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지난 6월 2일부터 폭염특보가 발령되는 등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선풍기와 에어컨 과열 등으로 인한 화재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13~‘17) 발생한 화재는 총 1,523건이며, 76명의 인명피해(사망10명*, 부상 66명)가 발생하였다.
* 2013년 2명, 2014년 3명 2015년 1명, 2016년 1명, 2017년 3명
선풍기와 에어컨 관련 화재는 6월에 184건으로 5월 96건에 비해 2배 정도 증가하였고, 더위가 최고조에 이르는 8월까지 지속적인 증가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 원인을 자세히 살펴보면, 전기 접촉 불량, 과부하와 과전류 등 전기적 요인이 65%(998건)로 가장 많았고, 과열과 과부하 등 기계적 요인 21%(326건), 부주의 7%(103건)였다.

선풍기와 에어컨 관련 화재를 예방하려면 다음과 같은 안전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보관 등으로 한동안 켜지 않았던 선풍기와 에어컨은 사용 전에 쌓인 먼지를 충분히 제거하고 이상 유무를 점검 후 가동한다. 선풍기를 사용할 때는 정상적인 날개회전 유무, 이상 소음, 타는 냄새가 나는지 확인하고, 모터 부분이 뜨겁게 느껴지면 잠시 사용을 중단한다. 또한, 선풍기 위에 수건이나 옷 등을 올려두고 사용하면 모터의 송풍구가 막히면서 과열되어 화재 위험이 높아지니 반드시 주의한다. 한편, 에어컨 실외기는 가급적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 설치하고 에어컨 전용의 단독 콘센트를 사용해야 한다.

지만석 행정안전부 예방안전과장은 “최근 한낮 기온이 큰 폭으로 올라 냉방기 가동이 늘고 있는데, 보관해 두었던 선풍기와 에어컨 실외기는 사용 전에 먼지를 충분히 제거하여 과열 등으로 인한 화재 발생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06-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340 유해물질 기준 초과 검출된 Intenze 문신잉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0.04.13
2339 겨울의 초입 11월, 화재 산불 대설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0.11.02
2338 완연한 봄, 4월에는 산불과 등산사고‧황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3.25
2337 신학기용품, 유 아용품 의류 등 53개 제품 리콜 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4.09
2336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트레이닝 바지(3)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5.03
2335 아미그달린 과다 함유된 Our father’s farm 건살구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5.03
2334 밀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주의사항 표시 미흡한 MY.San 크래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5.25
2333 제품 포장지에서 프탈레이트계가소제 기준치 초과 검출된 Musfunny 악기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10.08
2332 올 겨울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7.11.03
2331 안전한 사회, 교통 안전수칙 지키기부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7.11.03
2330 봄철에는 조리된 식품의 보관온도를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3.15
2329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 야외활동 시 진드기 물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4.11
2328 여름 휴가철 물놀이 "음주가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7.16
2327 미키하우스 유아용 샌들, 파손으로 인한 부상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9.06
2326 Satelite City 강력접착제, 어린이 보호포장 미비하여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0.05.21
2325 어린이보호포장 미비한 Bob Smith Industries 순간 접착제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0.07.01
2324 곰팡이 오염 위험 있는 Beautycounter 마스카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0.11.23
2323 유리 주전자,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3.29
2322 주의사항 표시되지 않은 Starplay 하마모양 이동형 풀장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4.12
2321 다른 제품 혼입돼 아몬드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는 Hershey’s 초콜릿 시럽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6.24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