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린이집 미설치지역에 0~2세 유치원 취원, ‛16년 시범사업 후 단계적 실시
신규 유치원 ․ 어린이집, 교사실 ․ 경보설비 등 설치 의무화

유치원 - 어린이집 분리 등원 두자녀 이상 학부모의 불편해소

영유아 교육․보육 안전성․환경개선 기대

정부는 9.2(수) 정부서울청사에서 추경호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제5차 유보통합추진위원회*를 열어 「어린이집 미설치 지역 0-2세 유치원 취원 허용방안(안)(교육․보육과정 통합 포함)」,「유치원․어린이집 시설기준 정비․통합방안(안)」등을 논의․확정했다.

* 관계부처 차관, 학부모, 학계, 공익단체 대표 등 민․관 13명으로 구성

‘0-2세 유치원 취원 허용’, ‘시설기준 정비’ 등은 「유보통합 추진방안(‘13.12)」에 따른 2단계 과제로써, 지난 6월과 8월 두차례의 실무위원회*(위원장 : 국무2차장) 논의를 거쳐 이번 회의에 안건으로 상정하였다.

<유보통합 추진과제>

(1단계) 정보공시, 평가체계, 재무회계규칙 등 품질개선 기반 구축·조정

(2단계) 영유아 교육·보육 현장의 규제‧운영환경 등 통합·정비방안 마련

(3단계) 교사, 재원, 관리부처 등 통합·정비방안 마련

* 관계부처 국장 및 시설운영자, 교사, 학계 대표 등 총 13명으로 구성

이날 확정된 「어린이집 미설치 지역 0-2세 유치원 취원 허용방안(안)(교육․보육과정 통합 포함)」에 따르면 2016년 시범사업을 거쳐 향후 관리부처 통합 이후 어린이집 미설치 지역의 유치원에서 0~2세 취원 허용이 단계적으로 추진된다.

우선 내년에 농어촌 등 학부모 불편 해소가 시급한 지역에 시범사업으로 유치원 연계 어린이집을 운영*하여 유치원에 0~2세의 취원 허용시 고려사항을 검토할 계획이며,

* 어린이집 미설치 지역 소재 유치원 옆에 국공립어린이집 설치, 협력 운영(9개소 내외)

앞으로 유치원·어린이집에 대한 관리부처 통합 이후 시범사업 결과와 학부모 수요 등을 고려하여 어린이집 미설치 지역*에 0~2세 취원을 단계적으로 허용할 계획이다**.

* 전국 농어촌 지역 중 29%(417개 읍면동) 어린이집 미설치. 반면 농어촌 어린이집 미설치 지역 중 91%(379개 읍면동)에는 유치원 소재

** 통합부처에서 운영 평가를 통해 추후 적용지역 확대 필요 여부 검토

이로써 가까운 어린이집이 없어 영아 보육에 어려움을 겪거나* 취원 연령 차이로 자녀들을 서로 다른 시설에 보내야 했던** 학부모의 불편이 어느정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보육시설 접근성 불만족 : 15.5%(농어촌 21.0%, 대도시 17.5%, 중소도시 11.2%)

** 연령 차이로 서로 다른 기관 이용 불만족 : 17.2%(농어촌 27.2%, 대도시 16.7%)

또한, 이날 회의에서는 영유아 안전․보호 및 교사 근무환경 개선 등을 위해「유치원․어린이집 시설기준 정비‧통합방안(안)」을 마련, 2016년부터 신규시설에 우선 적용키로 하였다.

앞으로 새로 설치되는 유치원․어린이집은 교사실 등 필수시설*, 실외놀이터, 영유아용 피난기구(2층 이상) 및 경보설비 설치가 의무화된다.

* 교실/보육실, 화장실, 조리실, 교사실

다만, 기관의 설치부담 등을 고려하여, 20인 이하 어린이집 등에는 교사실 설치 면제, 대체놀이터 허용 등으로 완화키로 하였다.

영유아의 안전과 직결되는 피난기구, 경보설비 등은 기존시설에도 적용하되, 유예기간(1~3년)을 주어 기관의 부담을 완화할 계획이다.

이번 시설기준 정비로 영유아가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고 교사의 근무환경 개선을 통해 양질의 교육․보육 서비스 제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근무환경 만족도 조사결과(육아연, ’13, 만족도 평균 3.3점/5점), 보육실 등 설비‧자료 환경요인 중 교사공간 미비가 최하위(2점)

추경호 국무조정실장은 “교육보육 서비스 질 개선을 위해서는 학부모의 시설 접근성 제고 등 이용불편 해소, 영유아의 건전한 성장․발달을 위한 안전한 시설․운영환경 정비 및 교사의 업무만족도 제고가 필수적이다”며,

“금년도 추진되는 2단계 과제는 교육‧보육 질 개선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이를 계획대로 추진하여 학부모․시설관계자 등의 체감도를 제고하고, ‘16년 이후 유보통합의 성공적 마무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2015-09-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89 고가수리비ㆍ렌트비 등 고가차량이 야기하는 각종 문제점을 개선하여 일반차량 운전자의 부담을 줄이겠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9 122
12688 염화벤잘코늄이 규정보다 많이 포함된 FEG 눈썹강화제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2 122
12687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담배연기 성분 분석 분야‘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 받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0 122
12686 늘어나는 ‘지역주택조합 아파트’, 제도 보완 시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0 122
12685 보험계약을 부활시킬 수 있는 기간이 연장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4 122
12684 귀가 먹먹하고 어지러운「메니에르병」, 평소 생활습관 관리 중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8 122
12683 포드, 페라리, 스카니아, 혼다 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8 122
12682 자동차리스 관련 소비자 권익 제고 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8 122
12681 직류전원장치, 유아용모자 등 중점관리대상 품목 42개 리콜명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7 122
12680 한국소비자원 부산지원, ‘신발 전문 섬유제품심의위원회’ 운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1 122
12679 '15.5월 전월세 거래량은 11.6만건으로 전월대비 10.4%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6 122
12678 2014년도 하루 평균 요양기관 4.54개씩 증가 ´한방병원´ 확대 vs ´요양병원´ 둔화 추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3 122
12677 학교폭력 집중 관리 기간(3~4월), 학교폭력 예방에 총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5 122
12676 행복주택 입주자격, 간편하게 진단해 드려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2 122
12675 ‘소아암’, 성인과는 달리 ‘백혈병’ 비중이 높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2 122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