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우리 국민의 삶의 질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평균 6.4점이고, 일과 생활의 균형이 이루어질수록 삶에 대한 만족도(7.7)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 이하 문체부)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한 국민 삶의 질 여론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삶의 만족도와 관심사 등을 조사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수립과 집행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문체부 차원에서는 처음으로 이루어졌다. 문체부는 앞으로 매년 이 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20대와 4인 가구 만족도 높고, 1인 가구 만족도 낮아

 

  종합적인 삶의 질 만족도는 연령별로 19~29세가 6.8점으로 가장 높았고 30(6.6), 40(6.4), 50(6.3) 순이었으며, 60대 이상은 5.9점으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만족도는 6.0점으로 4인 가구의 6.6, 5인 이상 가구의 6.3점보다 훨씬 낮았고, 2인 가구의 6.2점보다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가구 구성원과 관련해서도 1인 가구는 1세대(부부) 가구 6.2, 2세대(부부 + 자녀) 가구 6.5, 3세대(부모 + 부부 + 자녀) 가구 6.6점보다 만족도가 낮았으며, 가족 구성원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별로 분석해보면 월 100만 원 미만 소득층은 5.5점으로 300~399만 원(6.3), 600~699만 원(7.2)보다 각각 0.8, 1.7점이 낮아, 가구소득과 삶의 질 만족도는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일과 생활의 균형 점수 평균 6.2

 

  일과 생활의 균형(워라밸, Work-Life Balance)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10점 만점에 평균 점수가 6.2점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일과 생활의 균형 정도가 8점 이상이라고 응답한 국민의 삶의 질 만족도는 7.7점으로 종합 평균(6.4)보다 높았고, 2점 이하라고 응답한 국민의 평균점인 2.8점보다 월등히 높아, ‘일과 생활의 균형삶의 만족도 간의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줬다.

 

만족도가 가장 높은 부문은 가족관계

 

  분야별로 삶의 질 만족도가 높은 부문은 가족관계(7.9), 건강·의료(6.7), 자녀양육·교육, 주거환경(이상 6.4) 순이었으며, 일자리·소득, 사회보장·복지, 자연환경·재난안전(이상 5.8), 문화·여가생활(5.6) 만족도는 평균점을 밑돌았다.

 

  건강·의료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낮았고, 일자리·소득은 왕성한 경제활동 계층인 30~40대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은퇴를 앞두거나 은퇴한 50대 이상의 만족도가 낮았다.

 

삶과 관련해 국민들의 가장 큰 걱정거리는 건강·의료, 일자리·소득

 

  국민들은 건강·의료(57.2%), 일자리·소득(49.4%)을 가장 많이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사회보장·복지(30.2%), 자녀양육·교육(28.5%), 자연환경·재난안전(27.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건강·의료는 60대 이상(71.7%), 일자리·소득은 19~29(72.9%)에서 가장 많이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가장 힘써야 할 부문도 일자리·소득(36.3%)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사회보장·복지(30.4%), 건강·의료(10.4%)를 꼽았다. 일자리·소득은 19~29(42.4%), 사회보장·복지는 30(34.6%), 건강·의료는 60대 이상(19.1%)에서 정부의 노력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민 절반, 5년 후 삶의 질 좋아질 것긍정적으로 기대

 

  5년 후 자신의 삶의 질 전망에 대해서는 응답자 48.6%가 긍정적으로 답변해, 우리 국민 절반은 미래에 자신의 삶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빠질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14.7%에 불과했다.

 

  현재 우리 사회가 전반적으로 삶의 질이 좋아지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응답자 중 42.2%그렇다.”라고 응답했으며,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25.4%였다.

 

현재보다 시간적 여유가 더 생긴다면 일보다는 생활을 위해 사용

 

  현재보다 시간적 여유가 더 생긴다면 어떤 분야에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자기계발·취미·스포츠 등을 위해(38.9%), 자신의 휴식을 위해(24.4%), 가족을 위해(23.2%)라고 답해 일보다는 자신 또는 가족을 위해 사용할 생각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사회활동을 위해, 일을 위해는 각각 8.4%, 4.4%였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여론조사는 삶의 질을 구성하는 8개 부문에 대해 국민들의 만족도와 관심사 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했다. 조사 결과가 삶의 질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관련 부처와 공유하고, 앞으로 매년 동일한 문항으로 조사해 국민들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가족관계, 건강·의료, 자녀양육·교육, 주거환경, 일자리·소득, 사회보장·복지, 자연환경·재난안전, 문화·여가

 

  이번 여론조사는 515()부터 21()까지 일주일간 전국 19세 이상 국민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방법은 무작위로 선정된 유무선 전화번호를 이용한 방식(Random Digit Dialing, RDD)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5%포인트이다. 자세한 내용은 정책브리핑 누리집(www.korea.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문화체육관광부 2018-06-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76 민원 취약계층 민원처리 받기 훨씬 용이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31
8175 내달 4일부터 KTX광명역 도심공항서 미국행 탑승수속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36
8174 선불식할부거래업자(상조업체) 2017년도 감사보고서 제출·공시 결과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29
8173 금융꿀팁 200선 - 저축성보험 가입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30
8172 양질의 영상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CT, MRI 품질관리기준 강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35
8171 주민등록표 등․초본 수수료, 면제대상자 세대원이 신청해도 면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80
8170 2018년 5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01 34
8169 휴대폰, 처음에는 싸고 시간이 지나면 비싸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01 105
8168 담뱃갑 경고그림, 청소년 흡연예방 효과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01 35
8167 1인 가구 다소비 간편식품, 전년대비 즉석카레·라면 등 상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04 32
8166 사용금지원료‘형광증백제’함유 수입화장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04 24
» 일과 생활의 균형 이룰수록 삶의 만족도도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04 29
8164 과채주스 관련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04 36
8163 고용노동부, 판매직 노동자 건강보호에 발 벗고 나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04 33
8162 물, 그늘, 휴식! 여름철 건강 일터의 기본 요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04 35
Board Pagination Prev 1 ...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