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의원급 건강검진기관,“우수등급”은 늘고“미흡등급”은 줄어
-우수등급 17.7%P 상승(31.2%→48.9%), 미흡등급 3.8%P 감소(4.6%→0.8%)-
 - 평가결과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누리집(www.nhis.or.kr)을 통해 대국민 공개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국가건강검진의 질을 향상시키고, 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지난해 실시한 3년 주기 의원급 건강검진기관 평가결과를 공개했다.

 ○ 평가대상 검진기관은 연간 건강검진 건수가 50건 이상인 의원급 검진기관 9,857개소이며, 연간 검진인원을 기준으로 3개 그룹*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 (1그룹) 1만 명 이상, (2그룹) 300명 이상~1만 명 미만, (3그룹) 300명 미만

 ○ 평가는 일반검진, 영유아검진, 구강검진, 5대 암검진(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등 8개 검진유형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 그룹별로 평가방법이 다르게 적용되었는데 1그룹은 서면조사와 방문조사를, 2그룹은 서면조사를 기본으로 하되 그 중 일부기관(33개소)*은 방문조사를 함께 실시하였고, 3그룹에 해당하는 검진인원이 적은 기관은 기본교육 이수여부만 평가하였다.

      * 출장검진기관(24개소) 및 방문조사 대상기관 비율이 5% 미만 광역시도 중 일반검진 건수가 많은 기관(9개소)
 ○ 평가결과는 1·2그룹은 평가점수를 기준으로 3등급*(우수, 보통, 미흡)으로, 3그룹은 “교육이수” 또는  “교육미이수”로 결과를 산출하였다.
    * 우수(90점 이상), 보통(60점 이상 ~ 90점 미만), 미흡(60점 미만)

□ 2주기 평가결과를 1주기 평가결과와 비교해 보면, 전반적으로 3년 전에 비해 국가검진의 질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 전체 평균점수는 4.7점(83.5점 → 88.2점) 높아졌으며, 우수기관의 비율은 1주기 31.2%에 비해 17.7%p 상승한 48.9%, 미흡기관의 비율은 1주기 4.6%에 비해 3.8%p 감소한 0.8%로 나타났다.

 ○ 검진유형별로는 일반검진, 대장암검진, 간암검진 및 자궁경부암검진의 4개 유형에서 평균점수와 우수등급 비율이 크게 상승하였고, 전체(8개) 검진유형에서 미흡등급 비율이 감소하였다.

 ○ 다만, 영유아검진과 구강검진은 2주기 평가방식이 강화(자가입력 방식 → 자가입력 및 근거자료 제출)되면서 1주기에 비해 평균점수가 하락하였다.

□ 평가결과를 검진유형별로 구분해서 살펴보면 평가방법과 검진의 난이도 등에 따라 유형별로 점수에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 영유아 검진기관은 평균점수가 95.9점, 우수기관의 비율은 92.4%로 전반적으로 평가결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유방암검진의 경우에는 평균점수가 78.4점, 우수기관 비율은 7.9%로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유방암검진의 경우 검사의 난이도가 높고 실제 수검자의 영상만으로 평가를 받는 등 평가방법도 상대적으로 엄격하다는 점이 상당부분 작용한 결과로 판단된다.

□ 검진기관 규모별(1그룹, 2그룹) 평가결과, 영유아검진을 제외하고 모든 검진유형에서 1그룹(1만 명 이상) 검진기관이 2그룹(300명이상∼1만 명미만) 검진기관 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 평균점수는 1그룹 검진기관이 91.4점으로 2그룹 검진기관의 88.1점보다 3.3점 높게 평가되었고, 우수등급 비율은 1그룹 검진기관이 69.0%로서 2그룹 검진기관 47.9% 보다 21.1%p 높게 평가되었다.

 ○ 특히, 1그룹 검진기관의 미흡등급 비율은 0.7%로 2그룹(0.8%) 보다 0.1%p 낮으며, 위암검진(0.9%)과 유방암 검진(3.8%)을 제외하고 모든 검진유형에서 미흡등급 기관은 없었다.

□ 기본교육 이수여부만 평가한 3그룹 검진기관(검진건수 300건 미만)의 경우, 전체 교육이수율은 89.7%이며, 영유아검진이 96.3%로 가장 높고, 유방암 검진이 71.9%로 가장 낮았다
    * 다만, 간암과 유방암의 경우는 3그룹에 해당하는 기관수가 각각 13건, 32건으로 다른 유형에 비해 적음

□ 보건복지부 정영기 건강증진과장은 “이번 평가결과를 각 검진기관에 통보하는 한편, 국민 누구나 검진기관의 검진유형별 평가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국민건강보험공단 누리집(www.nhis.or.kr)을 통해 공개한다”고 밝혔다.

 ○ 또한 “미흡등급 검진기관”, “보통등급 검진기관 중 등급하락이 우려되는 기관”, “기본교육 미이수 검진기관”에 대해서는 교육(온라인, 오프라인), 전문가자문, 방문점검 등 사후관리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 특히, “미흡등급” 검진기관에 대해서는 검진기관 지정요건 등을 확인하기 위한 현지점검를 실시하여 위반시에는 업무정지, 지정취소 등 행정조치할 계획“이라고 강조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8-06-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95 식약처, 대용량 자가검사키트 낱개 판매가격 지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15 39
5494 식약처, 독감치료제 소아·청소년 안전 정보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10
5493 식약처, 라니티딘 위장약 잠정 제조.수입 및 판매 중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6 23
5492 식약처, 마약 연상 식품 표시‧광고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24 11
5491 식약처, 마약류 빅데이터로 식욕억제제 안전 사용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30 15
5490 식약처, 만성 신질환 환자의 빈혈 치료제 선택의 폭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4 66
5489 식약처, 매실주.복분자주 등 과실주 제조업체 점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6 53
5488 식약처, 메탄올 기준 초과 물휴지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3 64
5487 식약처, 목장형 유가공업체 위생점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7 10
5486 식약처, 무인카페 위생수준 한 단계 더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2 17
5485 식약처, 무허가 의약품 제조.판매업자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6 51
5484 식약처, 미세먼지 관련 광고 기획점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3 40
5483 식약처, 미세먼지.황사 관련 분야별 안전관리 정보 제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9 52
5482 식약처, 미세먼지.황사 대비 분야별 안전관리 정보 제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2 135
5481 식약처, 미세먼지·황사 대비 분야별 안전관리 정보 제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7 68
Board Pagination Prev 1 ... 555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