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의류제품 소비자분쟁, 절반 이상이 사업자 책임

- 제조·판매업자 책임 46.6%, 세탁업자 책임 10.7% -

- 소비자 책임 18.0%, 책임소재를 정하기 어려운 경우 24.7% -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2018년 3월까지 구입한 의류에 하자가 있거나 세탁 후 손상 등을 이유로 섬유제품심의위원회*에 접수된 건은 총 6,231건이다.

* 한국소비자원은 의류·피혁제품 및 세탁 관련 소비자분쟁에 대한 객관적 책임소재 규명을 위해 내·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섬유제품심의위원회에서 심의를 하고 있음.

제조·판매업자 책임(품질하자) 46.6%, 세탁업자 책임(세탁과실) 10.7% 차지

6,231건에 대한 심의결과, 제조·판매업자 및 세탁업자 등 ‘사업자 책임’은 3,571건(57.3%)이었고, 취급부주의 등 ‘소비자 책임’ 또는 ‘책임소재를 정하기 어려운 경우’도 2,660건(42.7%)으로 나타나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했다.

구체적으로는 제품의 품질미흡이나 보관상 문제 등 ‘제조·판매업자 책임’이 2,905건(46.6%)으로 가장 많았고, 하자가 경미하거나 내용연수 경과 등으로 ‘책임소재를 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1,541건(24.7%), 취급부주의 등 ‘소비자 책임 1,119건(18.0%), 세탁업자의 ‘세탁과실’ 666건(10.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책임소재별 현황 ]

책임소재

건수()

비율(%)

사업자

제조·판매업자

2,905

46.6

세탁업자

666

10.7

소비자

1,119

18.0

기타*

1,541

24.7

6,231

100.0


* ‘하자가 허용수준 이내로 불량 등으로 보기하기 어렵거나, ‘내용연수가 경과하여 자연손상된 경우 등



품질하자(2,905건) 유형으로는 ‘제조 불량(1,207건, 41.6%)’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내구성 불량(852건, 29.3%)’, ‘염색성 불량(677건, 23.3%)’, ‘내세탁성 불량(169건, 5.8%)’ 등의 순이었다.

세탁과실(666건)의 유형으로는 ‘세탁방법 부적합(361건, 54.2%)’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오점제거 미흡(62건, 9.3%)’ 및 ‘수선 불량(62건, 9.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책임은 ‘취급부주의’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

소비자 책임(1,119건)은 소비자가 세탁 시 제품에 표기된 세탁방법 등 표시사항을 준수하지 않았거나 착용 중 찢김·터짐 등 ‘취급부주의(893건, 79.8%)’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나머지 226건(20.2%)은 착용 중 생긴 ‘외부 오염’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의류제품 관련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제품에 부착된 품질표시 및 취급 시 주의사항을 꼼꼼히 확인·준수할 것 ▲세탁 의뢰 시에는 제품의 상태를 확인하고 인수증을 꼭 받아둘 것 ▲완성된 세탁물은 가능한 즉시 회수하여 하자유무를 바로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8-06-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60 식약처, 임상시험 참여 환자 권익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 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6 12
5959 의약품 오인 우려 허위.과대광고 6곳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6 7
5958 유통기한 변조 건강기능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6 11
5957 2019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부가항목) 경력단절여성 현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6 16
5956 에어프라이어, 조리성능·소음 등 성능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6 17
5955 행안부, 27일 전국서 자동차세 등 상습 체납차량 일제 단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6 15
5954 안전확인 대상 생활화학제품 고시 개정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6 10
5953 근로자 수 변동되면 ‘일자리안정자금’ 지원유형 바꿀 수 있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7 14
5952 심폐소생술 시행 시 심장정지 생존율 최대 3.3배 향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7 9
5951 식품 조리 기구 올바른 사용방법 등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7 11
5950 김장철 성수식품 제조업체 전국 일제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7 11
5949 블랙프라이데이 해외직구 피해 예방을 위한 7가지 꿀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7 25
5948 매치업 온라인 강좌, 내년부터 학점으로 인정받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7 8
5947 무서운 심뇌혈관질환, 미리 예방하는 건강 습관이 중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8 9
5946 스포츠/마사지 표방 화장품 온라인 광고 점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8 9
Board Pagination Prev 1 ...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