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전남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가 전체 모기밀도의 50% 이상

야외활동시 밝은 색 긴 옷 착용하고, 노출부위엔 모기기피제 사용하세요!

생후 12개월∼12세 자녀는 일정에 맞춰 꼭 예방접종하세요!

안전한 환경을 위해 유충서식지(고인 물)를 없애는 등 모기방제 함께 하세요!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모기감시결과 전남지역에서 일본뇌염매개모기 (작은빨간집모기*)가 경보발령기준 이상**으로 발견되어 7월 6일(금)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하였다.

*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

**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수 중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 모기밀도의 50% 이상 일 때 경보발령

<작은빨간집모기>

  • 작은빨간집모기는 전체적으로 암갈색을 띠고 뚜렷한 무늬가 없으며, 주둥이의 중앙에 넓은 백색 띠가 있는 소형모기(약4.5mm)
  • 모든 작은빨간집모기가 일본뇌염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지는 않음

전남지역에서 7월 3일 채집된 모기 중 작은빨간집모기의 하루 평균 채집 개체수가 962마리로 전체 모기의 64.7%를 차지하였다.

일본뇌염은 효과적인 예방백신이 있어 일본뇌염 국가예방접종 지원 대상이 되는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어린이*는 표준일정에 맞춰 예방접종을 완료하여야 한다.

* 만 12세 이하는 보건소 및 전국 1만여 지정 의료기관에서 주소지에 관계없이 무료접종

구 분

일본뇌염 예방접종 실시기준 

불활성화 백신

 5 접종

13(생후 1235개월)

4(6), 5(12)

생백신

 2 접종

12(생후 1235개월)


아울러, 모든 성인에 대해 예방접종이 권고되지는 않지만, 면역력이 없고 모기 노출에 따른 감염 위험이 높은 대상자*의 경우 예방접종이 권장된다.

*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성인 중 ① 위험지역(논, 돼지 축사 인근)에 거주하거나 전파시기에 위험지역에서 활동 예정인 경우, ② 비유행 지역에서 이주하여 국내에 장기 거주할 외국인, ③ 일본뇌염 유행국가** 여행자, ④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는 실험실

출처) 1.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제5판). 2017.
2. 질병관리본부.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 2012.

** 일본뇌염 유행국가: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네팔, 파키스탄, 베트남, 태국, 필리핀, 스리랑카, 말레이시아, 미얀마, 일본 등 아시아 국가 지역

※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희망하는 성인의 경우, 의료기관애서 유료접종(접종 백신 및 횟수 등은 의사와 상담 후 결정) 가능

최근 10년간 일본뇌염 감시 결과, 환자 수는 연간 평균 20건 내외로 발생하고 있으며, 신고된 환자의 90%가 40세 이상으로 나타나 해당 연령층에서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아울러, 야외 활동 시와 가정에서 아래의 모기회피 및 방제요령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첫째, 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의 옷을 입어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모기가 흡혈하지 못하게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둘째, 노출된 피부나 옷, 신발상단, 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고, 야외 활동 시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셋째,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 또는 모기장을 사용하고, 캠핑 등으로 야외 취침 시에도 텐트 안에 모기 기피제가 처리된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넷째, 매개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집주변의 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에 고인 물을 없애서 모기가 서식하지 못하게 한다.



[ 보건복지부 2018-07-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251 성분 오표기된 CAC 아이라이너 펜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2.11.14
2250 성분 오표기된 CAC 블러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1.14
2249 성분 규격 위반의 우려가 있는 Victory Water 생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5.20
2248 성기능표방 해외직구 제품에서 비아그라 성분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0.11.12
2247 설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9.01.31
2246 설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0.01.16
2245 설명자료(한국일보 『미국산 계란 유통기한 30일? 45일? 60일?』보도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08 2017.01.24
2244 설명자료 (연합뉴스『인기 다이어트 제품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간손상 위험』보도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06 2016.09.07
2243 설레는 봄 축제! 안전 먼저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23.04.03
2242 설레는 봄 산행,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4.04
2241 설계 사양과 다른 회로 혼입된 YAZAWA LED 스탠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1.07.28
2240 설 연휴, 아프거나 다쳐도 걱정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02.13
2239 설 연휴 항공, 택배, 상품권, 소비자피해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19.04.01
2238 설 연휴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0.01.14
2237 설 연휴 기간 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18.02.13
2236 설 연휴 국내외 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19.01.29
2235 설 선물 구매할 때 허위.과대.부당 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4.01.31
2234 설 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2.01.26
2233 설 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3.01.17
2232 설 명절, 감염병 예방수칙은 꼭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0.01.23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