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린이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자석 삼킴사고가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자석완구 등이 유통되고 있어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5년 3개월간(‘13년~’18년3월) 한국소비자원 소비자 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자석 관련 어린이사고는 총 222건이며, 이 중 만 5세 이하 사고가 181건(81.5%), 삼킴사고가 188건(84.7%)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시중에 유통·판매되고 있는 자석완구 등 58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및 표시실태를 조사했다.

* 완구 및 어린이장신구 36개 제품(자석완구 29개, 자석귀걸이 7개), 기타 자석 22개 제품(소형강력자석세트 11개, 자석메모홀더 11개)

조사대상 자석완구 10개 중 6개 제품은 안전사고 위험 높아

자력이 센 자석 2개 이상을 삼키거나 자성이 있는 금속과 자석을 함께 삼켰을 경우, 장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해 장 천공·폐색 등이 유발되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완구에서 분리되는 자석 또는 자석부품은 어린이가 삼킬 수 없는 크기이거나 자속지수(자석의 세기)를 50kG²mm² 미만으로 제한*하고 있다.

* 「어린이제품 안전 특별법」 안전확인 안전기준 부속서 6(완구),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

그러나 작은부품 시험·합리적 오용시험·자속지수 시험 등 안전성 시험 결과, 조사대상 58개 중 37개(63.8%) 제품이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관리대상 자석완구 및 자석귀걸이 36개 중 25개 제품은 자석 또는 자석부품이 어린이가 삼킬 수 있는 크기였고, 이 중 15개 제품은 자속지수가 완구 안전기준(50kG²mm² 미만)을 최소 3배(176kG²mm²)에서 최대 45배(2,298kG²mm²)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가 완구처럼 가지고 놀 수 있는 ‘소형강력자석세트*’ 및 ‘자석메모홀더’ 22개 전 제품은 어린이가 삼킬 수 있는 크기이면서 자속지수가 완구 안전기준을 최소 1.4배(71kG²mm²)에서 최대 25배(1,277kG²mm²) 초과했다.

* ‘소형강력자석세트’는 자력이 매우 강한 3mm~5mm 크기의 작은 자석구슬들로 구성돼 있으며, ‘네오큐브’등의 명칭으로 판매됨.

[ 자석완구 등 안전성시험 결과]

구 분

조사대상
제품수

작은부품

실린더*
잠기는 제품수

자속지수 시험(kG²mm²)**

안전기준

기준초과 제품
자속지수 측정

범위

기준초과 제품수

완구 및 어린이장신구

36

25

50미만

176~2,298

15

기타 자석제품 (소형강력자석세트 및

자석메모홀더)

22

22

71~1,277

 

* 어린이가 삼킬 수 있는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지름 31.7mm, 좌편 25.4mm, 우편 57.1mm의 원통형 기구

** 자속지수시험은 ‘작은부품 실린더에 잠기는 제품’을 대상으로 실시

해외에서 리콜되는 자석제품, 우리나라는 규제 없이 유통되고 있어

유럽연합 등은 어린이가 삼킬 경우 장 천공 등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자력이 강한 ‘소형강력자석세트’, 어린이가 완구로 오인할 수 있는 모양의 ‘자석메모홀더’ 등은 사용 연령과 관계없이 완구 안전기준을 적용해 적극적인 리콜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조사대상 ‘소형강력자석세트’ 및 ‘자석메모홀더’ 22개 전 제품이 완구 안전기준에 부적합했고, 일부 ‘소형강력자석세트’의 경우 “아이들의 장난감”, “아이들 집중력 향상” 등의 문구를 사용하며 완구로 광고하고 있음에도 아무런 규제 없이 유통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석완구 등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기술표준원에 ▲자석완구 등의 관리·감독 강화, ▲미인증 제품에 대한 시장 모니터링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8-07-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91 감전 위험있는 Tumakou 고주파 미용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2.15
4190 배터리팩 PCB 보드 단락 위험이 있는 Laiben 핸디 진공청소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2.20
4189 미허용 감미료 검출된 Super Bubur 인스턴트 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2.29
4188 알레르기 유발물질 미표시 ‘엿류’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2.29
4187 납으로 때운 부위에 납이 과도하게 함유된 WAHL 헤어클리퍼(바리깡)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3.15
4186 라벨 미표기 알레르기 유발물질(땅콩) 함유된 Biona Organic 캐슈넛 버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3.27
4185 식약처, 끓인 음식도 식중독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3.29
4184 해외직구를 통한 건강식품 소비자 구매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4.01
4183 전국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4.01
4182 전기 스파크나 아크 발생으로 감전 위험성 있는 예초기(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4.03
4181 역류에 의한 질식 위험이 있는 디지털 탕온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5.20
4180 오디오 프롬프트가 손상될 위험이 있는 제세동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5.20
4179 로또 당첨번호 예측서비스, 소비자피해 여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5.29
4178 눈 마사지기 1개 제품, 안전기준 부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3.11.16
4177 부품 탈락으로 아동의 질식 위험 가능성 있는 Wild Republic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3.11.20
4176 다른 제품이 혼입된 오쿠라 샤인머스캣만 캔디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3.11.21
4175 포장 요건 위반한 Krylon 그림용도 고정용 스프레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3.12.18
4174 삼킴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ZDZBLX 자석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3.12.19
4173 단락 발생 위험 있는 Nuby 야간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1.05
4172 배터리 열 보호 장치 미비한 Kuzupro 무선드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1.04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