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71()부터 신용카드 등으로 책 구입, 공연 관람에 사용한 금액(이하 도서·공연비)에 대해서 ‘2018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때에 기존 신용카드 등의 한도액*도서·공연비 100만 원 한도가 추가되는 등 소득공제 혜택**이 늘어난다.

* 기존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소득공제 한도(300만 원), 전통시장(100만 원), 대중교통(100만 원) 한도에 도서·공연비(100만 원) 한도 추가로 최대 600만 원 한도로 변경

** 기존에는 신용카드로 책, 공연을 구입한 경우, 신용카드 공제금액 산출할 때 사용액에 공제율 15%를 적용하던 것을 도서·공연비에 해당하는 경우 공제율 30%를 적용

 

  이는 작년 1219일 자로 개정된 「조세특례제한법」 126조의2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에 대한 소득공제가 올해 71일부터 시행된 데 따른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 이하 문체부)는 국세청(청장 한승희)함께 작년 말부터 도서?공연 및 카드사, 결제대행사 등 관련 업계와 수차례의 간담회, 설명회를 진행하고 도서·공연비 소득공제 시행방안을 마련했다.

 

64일부터 도서·공연비 소득공제 제공 사업자신청·접수

 

  문체부는 이번 시행방안에 따라 정확한 도서·공연비 사용 금액 확인과 연말정산 소득공제 처리를 위해 현재 책과 공연티켓을 판매하는 사업자 중 도서·공연비 소득공제 준비가 완료된 사업자를 대상으로 64일부터 문화포털(www.culture.go.kr, 한국문화정보원)을 통해 도서·공연비 소득공제 제공 사업자신청·접수를 받고 있다.

 

 

 그림1 

<도서·공연비 확인 및 소득공제 처리 흐름도>

 

 

  72() 기준으로 총 869개의 업체(사업자)도서·공연비 소득공제 제공 사업자로 신청·접수를 완료했으며, 도서와 공연티켓 온·오프라인 유통과 판매 시장에서 주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대형 서점과 주요 공연티켓 예매처 등 대다수가 등록을 완료했다.

* (서점) 개똥이네, 교보문고, 네이버(도서), 리브로, 반디앤루니스(서울문고), 알라딘, 영풍문고, 예스24, 인터파크 등

(공연) 인터파크 티켓, 예스24 티켓, 이베이코리아(옥션), NHN티켓링크, 하나투어, 클립서비스, 에스케이(SK) 플래닛 11번가, 위메프, 카카오엠(M, 멜론), 네이버 공연 등

(홈쇼핑) 홈플러스, 이마트, 현대홈쇼핑, 롯데홈쇼핑, 시제이(CJ)홈쇼핑 등

 

  업체별로 도서·공연비 소득공제 시행 준비를 위해 노력을 다하고 있으나 도서·공연비 소득공제 전용 가맹점 추가 확보 및 이에 따른 업계 내부 판매·결제 시스템 개편 등에 다소 시일이 걸리는 곳도 있다. 이에 문체부는 7월 중에도 계속 도서·공연비 소득공제 제공 사업자신청·접수를 받을 예정이다.

 

  특히, 도서, 공연티켓만 판매하는 사업자(이하, 단일사업자*)가 시행일자에 맞추어 도서·공연비 소득공제 제공 사업자로 신청·접수를 하지 못했더라도 71일부터 단일사업자에서 발생한 도서·공연비 결제분에 대해서는 소득공제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다.

* , 소득공제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단일사업자 역시 반드시 도서·공연비 소득공제 제공 사업자로 신청·접수를 완료해야 함.

 

  책과 공연을 구입할 때 소득공제 처리를 받을 수 있는 사업자는 문화포털(www.culture.go.kr/deduction)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사업자 상호명, 사업자번호 등을 검색창에 입력하면 사업자 등록 여부를 알 수 있다. 문체부(한국문화정보원)에 소득공제 제공 사업자로 등록이 완료된 경우에는 등록완료로 표기되며 사업자별 인증번호가 부여된다.

 

  또한 등록이 완료된 사업자의 매장, 시설, 온라인 웹사이트 등에 부착, 게시된 아래 스티커와 띠 광고(배너) 등을 통해서도 소득공제 제공 사업자임을 확인할 수 있다.

 

 

 

 2 

 3 

 4 

<도서·공연비 소득공제 제공 사업자용 스티커>

<매장, 시설 게시용 홍보 포스터>

<도서·공연비 소득공제 제공 사업자의 소득공제 전용 단말기 스티커>

 

 

  지난 629, 제도 시행을 앞두고 열린 도서·공연업계 대표와의 현장간담회에서 업계 대표자들은 도서·공연비 소득공제 제도 시행은 지난 10 년간 문화예술계에서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던 숙원 사항이다. 이번에 처음으로 시행되는 만큼 그 의의가 크다.”라며, “이번 도서·공연비 소득공제 혜택 부여로 국민들의 책, 공연 구입 등 문화지출이 확대되고 적극적인 문화활동이 증가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업계에서는 이 제도가 연간 7천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에게만 적용된 점, 세액공제가 아닌 소득공제 형태로 시행된다는 점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내며, 차후에 세제 혜택이 더 확대되는 방향으로 정책이 보완되기를 희망한다는 의견도 문체부에 전달했다.

 

  이날 현장 간담회에서 문체부 이우성 문화예술정책실장은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사항이자 현 정부 대표 문화예술 정책인 도서·공연비 소득공제 제도가 첫발을 내디딘 만큼, 새로이 시행된 도서·공연비 소득공제 제도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정부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향후 관계부처와 협의해 세제 혜택이 확대되도록 노력하겠다. 앞으로도 업계의 지속적인 협조와 관심을 부탁드린다.”라고 밝혔다.

 


[ 문화체육관광부 2018-07-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84 수급자 본인 신분증만 제시하면 ‘한부모가족증명서’ 발급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5 56
8083 수급가구 내 부모와 떨어져 거주하는 20대 미혼청년도 주거급여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9 28
8082 수강하지 않은 외국어, 자격시험 온라인 강의료 돌려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1 12
8081 쇼핑몰평가10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3 49
8080 쇼핑몰 평가결과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8 32
8079 쇼핑몰 평가결과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7 15
8078 쇼핑, 선택관광 등 국외여행상품의 중요 정보 개선을 위한 ‘정보제공 표준안’ 본격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31 48
8077 쇳조각 혼입 누룽지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7 9
8076 송학식품의 불량제품 유통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책임 추궁 및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술한 HACCP 인증제도개선을 촉구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9 71
8075 손잡이 파손으로 인해 영·유아 낙상 위험 있는 Britax社 B safe 35 카시트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31 213
8074 손잡이 빠지는 (주)한샘 미송통판 양면도마 무상 교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2 131
8073 손씻기·익혀먹기·끓여먹기로 식중독 예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09 50
8072 손쉬운 목, 어깨 운동, 사무실에서 영상으로 함께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1 10
8071 손상은 15~44세의 사망원인 1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4 8
8070 손상 정보를 한 자리에, 국가손상정보포털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09 24
Board Pagination Prev 1 ...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