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최근 한낮의 기온이 크게 오르며 폭염특보가 잇따르고 있어 산행 등 야외활동 시 건강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13~‘17) 발표된 폭염특보는 총 652회로 연간 130회 정도의 폭염 특보가 발령되었고 해마다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는 지난 6월 2일 대구, 광주 등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첫 폭염주의보가 발령 된 후 더운 날씨가 지속되고 있어 주의해야 한다.
* (폭염주의보)일 최고기온 33℃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 (폭염경보)일 최고기온 35℃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계절이 여름으로 접어들면서 한낮 기온이 크게 오르고, 등산로에 수풀이 우거져 산행 시 온열질환* 발생과 조난 등의 사고 위험이 높다.
*온열질환: 무더운 날씨에 무리한 외부활동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일사‧열사병, 열실신, 열경련, 열탈진 등의 증상으로 나뉨(서울성모병원 응급의료센터)
행정안전부 재난연감 통계를 살펴보면 최근 5년간(‘12~’16) 발생한 등산사고는 연평균 1,455건이며, 6월에는 608건 정도가 발생하였다.등산사고는 실족과 추락이 33%(2,413건)로 가장 많았지만, 길을 잃고 헤매는 조난이 17%(1,211건), 개인질환에 의한 사고도 11%(836건)나 발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더운 여름 안전하게 산행을 즐기기 위해서는 일정을 평소보다 여유롭게 잡고 한낮 더위에는 쉬어가는 것이 좋다. 특히, 다른 계절보다 땀을 많이 흘리게 되는 여름 산행은 평소 보다 빨리 지치고, 몸에 무리를 줘 탈진 등의 사고로 이어지기 쉽다. 이 때, 강한 햇볕 아래서 땀을 많이 흘리고 근육을 심하게 움직이면 현기증(열피로)과 열경련이 발생하기 쉽다. 위와 같은 증상들이 지속되면 일사병과 열사병* 등의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 질 수 있으니 한낮의 뜨거운 햇볕은 가급적 피한다.
* (일사병) 강한 햇볕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경우 발생하기 쉬움
* (열사병) 고온의 밀폐된 공간에서 발생하기 쉬움

특히, 목이 마르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수분을 보충하고, 갈증을 느끼면 이미 탈수가 시작된 것으로 바로 수분을 보충해야 한다. 폭염에 무리한 야외활동으로 두통이나 어지러움, 구역질,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면 즉시 서늘한 곳으로 옮긴 후 몸을 조이는 옷 등은 느슨하게 풀어주고 병원에 가도록 한다. 또한, 여름철은 습한 날씨와 높은 온도로 음식이 쉽게 변질되기 쉬우니 도시락 등 음식물 위생관리에도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 폭염영향정보: 폭염으로 인한 영향과 대응 요령을 폭염 위험 수준별로 기상청 모바일 앱(m.kma.go.kr)과 날씨누리(www.weather.go.kr)제공(6월1일부터 시범 운영)

한성원 행정안전부 안전관리정책관은 “최근 폭염특보가 잇따르고 있어 산행 등 야외활동을 할 때, 한낮의 땡볕은 피하고 충분한 수분섭취로 온열질환 발생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06-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99 벌쏘임 사고 절반이 8월~9월 발생,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17.08.11
3498 안전수칙 지켜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 특히 하천·강에서 물놀이 시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17.07.14
3497 '코로나19 치료.예방' 허위.과대광고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6 2021.04.19
3496 장난감 안전사고로부터 우리 아이를 지켜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6 2020.06.10
3495 비타민D 과량 함유된 Hill’s Pet Nutrition 애완견 사료 이상증상 유발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6 2019.05.16
3494 안마의자, 고령자나 뼈 관련 질환자 등 사용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6 2018.04.25
3493 FUNKO 열쇠고리, 니켈 함유로 알레르기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6 2018.04.12
3492 『일자목증후군』평상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스트레칭 운동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6 2018.02.26
3491 카카오톡 고객센터 사칭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5 2023.06.07
3490 알레르기 유발 성분(콩) 미표시된 Centruy 참치 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5 2021.07.12
3489 인터넷 사기 도박사이트로 유인하는 가짜뉴스 문자메시지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5 2020.06.23
3488 Clippasafe 아기띠, 사용 중 파손으로 인한 낙상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5 2019.06.14
3487 2018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5 2019.04.01
3486 Sprayology 천연치료제, 미생물 감염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5 2019.02.07
3485 Rock Empire 등반장비, 파손 가능성 및 부상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5 2019.02.07
3484 물놀이 사고, 생존수영 교육으로 대비하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5 2017.07.24
3483 ALL MART (LGMART24)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21.08.06
3482 10년 이상 장기 사용한 냉장고·김치냉장고 화재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19.11.18
3481 의료기기인 '모유착유기',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19.05.02
3480 2018년 해외유입 콜레라 첫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18.07.04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