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1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유럽 등 홍역유행 … 여행전 예방접종 필수

유럽, 중국 등 여행 계획이 있는 사람은 미리 예방접종을 받고 출국

입국 시 발열, 발진 등 증상이 있는 경우 국립검역소 검역관에게 신고

귀가 후 홍역 의심 증상(발열, 발진 등)이 있을 경우 ☎1339에 문의

생후12개월∼만12세 어린이 표준예방접종일정 준수하여 접종 완료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유럽, 중국 등에서 홍역* 발생이 지속됨에 따라 여름철 방학·휴가기간을 맞이하여 해당 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경우, 사전 예방접종력을 확인하여 미 접종자는 접종 후 출국 할 것을 당부하였다.

* 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높은 감염병으로 발열, 기침, 콧물, 결막염을 시작으로 특징적인 구강 점막에 Koplik 반점에 이어 특징적인 발진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

**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해외질병-국가별 정보 참고【☞ 유행지역 여행 대비 홍역백신 접종 안내(붙임 1)】

유럽지역 홍역은 2016년 루마니아에서 유행이 시작된 후 현재까지 프랑스, 이탈리아, 그리스, 우크라이나 등에서 유행이 지속 되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인 중국, 말레이시아, 필리핀에서 발생률이 높다(붙임 2).

우리나라는 2014년 세계보건기구로부터 홍역 퇴치 국가로 인증을 받았으며, 이후 국외 유입으로 인한 사례가 발생하고 있고,

‘18년 5월에도 국외 유입으로 인해 학교*와 의료기관**에서 집단유행이 발생하였으나 각 3명의 환자가 발생한 이후 추가 환자는 없었다.

* 서울 소재 학교에서 발생, 확진 환자 총 3명 발생

** 중국 거주 한국인이 감염상태에서 입국하여 경기도 소재 의료기관에서 확진, 의료기관 접촉자에서 추가 2명 발생하여 총 3명 발생

질병관리본부는 홍역은 예방접종으로 충분히 예방 가능하므로 일정에 맞춰 예방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노출 전 MMR* 백신을 2회 모두 접종완료 하였는지 반드시 확인할 것을 권고하였다(붙임 1).

* MMR: 홍역(Measles), 볼거리(Mumps), 풍진(Rubella) 혼합백신

예방접종력 확인* 결과, 2회 접종을 완료하지 않았거나 접종 여부가 불확실한 경우 2회 접종(최소 4주 간격)을 완료하고, 12개월보다 어린 생후 6∼11개월 영아**라도 1회 접종 후 출국하는 것이 필요하다.

* 과거 홍역을 앓았던 경우, 홍역항체가 양성인 경우 또는 만 51세 이상인 경우는 접종 불필요

** 6∼11개월 접종 시 생후 12개월 이후 1회 재접종이 필요하며, 2차접종은 권장 접종일정(만4∼6세)에 접종 완료할 것

아울러, 국외 유입으로 인한 홍역환자가 의료기관 방문이 가능하므로 의료기관 방문 시 환자확인이 필요하며, 의료기관 종사자도 예방접종력 확인결과에 따라 MMR 백신의 2회 접종완료를 강조하였다.

보건당국은 우리나라의 경우 어린이 홍역(MMR) 예방 접종률*(1차 97.8%, 2차 98.2%)이 높아 국외에서 홍역바이러스가 유입 되더라도 대규모 유행 가능성은 매우 낮으나 면역력이 충분하지 못한 사람들에서 소규모의 환자 발생이 있을 수 있다면서

* 자료원: 2016년 전국 예방접종률 현황, 2017년 취학아동 예방접종 확인사업 결과

국외여행 중에는 손 씻기 및 기침예절 지키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고

홍역 유행국가를 방문한 후 입국시 발열, 발진 증상이 있을 경우 국립검역소 검역관에게 신고하며,

귀가 후 홍역(잠복기 7~21일) 의심 증상(발열, 발진 등)이 나타날 경우,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에 문의하여 안내에 따라 의료기관을 방문하도록 당부하였다.

아울러, 국내에 홍역 환자가 유입된 후에는 조기 발견이 중요하므로 의료기관에서는 발열, 발진 환자 진료 시 홍역 가능성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홍역이 의심되면 관할 보건소에 신고해 줄 것을 요청했다.



[ 보건복지부 2018-07-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729 납 기준 초과 검출된 ‘혼합음료’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3.02.23
1728 동남아 방문 시 모기매개 감염병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3.03.21
1727 봄철 퍼프린젠스 식중독을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3.03.22
1726 작동 중 컵 분리로 절단 위험이 있는 Amazon Basics 믹서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3.04.07
1725 인플루엔자 신속대응 위한 감시체계 보강 및 개인 예방수칙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7.10.27
1724 스마트폰 케이스 2개 제품(Island Confetti, Gold), 피부 자극 및 화상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7.10.31
1723 고령자 안전사고, 일상생활에서 예방이 중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7.12.21
1722 Elodie Details 노리개젖꼭지 클립 3종, 작은 부품이 떨어져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8.03.21
1721 L.Q.L. SURPRISE! 장난감, 독성 성분 함유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8.12.06
1720 제조일자 변조한 수입 냉동가오리날개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9.04.26
1719 다가오는 겨울, 가스보일러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9.11.15
1718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검출된 아가츠마(Agatsuma) 샤워기 완구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0.12.07
1717 생활안정자금 융자를 가장한 전자금융사기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2.01.12
1716 삼성 온라인(주)디지털마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2.03.28
1715 미생물 증식 가능성 있어 리콜된 Floradix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3.02.10
1714 영어 라벨에 우유 성분 누락돼 알러지 위험 있는 Le Rustique 치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3.02.10
1713 소비자원-국표원 「유모차 영유아 끼임 사고」 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3.02.15
1712 배터리 팩의 과열 및 발연으로 화재 위험있는 Bissell 진공청소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3.03.13
1711 기준치 초과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검출된 BAGHERA 유아용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3.04.04
1710 박테리아 오염 가능성이 있는 Fabuloso 다목적 세정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3.04.04
Board Pagination Prev 1 ...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