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지난 6월 2일부터 폭염특보가 발령되는 등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선풍기와 에어컨 과열 등으로 인한 화재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13~‘17) 발생한 화재는 총 1,523건이며, 76명의 인명피해(사망10명*, 부상 66명)가 발생하였다.
* 2013년 2명, 2014년 3명 2015년 1명, 2016년 1명, 2017년 3명
선풍기와 에어컨 관련 화재는 6월에 184건으로 5월 96건에 비해 2배 정도 증가하였고, 더위가 최고조에 이르는 8월까지 지속적인 증가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 원인을 자세히 살펴보면, 전기 접촉 불량, 과부하와 과전류 등 전기적 요인이 65%(998건)로 가장 많았고, 과열과 과부하 등 기계적 요인 21%(326건), 부주의 7%(103건)였다.

선풍기와 에어컨 관련 화재를 예방하려면 다음과 같은 안전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보관 등으로 한동안 켜지 않았던 선풍기와 에어컨은 사용 전에 쌓인 먼지를 충분히 제거하고 이상 유무를 점검 후 가동한다. 선풍기를 사용할 때는 정상적인 날개회전 유무, 이상 소음, 타는 냄새가 나는지 확인하고, 모터 부분이 뜨겁게 느껴지면 잠시 사용을 중단한다. 또한, 선풍기 위에 수건이나 옷 등을 올려두고 사용하면 모터의 송풍구가 막히면서 과열되어 화재 위험이 높아지니 반드시 주의한다. 한편, 에어컨 실외기는 가급적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 설치하고 에어컨 전용의 단독 콘센트를 사용해야 한다.

지만석 행정안전부 예방안전과장은 “최근 한낮 기온이 큰 폭으로 올라 냉방기 가동이 늘고 있는데, 보관해 두었던 선풍기와 에어컨 실외기는 사용 전에 먼지를 충분히 제거하여 과열 등으로 인한 화재 발생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06-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136 전기난로(장판) 화재는 부주의가 가장 큰 원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0.11.20
2135 중국 후베이성 전역 여행경보 하향 및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국경지역 여행경보 상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0.08.10
2134 화재 위험 있는 스타 마스터(Star Master) USB 조명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0.02.17
2133 MARBERT 기초화장품(24h Aqua Booster 03 Medium),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18.03.21
2132 Oil&Carol 치발기(Dalmatian Teether), 크기가 작아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18.03.21
2131 학교 응급처치 교육, 실습 확대로 교육 실효성 높여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2.05.31
2130 전 국가·지역 해외여행에 대한 특별여행주의보 재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2.03.14
2129 작은 부품 분리되어 질식의 위험 있는 Disney 주방놀이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2.02.09
2128 최근‘기관사칭형’전화금융사기 수법 급증, 피해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1.12.13
2127 벤젠 검출된 Coppertone 자외선 차단 스포츠 미네랄 스프레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1.12.21
2126 유해물질 함유한 Babylonia Bola 임산부 목걸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1.05.24
2125 발화 위험 있는 KingTianLe 전동공구용 배터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1.04.12
2124 유해물질 함유된 IKEA 과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1.03.18
2123 플라스틱 혼입 가능성 있는 Bounce 단백질 볼 식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0.12.07
2122 반려동물 사료의 위생 및 유해물질 안전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0.10.12
2121 과열되어 화상 입을 가능성 있는 Nexgio 프로젝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3.01.17
2120 부정 물질(실데나필, 타다라필) 검출된 Celebrate Today 식이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2.04.01
2119 방사선 물질 포함한 Energy Armor 수면안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2.03.07
2118 알레르기 유발 성분(이눌린) 미표기된 Renadyl 프로바이오틱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1.07.28
2117 알레르기 유발 성분(우유) 미표기된 Eat Real 과자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1.07.28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