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안과 관련 소비자피해,‘백내장’등 노인성 질환 부작용 많아

- 영구적인‘시력상실’53.3%는 당뇨환자 -

이 자료는 9월 3일(목)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9월 2일 12시)

백내장, 당뇨망막병증 등 노인성 안과질환 수술 후 실명 등의 부작용 발생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뇨, 고혈압 등의 병력을 가진 고령자는 부작용 발생에 유의해야 한다.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은 최근 3년(2012년~2014년)간 안과 관련 피해구제 81건을 분석한 결과, 75건(92.6%)이 부작용 발생 건이며, 이중 영구적인 시력상실 장애가 30건(40.0%)이나 발생했다고 밝혔다.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안과 관련 소비자상담은 2012년 780건 → 2013년 925건 → 2014년 1,002건 → 2015년. 6월 484건

  * 1372 소비자상담센터(www.ccn.go.kr): 10개 소비자단체, 16개 광역시도 지방자치단체, 한국소비자원이 참여하는 전국 단위의 통합상담처리시스템

진료단계별로는 ‘수술’ 관련 피해가 64건(79.0%)으로 가장 많고, ‘처치’ 8건(9.9%), ‘투약’ 6건(7.4%) 등으로 나타났다.

1 질환 종류별은 백내장 37건(45.7%), 망막질환 15건(18.5%), 녹내장 5건(6.2%) 등으로 노인성 안과질환이 70.4%로 나타났고, 이외 시력교정은 9건(11.1%)이었다.

 

한편, 소비자가 가진 병력을 분석해 보니, 전체의 43.2%(35건)가 ‘당뇨’ 및 ‘고혈압’ 질환이 있었다. 특히 망막질환의 경우 15건 중 12건(80.0%)이 당뇨’ 환자로 나타났다.

 

2 또한 영구적인 시력상실 장애발생한 30건 중 당뇨 병력이 있는 경우는 16건(53.3%)이고, 염증이나 안구건조 등 기타 부작용 45건 중에도 23건(51.1%)으로 나타났다.

피해 소비자의 연령은 50대(23명, 28.4%), 60대(16명, 19.8%), 70대(13명, 16.0%) 순으로 주로 50~70대(52명, 64.2%)에 집중됐고, 남성(50명, 61.7%)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안과 관련 피해 중 의료기관의 주의 또는 설명의무 소홀이 인정된 경우는 70건(86.42%)이며, 이 중 배상으로 해결된 경우는 52건(74.3%)이다.

한국소비자원은 환자가 안과수술을 받고자 할 경우 ▲ 진료 시 당뇨, 고혈압 등의 병력과 약물 복용 여부를 반드시 고지해야 하며 ▲ 수술을 받기 전에는 부작용 발생 가능성, 수술의 한계, 부작용 예방관리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요구하고 ▲ 백내장 수술 후 통증 등이 있으면 염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 하며 ▲ 당뇨환자의 경우 혈당조절이 잘되지 않은 경우라면 성급하게 수술을 받지 않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2015-09-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50 8월말 전국 미분양 31,698호, 전월대비 4.5% (1,479호)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30 75
10249 국토부, “토지재산권 보호 강화”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2 75
» 안과 관련 소비자피해,‘백내장’등 노인성 질환 부작용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3 75
10247 주요 위생 안전 조항 위반 HACCP업체에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도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8 75
10246 재해보험 가입 큰 폭 증가, 농가 버팀목으로 자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3 75
10245 공익신고 보상금 3억 5천여만 원··· 전년 대비 70.7% 증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0 75
10244 무등록 주류제조업체가 생산한 주류 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9 75
10243 월1일부터 농어업인 건강보험료 차등지원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9 75
10242 2015년 5차 공산품안전성조사 위해상품리스트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2 75
10241 가계부채 문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겠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2 75
10240 식중독균 검출‘조미건어포류’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2 75
10239 민간활용 중심 데이터 개방 등 정부3.0 가속화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0 75
10238 대한민국, OECD가 발표한 공공데이터 개방지수에서 1위 달성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7 75
10237 금융사기 피해구제와 관련한 문의사항 안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6 75
10236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복지3법, 7월1일부터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1 75
Board Pagination Prev 1 ...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