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최근 한낮의 기온이 크게 오르며 폭염특보가 잇따르고 있어 산행 등 야외활동 시 건강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13~‘17) 발표된 폭염특보는 총 652회로 연간 130회 정도의 폭염 특보가 발령되었고 해마다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는 지난 6월 2일 대구, 광주 등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첫 폭염주의보가 발령 된 후 더운 날씨가 지속되고 있어 주의해야 한다.
* (폭염주의보)일 최고기온 33℃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 (폭염경보)일 최고기온 35℃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계절이 여름으로 접어들면서 한낮 기온이 크게 오르고, 등산로에 수풀이 우거져 산행 시 온열질환* 발생과 조난 등의 사고 위험이 높다.
*온열질환: 무더운 날씨에 무리한 외부활동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일사‧열사병, 열실신, 열경련, 열탈진 등의 증상으로 나뉨(서울성모병원 응급의료센터)
행정안전부 재난연감 통계를 살펴보면 최근 5년간(‘12~’16) 발생한 등산사고는 연평균 1,455건이며, 6월에는 608건 정도가 발생하였다.등산사고는 실족과 추락이 33%(2,413건)로 가장 많았지만, 길을 잃고 헤매는 조난이 17%(1,211건), 개인질환에 의한 사고도 11%(836건)나 발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더운 여름 안전하게 산행을 즐기기 위해서는 일정을 평소보다 여유롭게 잡고 한낮 더위에는 쉬어가는 것이 좋다. 특히, 다른 계절보다 땀을 많이 흘리게 되는 여름 산행은 평소 보다 빨리 지치고, 몸에 무리를 줘 탈진 등의 사고로 이어지기 쉽다. 이 때, 강한 햇볕 아래서 땀을 많이 흘리고 근육을 심하게 움직이면 현기증(열피로)과 열경련이 발생하기 쉽다. 위와 같은 증상들이 지속되면 일사병과 열사병* 등의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 질 수 있으니 한낮의 뜨거운 햇볕은 가급적 피한다.
* (일사병) 강한 햇볕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경우 발생하기 쉬움
* (열사병) 고온의 밀폐된 공간에서 발생하기 쉬움

특히, 목이 마르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수분을 보충하고, 갈증을 느끼면 이미 탈수가 시작된 것으로 바로 수분을 보충해야 한다. 폭염에 무리한 야외활동으로 두통이나 어지러움, 구역질,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면 즉시 서늘한 곳으로 옮긴 후 몸을 조이는 옷 등은 느슨하게 풀어주고 병원에 가도록 한다. 또한, 여름철은 습한 날씨와 높은 온도로 음식이 쉽게 변질되기 쉬우니 도시락 등 음식물 위생관리에도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 폭염영향정보: 폭염으로 인한 영향과 대응 요령을 폭염 위험 수준별로 기상청 모바일 앱(m.kma.go.kr)과 날씨누리(www.weather.go.kr)제공(6월1일부터 시범 운영)

한성원 행정안전부 안전관리정책관은 “최근 폭염특보가 잇따르고 있어 산행 등 야외활동을 할 때, 한낮의 땡볕은 피하고 충분한 수분섭취로 온열질환 발생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06-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393 식약처, 발사르탄(고혈압약 원료) 복용환자 영향평가 결과 및 추가 조사현황 등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8.12.20
2392 식약처, 바레니클린 금연치료보조제 사용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1.07.09
2391 식약처, 밀수입된 무허가 생리대 판매금지 및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7.09.26
2390 식약처, 미세먼지 대비 보건용 마스크 구입 및 사용 정보 제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56 2015.12.24
2389 식약처, 냉이·쑥 등 봄나물 안심하고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3.12
2388 식약처, 끓인 음식도 식중독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3.29
2387 식약처, 구강용 ‘벤조카인 제제’ 24개월 미만 영아에 사용 금지토록하는 안전성 서한 배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18.05.29
2386 시중 유통 한식된장·청국장, 곰팡이 독소 안전기준에 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7.12.19
2385 시중 유통 의료기기의 안전관리가 강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1.08.18
2384 시중 유통 도시락, 햄버거 등 즉석섭취식품 벤조피렌 안전한 수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18.01.17
2383 시중 유통 가공식품 중 표백제 및 발색제 사용 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8.02.01
2382 시중 유통 가공식품 중 착색료 사용 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02.27
2381 시안화수소산 방출 위험 있는 dm bio 아몬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2.07.18
2380 시안화수소산 방출 위험 있는 Alnatura 그라운드 아몬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7.18
2379 시안화수소산 과다 함유한 Alnatura 견과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5 2022.06.14
2378 시력 손상 위험 있는 VSSHE 반려동물용 레이저포인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1.04
2377 시력 손상 위험 있는 Sculpfun 레이저 조각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3 2023.04.18
2376 시계, 품질 및 A/S 불만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 증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3 2017.10.20
2375 시간이 경과할수록 품질 저하 우려 있는 GENTOS LED 헤드라이트(GH-100RG)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1.09.14
2374 시간이 경과할수록 품질 저하 우려 있는 GENTOS LED 헤드라이트(GH-003RG)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1 2021.09.14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