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인터넷에서 물건 살 때 도로명주소 입력 쉬워진다
- 행안부, 도로명주소 활용실태 점검 및 개선 지원 추진 -

경기도에 사는 김 씨는 최근에 아이 선물을 사려고 작은 기업의 웹사이트를 찾았다가 곤란한 경험을 당했다. 물건을 주문하고 배송지를 입력하려는데 도로명주소가 없고 지번주소 입력란만 있어서 삼십 분 가량 실랑이를 벌여야 했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국민들이 도로명주소 검색 시 발생하는 불편을 줄이고자 6월부터 11월까지 공공 및 민간분야 누리집 1만 8천 개를 점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번주소를 사용하거나 검색 오류가 발생하는 누리집에는 개선을 권고하고 주소검색 해결방안(솔루션)을 무료로 제공하는 등 기술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국가주소정보시스템(KAIS) 유지보수사업단 전담 직원 2명이 각 누리집을 직접 방문하여 띄어쓰기와 정렬 순위 등 12개 항목을 조사하고, 도로명주소 누리집(www.juso.go.kr) 개발자센터(1588-0061)에서 주소 전환과 검색을 추진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상담 창구를 운영한다.

행안부는 지난 2016년과 2017년 두해에 걸쳐 약 30만 개의 누리집에 대한 활용실태를 조사하고 개선한 바 있으며, 이번 점검은 그 연장선상에서 추진된다. 지난 2년 간 점검한 결과, 행안부는 아직도 지번을 쓰거나 검색이 원활하지 않은 2만 2천 개의 누리집에 대해 개선을 권고하고 8천개의 누리집은 직접 개선 조치를 완료했다. 이번에는,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누리집 1만 4천 개, 신설 누리집 2천 개, 방문자수 상위 누리집 900 개 등 총 1만 8천 개의 누리집에 대해 중점 점검을 실시한다.

2014년 도로명주소가 법정주소로 전면 사용된 지 5년차에 접어들면서 포털이나 내비게이션 등 여러 분야에서 도로명주소의 활용이 점차 늘고 있다. 특히 공공분야는 도로명주소 사용이 의무화되어 누리집 관리자들이 주소정보 저장이나 검색을 위해 도로명주소 기반으로 개선해가고 있으며, 백화점, 홈쇼핑, 대형 택배사 등에서도 자체적으로 주소와 지번이 상호 교차 검색되도록 고쳐나가고 있어 국민들의 불편이 덜한 편이다. 다만,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많이 이용하는 소규모 택배나 배달업체 등에서는 비용이나 전문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개선활동이 더딘 실정이다. 그동안 행정안전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누리집에서 주소입력 방법이 개선되도록 지속적으로 독려해 왔다.

조봉업 행정안전부 지역발전정책관은 “정부와 지자체가 도로명주소의 생활 속 정착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라며, “주소를 많이 사용하거나, 새롭게 웹사이트를 구축하는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에서 주소검색에 불편함이 없도록 개선함으로써 고객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함께 노력해 줄 것을 부탁한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8-06-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43 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농산물을 식품용으로 판매한 업자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20 74
5242 식품용 금속제 주방용품 올바른 사용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8 69
5241 식품용 기구로 부적합한 유동식 공급용 피딩 백.튜브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2 62
5240 식품용 유리제 기구.용기 올바른 사용법 !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1 61
5239 식품위생법령 고의.반복 위반업체 12곳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8 21
5238 식품위생법령 고의.반복 위반업체 19곳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6 20
5237 식품위생법령 위반 냉장 만두류 제조업체 12곳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4 13
5236 식품의 방사능 오염에 대한 불안감 여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8 224
5235 식품의 질병 예방.치료 효과 표방은 허위.과대광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6 69
5234 식품의약품안전처.경찰청 합동, 인터넷.SNS.다크넷 상 마약류 판매광고 등 집중단속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1 12
5233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담배연기 성분 분석 분야‘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 받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0 122
5232 식품접객업소 대상 식품 알레르기 예방 교육.홍보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6 12
5231 식품첨가물 분류체계, 새롭게 바뀝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3 34
5230 식품첨가물 용도 중심으로 분류체계 개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30 89
5229 식품첨가물은 식품첨가물공전 명칭 그대로 표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3 108
Board Pagination Prev 1 ...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