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난 5년(2013-2017) 간 온열질환자 6,500명, 이 중 54명 사망

온열질환자 중 40%는 논밭/작업장 등 실외에서 12시~17시 사이 발생

폭염 시 충분한 수분 섭취와 더운 시간대 휴식 등 건강수칙 준수 중요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6월 25일(월) 전국적 폭염특보(기상청)가 내려질 것으로 예보된 가운데 본격적인 무더위에 따른 일사병·열사병 등 온열질환* 발생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 온열질환 :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가 나타나며, 방치시 생명이 위태로움(일사병·열사병이 대표적)

지난 5년간(2013~2017) 온열질환 감시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6,500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하였고, 이 중 40%(2,588명)는 논밭/작업장 등 실외에서 12시~17시 사이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낮 시간대 실외활동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온열질환자는 50세 이상이 전체의 56.4%(3669명),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중 50세 이상은 75.9%(41명)로 나타나 장년과 고령층의 주의를 당부하였다.

올 해는 현재까지(5월 20일~6월 23일) 총 113명(사망0명)의 온열질환자가 보고되었으며, 온열질환이 급증하는 7월부터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는 건강수칙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므로 물 자주 마시기,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등 건강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폭염 시에는, 갈증을 느끼기 이전부터 규칙적으로 수분을 섭취하도록 하며, 어지러움, 두통, 메스꺼움 등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한다.

폭염 주의보·경보가 발령되면 가능한 위험시간대(12시~17시) 활동을 줄이고, 활동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챙 넓은 모자, 밝고 헐렁한 옷 등을 착용하면 온열질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폭염 시 음주 또는 다량의 카페인 음료를 마신 후 작업하면 위험하고, 심혈관질환, 당뇨병, 뇌졸중 등이 있는 사람은 폭염에 더 취약할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일사병·열사병 등 온열질환이 발생하면 즉시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옮기도록 하고, 옷을 풀고 시원한(너무 차갑지 않은) 물수건으로 닦아 체온을 내리고 의료기관을 방문한다.

환자에게 수분보충은 도움 되나 의식 없는 경우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음료수를 억지로 먹이지 않도록 하며 신속히 119에 신고하여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온열질환감시체계 운영개요>

  • 대상 : 전국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 520개소
  • 기간 : ‘18. 5. 20 ~ ’18. 9월 중(종료일은 변동 가능)
  • 내용 : 폭염으로 인한 일일 온열질환자 발생 현황 모니터링
  • 결과공유(일일) :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 → 정책/사업 → 기후변화대응 → 폭염 → 온열질환 감시체계신고결과


[ 보건복지부 2018-06-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993 표시사항 누락 및 어린이보호포장 미적용된 접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5.07
3992 표시사항 기준을 위반한 Weaver Livestock 애완동물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3 2021.10.27
3991 표시사항 기준에 부적합한 Char-Broil 그릴세척제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1.10.07
3990 표시사항 기준에 부적합한 Char-Broil 그릴세척제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21.10.07
3989 표시 미흡한 단백질보충제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09.26
3988 표시 기준을 위반한 Aigle 신발 관리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11.29
3987 표면온도 기준치 초과한 발열조끼 자발적 리콜(환불)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4.03
3986 표면 최대온도 기준 초과한 발열조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3.03.09
3985 표면 오염 제거제, 유해물질 및 유통관리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9 2018.11.08
3984 폼알데하이드 검출된 FRIGG 노리개젖꼭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2.20
3983 폴대와 톱날이 분리돼 중상해를 일으킬 수 있는 가지치지용 톱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1.02.08
3982 폭우와 폭염이 잦은 여름, 안전운전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3 2019.06.14
3981 폭우·홍수지역 감염병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7.17
3980 폭염특보 지역 확대, 온열질환을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5 2022.07.01
3979 폭염을 피해 떠난 물놀이, 예방수칙 준수로 안전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07.12
3978 폭염 피한 물놀이, 안전수칙 준수 철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08.14
3977 폭염 지속에 따른 온열질환 발생 증가세, 건강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1.08.09
3976 폭염 시 외출이나 야외활동 자제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18.06.04
3975 폭발·화재 및 화상 위험 있는 플라즈마 절단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23.03.10
3974 포크 액슬 균열로 낙상 위험 있는 자전거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67 2016.09.01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