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1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유럽 등 홍역유행 … 여행전 예방접종 필수

유럽, 중국 등 여행 계획이 있는 사람은 미리 예방접종을 받고 출국

입국 시 발열, 발진 등 증상이 있는 경우 국립검역소 검역관에게 신고

귀가 후 홍역 의심 증상(발열, 발진 등)이 있을 경우 ☎1339에 문의

생후12개월∼만12세 어린이 표준예방접종일정 준수하여 접종 완료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유럽, 중국 등에서 홍역* 발생이 지속됨에 따라 여름철 방학·휴가기간을 맞이하여 해당 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경우, 사전 예방접종력을 확인하여 미 접종자는 접종 후 출국 할 것을 당부하였다.

* 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높은 감염병으로 발열, 기침, 콧물, 결막염을 시작으로 특징적인 구강 점막에 Koplik 반점에 이어 특징적인 발진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

**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해외질병-국가별 정보 참고【☞ 유행지역 여행 대비 홍역백신 접종 안내(붙임 1)】

유럽지역 홍역은 2016년 루마니아에서 유행이 시작된 후 현재까지 프랑스, 이탈리아, 그리스, 우크라이나 등에서 유행이 지속 되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인 중국, 말레이시아, 필리핀에서 발생률이 높다(붙임 2).

우리나라는 2014년 세계보건기구로부터 홍역 퇴치 국가로 인증을 받았으며, 이후 국외 유입으로 인한 사례가 발생하고 있고,

‘18년 5월에도 국외 유입으로 인해 학교*와 의료기관**에서 집단유행이 발생하였으나 각 3명의 환자가 발생한 이후 추가 환자는 없었다.

* 서울 소재 학교에서 발생, 확진 환자 총 3명 발생

** 중국 거주 한국인이 감염상태에서 입국하여 경기도 소재 의료기관에서 확진, 의료기관 접촉자에서 추가 2명 발생하여 총 3명 발생

질병관리본부는 홍역은 예방접종으로 충분히 예방 가능하므로 일정에 맞춰 예방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노출 전 MMR* 백신을 2회 모두 접종완료 하였는지 반드시 확인할 것을 권고하였다(붙임 1).

* MMR: 홍역(Measles), 볼거리(Mumps), 풍진(Rubella) 혼합백신

예방접종력 확인* 결과, 2회 접종을 완료하지 않았거나 접종 여부가 불확실한 경우 2회 접종(최소 4주 간격)을 완료하고, 12개월보다 어린 생후 6∼11개월 영아**라도 1회 접종 후 출국하는 것이 필요하다.

* 과거 홍역을 앓았던 경우, 홍역항체가 양성인 경우 또는 만 51세 이상인 경우는 접종 불필요

** 6∼11개월 접종 시 생후 12개월 이후 1회 재접종이 필요하며, 2차접종은 권장 접종일정(만4∼6세)에 접종 완료할 것

아울러, 국외 유입으로 인한 홍역환자가 의료기관 방문이 가능하므로 의료기관 방문 시 환자확인이 필요하며, 의료기관 종사자도 예방접종력 확인결과에 따라 MMR 백신의 2회 접종완료를 강조하였다.

보건당국은 우리나라의 경우 어린이 홍역(MMR) 예방 접종률*(1차 97.8%, 2차 98.2%)이 높아 국외에서 홍역바이러스가 유입 되더라도 대규모 유행 가능성은 매우 낮으나 면역력이 충분하지 못한 사람들에서 소규모의 환자 발생이 있을 수 있다면서

* 자료원: 2016년 전국 예방접종률 현황, 2017년 취학아동 예방접종 확인사업 결과

국외여행 중에는 손 씻기 및 기침예절 지키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고

홍역 유행국가를 방문한 후 입국시 발열, 발진 증상이 있을 경우 국립검역소 검역관에게 신고하며,

귀가 후 홍역(잠복기 7~21일) 의심 증상(발열, 발진 등)이 나타날 경우,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에 문의하여 안내에 따라 의료기관을 방문하도록 당부하였다.

아울러, 국내에 홍역 환자가 유입된 후에는 조기 발견이 중요하므로 의료기관에서는 발열, 발진 환자 진료 시 홍역 가능성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홍역이 의심되면 관할 보건소에 신고해 줄 것을 요청했다.



[ 보건복지부 2018-07-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11 품질 문제 있는 엽산 함유한 BetterYou 구강 스프레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1.01.27
3010 일본뇌염 환자 발생에 따른 주의 당부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0.10.16
3009 소상공인 대상 금융지원 등을 가장한 보이스피싱 주의(소비자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0.04.08
3008 코로나19 관련 마스크 사용 개정 권고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0.03.10
3007 베이비 모니터 설치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0.02.04
3006 감염병 예방수칙 지켜 건강한 설 명절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0.01.16
3005 질병관리본부, ‘일본뇌염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9.07.22
3004 국세청 사칭, 이메일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9.06.03
3003 Peg Perego 승용완구, 납·카드뮴 함유되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9.05.16
3002 일상화 되고 있는 임플란트, 보험사기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8.05.24
3001 학생들의 신학기 학교생활 시작, 인플루엔자·수두·유행성이하선염 등 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8.03.02
3000 방문판매 교육서비스, 위약금 과다 등 계약해지 관련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7.10.20
2999 단락에 의한 발화 가능성 있는 FB-507 전기면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3.04.06
2998 금지 성분인 하이드로퀴논이 포함된 Fair & White 세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3.04.05
2997 접지 미흡으로 감전 위험 있는 Puhui 히터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3.03.13
2996 사용 금지된 요오드화염을 함유한 조미상사 후리카케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1.12.27
2995 “휴대폰 허위·과장광고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10.19
2994 어린이보호포장 미비한 에코폭시(EcoPoxy) 에폭시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07.01
2993 유해물질 검출된 SCARPA 암벽화 리콜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04.13
2992 P2P 투자하기 전, 투자자 유의사항을 꼭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03.23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