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8년 하계 휴가철을 맞이하여 우리 국민은 55.2%가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고, 그 중 85.5%7월 중순부터 8월 중순 사이에 여름휴가를 가겠다고 밝혔다.

 

7~8월 본격적인 하계 휴가철을 맞이하여 인터넷으로 휴가 용품과 여름 가전등을 저렴하게 구매하려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인터넷 사기(휴가용품, 여름 가전 등)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터넷사기 피해 신고민원*을 분석한 결과, 2017년 한 해 동안 휴가 용품 및 여름 가전관련 인터넷사기 피해신고는 총 476건이 접수되었는데 그 중 177(37%)7~8월에 집중하여 발생하였다.

 

특히, 7~8월에 집중 발생한 177건을 유형별로 분석해 보면 캠핑용품 66, 여름 가전(에어컨, 선풍기) 48, 여행상품 29, 숙박권 22, 물놀이 공원 이용권 12건 순으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기 범행들은 주로 인터넷 쇼핑몰,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발생한다. 피의자들은 긴급 처분’,특별 할인등의 문구를 사용하여 소비자를 현혹하거나, ‘급하게 숙박권, 시설 이용권을 구한다.’는 소비자의 글을 보고 접근하는 등 성수기 사전 예약을 하지 못해 조급해지는 심리를 이용하기도 한다.

 

특히, 작년 7~8월에는 인터넷 사이트에 고가의 장비와 텐트 등의 캠핑용품을 저렴하게 판매한다는 허위 글을 올려, 피해자 총 32명으로부터 12천만원 상당을 편취한 사건이 발생하는 등 유사한 사례의 범행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인터넷 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거래 전 경찰청 사이버 캅앱에 판매자의 전화번호, 계좌번호에 대한 사기피해 신고이력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개인 간 물품 직거래 시에는 직접 만나 거래하거나 안전결제 서비스(결제대금 예치제도)’를 이용하는 등 인터넷사기 예방 수칙을 숙지(붙임 참조)하고, 경찰청 홈페이지 및 사이버캅 앱에서 제공되는 사이버범죄 예방 정보에 관심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사기 피해를 입었을 때에는 판매자와의 대화 내용, 상대방 계좌번호가 표시된 계좌 이체내역서를 준비하여 가까운 경찰서를 방문하거나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홈페이지로 신고하여야 한다.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에서는 인터넷 사기 피해 예방과 적극적인 수사를 위해 하계 휴가철 인터넷사기 주의 경보를 발령하고, 2018. 7. 2.() ~ 8. 15.() 45일간 하계 휴가철 대비 인터넷 사기 단속 강화기간을 운영하고 있다.

 


[ 경찰청 2018-07-0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39 산악사고, 산불 등 위험 요인은 안전신문고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2.09.28
4138 어린이보호포장 요건 준수하지 않은 The Real Milk Paint 페인트 희석제 판매차단 안내(1)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2.09.28
4137 생명보험회사의 저축성보험 가입시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2.10.06
4136 동남아 방문 시 뎅기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2.11.01
4135 금속 혼입 가능성 있어 리콜된 Layenberge 다이어트 보조식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2.11.14
4134 골프용품 온라인몰 S골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05.04
4133 오픈박스 아레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06.27
4132 신세계몰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07.05
4131 ‘손 씻기, 음식 익혀 먹기’로 안전하고 건강한 여름 나기 준비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07.05
4130 복날 삼계탕 조리할 때…캠필로박터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07.10
4129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이 있는 Everest Masala 향신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08.17
4128 부착 지점 미흡으로 아이가 떨어질 위험이 있는 Ainomi 아기 캐리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08.18
4127 석면이 포함되어 폐암 위험 있는 BRS 스토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09.06
4126 일렉트로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11.06
4125 ’23년 상반기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0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11.13
4124 납 과다 함유하여 위해 우려 있는 헤드램프(유도 전조등)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11.20
4123 배터리 오작동으로 화재가 발생한 Anchor 로봇청소기 (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11.22
4122 전기 커패시터 화재 우려 있는 Bose 홈씨어터 베이스 모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12.13
4121 연소 중 연료 공급 시 화염분사 현상 발생하는 Flikr Fire 개인용 화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12.13
4120 질식 위험 있는 The Children's Place 남아용 청바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12.18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