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린이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자석 삼킴사고가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자석완구 등이 유통되고 있어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5년 3개월간(‘13년~’18년3월) 한국소비자원 소비자 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자석 관련 어린이사고는 총 222건이며, 이 중 만 5세 이하 사고가 181건(81.5%), 삼킴사고가 188건(84.7%)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시중에 유통·판매되고 있는 자석완구 등 58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및 표시실태를 조사했다.

* 완구 및 어린이장신구 36개 제품(자석완구 29개, 자석귀걸이 7개), 기타 자석 22개 제품(소형강력자석세트 11개, 자석메모홀더 11개)

조사대상 자석완구 10개 중 6개 제품은 안전사고 위험 높아

자력이 센 자석 2개 이상을 삼키거나 자성이 있는 금속과 자석을 함께 삼켰을 경우, 장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해 장 천공·폐색 등이 유발되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완구에서 분리되는 자석 또는 자석부품은 어린이가 삼킬 수 없는 크기이거나 자속지수(자석의 세기)를 50kG²mm² 미만으로 제한*하고 있다.

* 「어린이제품 안전 특별법」 안전확인 안전기준 부속서 6(완구),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

그러나 작은부품 시험·합리적 오용시험·자속지수 시험 등 안전성 시험 결과, 조사대상 58개 중 37개(63.8%) 제품이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관리대상 자석완구 및 자석귀걸이 36개 중 25개 제품은 자석 또는 자석부품이 어린이가 삼킬 수 있는 크기였고, 이 중 15개 제품은 자속지수가 완구 안전기준(50kG²mm² 미만)을 최소 3배(176kG²mm²)에서 최대 45배(2,298kG²mm²)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가 완구처럼 가지고 놀 수 있는 ‘소형강력자석세트*’ 및 ‘자석메모홀더’ 22개 전 제품은 어린이가 삼킬 수 있는 크기이면서 자속지수가 완구 안전기준을 최소 1.4배(71kG²mm²)에서 최대 25배(1,277kG²mm²) 초과했다.

* ‘소형강력자석세트’는 자력이 매우 강한 3mm~5mm 크기의 작은 자석구슬들로 구성돼 있으며, ‘네오큐브’등의 명칭으로 판매됨.

[ 자석완구 등 안전성시험 결과]

구 분

조사대상
제품수

작은부품

실린더*
잠기는 제품수

자속지수 시험(kG²mm²)**

안전기준

기준초과 제품
자속지수 측정

범위

기준초과 제품수

완구 및 어린이장신구

36

25

50미만

176~2,298

15

기타 자석제품 (소형강력자석세트 및

자석메모홀더)

22

22

71~1,277

 

* 어린이가 삼킬 수 있는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지름 31.7mm, 좌편 25.4mm, 우편 57.1mm의 원통형 기구

** 자속지수시험은 ‘작은부품 실린더에 잠기는 제품’을 대상으로 실시

해외에서 리콜되는 자석제품, 우리나라는 규제 없이 유통되고 있어

유럽연합 등은 어린이가 삼킬 경우 장 천공 등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자력이 강한 ‘소형강력자석세트’, 어린이가 완구로 오인할 수 있는 모양의 ‘자석메모홀더’ 등은 사용 연령과 관계없이 완구 안전기준을 적용해 적극적인 리콜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조사대상 ‘소형강력자석세트’ 및 ‘자석메모홀더’ 22개 전 제품이 완구 안전기준에 부적합했고, 일부 ‘소형강력자석세트’의 경우 “아이들의 장난감”, “아이들 집중력 향상” 등의 문구를 사용하며 완구로 광고하고 있음에도 아무런 규제 없이 유통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석완구 등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기술표준원에 ▲자석완구 등의 관리·감독 강화, ▲미인증 제품에 대한 시장 모니터링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8-07-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51 스마트 도어록 선택 요령 및 사용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07.07
3150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09.16
3149 라벨 미표기된 성분(달걀) 함유한 Barilla 라자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09.30
3148 트리스(2-메톡시에톡시)비닐실란 과다 함유한 MANNOL 실리콘 밀폐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10.17
3147 벤젠 검출된 Bed Head 드라이 샴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12.06
3146 허용치 초과 에틸렌옥사이드 함유해 리콜된 Now Foods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12.06
3145 유해 물질 검출된 YCOO 로봇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3.04.24
3144 이물질(유리조각)이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Jean Herve 아몬드 스프레드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3.09.19
3143 TBHQ 성분 함유된 Natural Life 프로폴리스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0.11.23
3142 제품 일부 탈락으로 질식 위험 있는 Disney 토이스토리 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0.11.23
3141 유해물질 검출된 Sportmix 개사료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1.02.26
3140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후드티(3)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1.05.03
3139 식품 모방 화장품 섭취.삼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1.06.04
3138 기준을 초과한 프탈레이트를 함유한 봉제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1.11.04
3137 발화 위험이 있는 PACATTO 충전식 연필깎이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2.12.08
3136 벤젠 검출 가능성 있는 Dove 드라이 샴푸(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2.12.15
3135 작동하지 않는 Petrico 연기 및 일산화탄소 감지ㆍ경보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3.05.26
3134 메르스 확진자 발생에 따라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18.09.10
3133 올 겨울에는 내 주변 눈치우기 꼭 실천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18.11.29
3132 에틸렌옥사이드가 검출된 Pukka 강황 건강보충제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1.11.04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