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최근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손발톱 치장을 위해 네일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해당 서비스의 경우 일정금액을 예치하고 소진시까지 서비스를 받는 계속거래* 성격의 회원제 계약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계약 중도 해지를 거부하거나 과다한 위약금을 청구하는 등 소비자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 1개월 이상에 걸쳐 계속적으로 또는 부정기적으로 재화등을 공급하는 계약으로서 중도에 해지할 경우 대금 환급의 제한 또는 위약금에 관한 약정이 있는 거래(「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3년~2017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네일서비스’ 관련 소비자상담은 총 2,616건으로 매년 늘어나고 있으며, 여름휴가 기간인 6월에서 8월 사이에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국번없이 1372)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

동 기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피해구제 신청건수 : 총 92건

- 계약 중도 해지 거부 및 위약금 과다 청구가 46.7%로 가장 많아

대부분의 네일서비스 업체는 장기계약(회원제)과 단기계약(일회성 비회원)으로 구분해 서비스 금액에 차이를 두면서 고액의 회원제 장기계약을 유도하고 있다.

소비자상담 2,616건을 불만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계약 중도 해지를 거부하거나 과다한 위약금을 청구한 경우’가 46.7%(1,221건)로 가장 많았고, 당초 설명과 달리 무료서비스를 이행하지 않는 등의 ‘계약불이행’ 15.1%(395건), 소비자에게 안내하지 않은 유효기간을 계약조건으로 설정해 일정기간 후 서비스 잔여액을 소멸시키는 등의 ‘부당행위’가 7.6%(199건), ‘서비스 불만족’ 6.2%(163건) 등의 순이었다.

                                                                           [ 불만 유형별 현황 ]

                                                                                                                                                             (단위 : 건, %)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비율

계약해지 거부 및
위약금 과다 청구

148

232

234

263

344

1,221

46.7

계약불이행

34

68

72

99

122

395

15.1

부당행위

53

45

26

41

34

199

7.6

서비스 불만족

27

25

23

43

45

163

6.2

서비스비용 과다 청구

34

26

17

16

30

123

4.7

기타*

115

116

91

92

101

515

19.7

총계

411

512

463

554

676

2,616

100.0


* 서비스 중 피부손상, 착용의류에 오염 발생 등


- 일부 업체는 계약서 작성하지 않아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제30조 제2항에 따라 계속거래 계약 시 사업자는 계약서를 작성하여 소비자에게 교부해야 한다. 그러나 일부 네일서비스 업체는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고 구두 설명 또는 쿠폰 지급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을 경우 추후 분쟁 발생 시 계약 내용을 입증하기 어려워 소비자가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할 수 있고, 관련 업체도 계약서 미교부로 행정처분을 받을 수 있어 거래관행의 개선이 필요하다.

- 계약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계약서 교부받아야

네일서비스 업체 대부분 일반가보다 저렴한 금액 또는 무료 서비스 추가 등을 내세우며 일정금액을 미리 지불하는 고액의 회원제 가입을 유도하고 있는 만큼 소비자들은 충동적으로 계약을 체결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피해예방 및 확산방지를 위해 관련 업계(협회)에 법과 기준 등 준수사항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며, 소비자들에게는 ▲계약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계약서를 반드시 교부받을 것 ▲장기계약 시 해당 업체의 도산 등에 대비해 카드 할부거래를 이용할 것 ▲계약 중도 해지 요청 시 명확하게 의사를 표하고 증거자료를 남기는 등 분쟁에 대비할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8-06-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91 이엔지샵 / ENZ샵 / ENZ SHOP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3.05.17
3190 MEENI-MALL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3.05.30
3189 소형 부품 탈락으로 질식 우려 있는 TY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3.08.18
3188 감전 위험 있는 Fluke 전압테스트리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3.09.08
3187 봄의 초입, 3월에는 산불, 농기계사고, 황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1.02.25
3186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냉동 무청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1.06.07
3185 화재 및 감전 위험 있는 FOCUS 전기히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2.07.15
3184 어린이보호포장 미흡한 방향제 자발적 리콜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2.10.12
3183 잠금장치 불량인 제트스키 승객용 좌석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2.12.06
3182 감전 위험 있는 파티용 LED 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3.01.16
3181 일부 차량용 에어매트리스에서 유해물질 검출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1.02.23
3180 작은 부품 탈락해 질식 위험 있는 TROUSSELIER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1.02.26
3179 무독성·친환경으로 표시한 일부 그림물감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1.06.01
3178 배터리 발연 및 화재 위험 있는 테이블 조명 무상수리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07.11
3177 배선 손상으로 감전 위험 있는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12.13
3176 소비기한 표기 오류로 건강 위험 있어 리콜된 Ishiya 초콜릿 오믈렛(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12.14
3175 국내 안전검사 받지 않은 미인증 가스랜턴 판매중단 및 재고폐기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3.01.12
3174 설 명절 선물 구매 시 온라인 부당광고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3.01.17
3173 의류쇼핑몰 선남선녀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3.05.22
3172 베이비키즈 / baby79mall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3.05.23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