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본격적으로 장마가 시작되면서 물기와 습기로 인한 감전사고 위험이 높아 사고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14~‘16) 발생한 감전사고는 총 1,673건이며, 74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사망자: 2014년 37명, 2015년 19명 2016년 18명

감전사고는 장마와 호우가 시작되는 6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과 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감전의 형태를 살펴보면 전기가 흐르는 충전부에 직접 닿아 발생하는 사고가 60%(1,006건)로 가장 많았고, 아크* 발생 28%(468건), 누전 9%(143건) 순이다.
*전기 합선과 유사한 현상으로 생성된 불꽃에 의해서 사고 발생

감전의 행위별로 통계를 분석해 보면 전기 보수 공사가 711건으로 가장 많았고, 장난과 놀이 156건, 농어업 활동 22건, 보행 사고도 16건이나 발생하였다.

여름철 감전사고를 예방하려면 젖은 손으로 전기제품을 만지지 않는 등 안전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누전차단기는 정기적으로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전기 설비를 정비하거나 보수 할 때는 전원을 철저히 차단한다. 어린이 감전사고를 예방하려면 콘센트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안전커버를 생활화하고, 멀티탭이나 전선 등은 가급적 아이 눈에 띄지 않도록 정리한다.

또한, 농업용 양수기는 반드시 마른 손에 절연장갑을 낀 후 작동하고, 야외에 노출된 양수기는 비에 젖지 않도록 관리한다. 특히, 장마나 호우로 비가 오는 날에는 거리의 가로등이나 신호등을 포함한 에어컨 실외기, 입간판 등 전기 시설물과의 접촉을 피한다.

김석진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물기와 습기가 많은 여름철 젖은 손으로 전기용품을 만지지 않도록 하고 특히, 어린이 감전사고 예방을 위해 평소 감전에 대한 위험성을 설명하고 전선이나 전기제품을 가지고 놀지 않도록 주의시켜 줄 것”을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06-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249 추석연휴 항공, 택배, 상품권, 자동차 견인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09.11
2248 Ziyad 소스,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07.19
2247 “7대 안전무시 관행, 이것만은 꼭 바꿉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05.03
2246 복어, 안전하게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2.03.29
2245 측정 오류가 발생하는 JK-A007 적외선 디지털 체온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2.03.14
2244 BEST가전마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2.03.08
2243 벤젠이 검출된 Odor-Eaters 발냄세 제거제(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2.02.11
2242 알레르기 유발 성분[우유] 미표기된 IQ Bar Chocolate Sea Salt 단백질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2.02.11
2241 전기 절연 미흡으로 감전 위험 있는 SUN 2C 젤 네일 램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2.02.10
2240 사용 중 감전위험있는 발안마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2.02.09
2239 에틸렌옥사이드가 검출된 Qidosha 다이어트 보조제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12.01
2238 알레르기 성분(우유) 미표시된 Simple Mills 크래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12.01
2237 2030 대상 취업 미끼 비대면 대출 사기,“소비자경보”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7.29
2236 안전성 검증되지 않은 마스크 패치, 사용하지 말아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6.08
2235 국내 유통 수산물의 동물용의약품 잔류수준 안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4.01
2234 일부 자외선 살균제품, 살균파장 방출되지 않거나 오존 발생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0.12.23
2233 가전제품 쇼핑몰 [감성] [sensitiviity]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0.08.04
2232 충전재가 노출되어 영유아 질식 위험 있는 수박모양 봉제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0.04.14
2231 수족구병 환자 발생 증가,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9.04.18
2230 TP-Link 네트워크 어댑터 감전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8.09.07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