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난 5년(2013-2017) 간 온열질환자 6,500명, 이 중 54명 사망

온열질환자 중 40%는 논밭/작업장 등 실외에서 12시~17시 사이 발생

폭염 시 충분한 수분 섭취와 더운 시간대 휴식 등 건강수칙 준수 중요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6월 25일(월) 전국적 폭염특보(기상청)가 내려질 것으로 예보된 가운데 본격적인 무더위에 따른 일사병·열사병 등 온열질환* 발생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 온열질환 :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가 나타나며, 방치시 생명이 위태로움(일사병·열사병이 대표적)

지난 5년간(2013~2017) 온열질환 감시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6,500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하였고, 이 중 40%(2,588명)는 논밭/작업장 등 실외에서 12시~17시 사이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낮 시간대 실외활동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온열질환자는 50세 이상이 전체의 56.4%(3669명),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중 50세 이상은 75.9%(41명)로 나타나 장년과 고령층의 주의를 당부하였다.

올 해는 현재까지(5월 20일~6월 23일) 총 113명(사망0명)의 온열질환자가 보고되었으며, 온열질환이 급증하는 7월부터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는 건강수칙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므로 물 자주 마시기,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등 건강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폭염 시에는, 갈증을 느끼기 이전부터 규칙적으로 수분을 섭취하도록 하며, 어지러움, 두통, 메스꺼움 등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한다.

폭염 주의보·경보가 발령되면 가능한 위험시간대(12시~17시) 활동을 줄이고, 활동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챙 넓은 모자, 밝고 헐렁한 옷 등을 착용하면 온열질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폭염 시 음주 또는 다량의 카페인 음료를 마신 후 작업하면 위험하고, 심혈관질환, 당뇨병, 뇌졸중 등이 있는 사람은 폭염에 더 취약할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일사병·열사병 등 온열질환이 발생하면 즉시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옮기도록 하고, 옷을 풀고 시원한(너무 차갑지 않은) 물수건으로 닦아 체온을 내리고 의료기관을 방문한다.

환자에게 수분보충은 도움 되나 의식 없는 경우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음료수를 억지로 먹이지 않도록 하며 신속히 119에 신고하여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온열질환감시체계 운영개요>

  • 대상 : 전국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 520개소
  • 기간 : ‘18. 5. 20 ~ ’18. 9월 중(종료일은 변동 가능)
  • 내용 : 폭염으로 인한 일일 온열질환자 발생 현황 모니터링
  • 결과공유(일일) :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 → 정책/사업 → 기후변화대응 → 폭염 → 온열질환 감시체계신고결과


[ 보건복지부 2018-06-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99 피부관리서비스 무료 체험을 빙자한 화장품 판매 피해 지속적 발생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549 2015.06.11
4098 피부·안구 자극을 유발하는 Wet&Forget 곰팡이 얼룩 제거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4.03
4097 피부·눈 염증 유발 위험 있는 Becca Cosmetics 컨실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20.08.19
4096 피부 쥐젖(연성 섬유종), 함부로 제거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09.28
4095 피부 자극 성분 함유한 Clinic Clear 바디오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0.08.19
4094 피부 부작용 위험 있어 리콜된 여성용 니플 테이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12.13
4093 피부 및 안구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로진 성분 포함된 Rock Technologies 액체 초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8 2023.03.10
4092 피부 감염 및 자극 위험 있는 Ecostore 영유아용 로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20.07.01
4091 피규어세상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3.02.07
4090 피규어 바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3 2022.08.23
4089 피규어 등 애니메이션 굿즈 인터넷쇼핑몰 애니큐브 피해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21.05.14
4088 플릭스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21.06.02
4087 플러그 탈락 위험 있는 Brother 공기청정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2.10.17
4086 플러그 접촉핀 절연처리 되지 않아 감전 위험이 있는 Tetris 와플메이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5 2024.02.15
4085 플러그 위험부위가 노출되는 LED 충전식 라이트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00 2017.04.19
4084 플러그 설계 불량으로 감전 위험 있는 Vevor 건습식 진공청소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9.07
4083 플라스틱 혼입 가능성 있는 Bounce 단백질 볼 식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0.12.07
4082 플라스틱 혼입 가능성 있는 Aptamil 영유아 시리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1.01.27
4081 플라스틱 파편 혼입 가능성 있는 IKEA 딸기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08.25
4080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Nabisco 과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8 2020.02.17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