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7 50
5640 올해 9월부터 신규 500세대 이상 아파트에 국공립어린이집이 설치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9 50
5639 생리대 착향제 중 알레르기 유발 성분 표시 의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0 50
5638 납 기준 초과 검출 '과.채주스'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9 50
5637 여름휴가 기간, 인터넷 사기 단속강화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0 50
5636 디부틸프탈레이트 기준 초과 수입 머그컵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3 50
5635 분실한 주민등록증, 습득여부 확인 서비스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6 50
5634 데이터 3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30 50
5633 아동·청소년성착취물 구입·시청하면 처벌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1 50
5632 어린이 보호구역 불법 주정차 주민신고제 전국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9 50
5631 7월1일부터 방문서비스 종사자 및 화물차주도 산재보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9 50
Board Pagination Prev 1 ...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