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올해 우리나라 국민의 55.2%가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82.6%는 국내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인당 국내 여행 휴가비로는 작년보다 3천 원 늘어난 평균 259천 원을 지출할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 이하 문체부)는 한국관광공사(사장 안영배, 이하 관광공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김정만)과 함께 국민들의 여름휴가 여행 계획을 파악하는 ‘2018년 하계휴가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 국민 1,105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조사로 68()부터 22()까지 15 동안 진행됐다.

조사 기간: ’18. 6. 8.22. / 조사 기관: 한국리서치 / 조사 표본 오차: 95% / 신뢰 수준 ±2.95%

 

국민들의 여름휴가 참여 비율 지난해 대비 3.1.%포인트 증가

 

  이번 여름휴가 여행을 계획한 응답자 비율 55.2%구체적인 여행 계획이 있는 응답자(27.3%), 휴가 여행을 다녀올 가능성이 높은 응답자(26.5%), 이미 휴가를 다녀온 응답자(1.4%) 비율의 합이다. 이는 지난해 조사 결과(52.1%)와 비교했을 때 3.1%포인트(p) 증가한 수치이다.

 

 

 

2018년 여름휴가 계획

<> 2018년 여름휴가 계획 (단위: %)

 2018년 여름휴가 계획 

구분

2016

2017

2018

다녀올 계획임

27.3

28.8

27.3

다녀올 예정임

(현재 미정)

17.5

21.5

26.5

이미 다녀왔음

2.4

1.7

1.4

총계

47.2

52.1

55.2

* :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수치이기 때문에 총계 및 차이값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휴가 계획이 없는 국민들은 하계휴가를 가지 않는 이유로 여가시간 및 마음의 여유 부족(76.1%), 건강상의 이유(15.3%), 여행비용 부족(12.1%), 돌봐야 할 가족(5.2%) 등을 꼽았다.

 

여름휴가를 떠나는 국민 10명 중 8명은 국내여행 계획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응답자의 휴가 목적지는 국내 82.6%, 해외 12.2%로 나타났다. 국내여행을 계획한 응답자의 방문 목적지는 강원도(32.1%)1순위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경상남도(12.7%), 경상북도(10.4%), 전라남도(9.9%), 경기도(9.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출발시기는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7. 16.~8. 12.) 사이에 85.5%가 집중되었다. 일자별로는 728()20.3%로 가장 높고, 727() 8.0%, 83() 7.7%, 82() 6.8%로 순으로 나타나 7월 말에서 8월 초에 여름휴가 여행객이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 지출액 259천 원으로 지난해 대비 3천 원 증가

 

  국내여행을 계획하는 응답자의 예상 지출액은 평균 259천 원으로 조사됐다. 지난해에 비해 20만 원 이상~30만 원 미만(30.5% 29.8%), 30만 원 이상~50만 원 미만(30.3% 19.5%) 지출 예정자가 감소한 반면, 50만 원 이상~100만 원 미만(8.6% 12.8%), 100만 원 이상(1.3% 2.4%) 지출 예정자가 늘어나 평균 지출액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10만 원 미만(0.4% 2.6%)10만 원 이상~20만 원 미만(29.0% 32.9%) 지출 예정자도 증가해 국내여행의 영역이 고급(럭셔리) 여행과 가성비를 중시하는 알뜰 여행 모두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여행기간은 23, 여행수단은 자가용, 숙박은 펜션이 가장 많아

 

  여름휴가 기간은 23(40.9%)이 가장 많고, 12(28.9%), 34(18.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지난해에 비해 23일은 3.1%포인트 감소(44.0% 40.9%)한 반면 34일은 2.7%포인트(15.8% 18.5%) 증가했다. 평균 휴가기간도 2.9일에서 3.1일로 늘어났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전반적으로 여름휴가 기간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로 여름휴가를 떠날 때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자가용(78.0%)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비행기(8.6%), 철도(4.7%), 고속/시외버스(4.3%)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숙박시설은 펜션(37.5%)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가족/친지집(17.7%), 콘도미니엄(12.0%)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정부는 관광공사와 함께 7~8월 동안 국민들이 휴가를 사용해 여름 국내여행을 다녀올 수 있도록 여름 캠페인을 전개한다. 아직 여행계획을 세우지 않은 국민들이 참고할 만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고, 여행을 앞두고 있거나 이미 다녀온 국민들까지 여행주기별로 참여할 수 있는 다채로운 이벤트를 마련했다.

 

  여행주간 누리집(travelweek.visitkorea.or.kr)에서는 여름휴가철을 맞이해 여름휴가의 주요 제약요인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여행 유형을 제시하고, 뜨겁고 열정적인 여름여행(Hot)과 시원하고 편한 여름여행(Cool) 중 국민들의 선택을 받은 여행 유형을 상세히 소개할 계획이다. 또한 참여형 휴가문화를 정착하기 위해 나만의 재치 있는 휴가사유를 공유하는 유휴~ 천하제일 휴가사유 대회와 여름휴가로 다녀온 국내여행에 대한 감상을 담은 유휴~ 휴가지 여행시 공모전도 실시된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여행은 일상에서 벗어나 다시 일상을 지낼 힘을 얻는 시간이라며, “우리나라 구석구석이 푸르게 펼쳐지는 여름, 국민들이 가까운 국내에서 편안하고 즐거운 여름휴가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문화체육관광부 2018-06-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50 2018년 5월 소비자상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6 31
8049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라돈 검출 대진침대 매트리스집단분쟁조정 개시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6 35
8048 회원카드 1장으로 최대 9개 전기차 충전사업자 공동이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6 91
8047 7월1일부터 소규모 건설공사, 1인 미만 사업장도 산재보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6 50
8046 민간 기업 노동자도 “관공서의 공휴일”을 유급휴일로 보장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6 30
8045 벤츠, 닛산, 미쓰비시 리콜 실시(총 29개 차종 12,102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7 31
8044 “언어장애로 의사소통 어려운 분들~, 국민콜110 ‘화상수화상담서비스’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7 30
8043 「진로교육법 시행령」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7 24
8042 금융분쟁조정위원회, 「직장 신경내분비종양」에 대해 CI보험의 보험금 지급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7 34
» 여름휴가 떠나는 국민의 82.6%, 국내에서 즐긴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7 35
8040 실내공기질 관리, 국민 눈높이에 맞춘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7 31
8039 금융꿀팁 200선-89 자동차보험 관련 판례 및 분쟁조정 사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7 25
8038 우리 동네 임신·출산 지원 정책에는 무엇이 있을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7 50
8037 7월부터 허가 신청되는 전문의약품, 환자용 설명서 등 위해성 완화를 위한 안전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7 21
8036 내 주변 안전은 생활안전지도에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7 38
Board Pagination Prev 1 ...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