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우리 국민의 삶의 질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평균 6.4점이고, 일과 생활의 균형이 이루어질수록 삶에 대한 만족도(7.7)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 이하 문체부)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한 국민 삶의 질 여론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삶의 만족도와 관심사 등을 조사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수립과 집행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문체부 차원에서는 처음으로 이루어졌다. 문체부는 앞으로 매년 이 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20대와 4인 가구 만족도 높고, 1인 가구 만족도 낮아

 

  종합적인 삶의 질 만족도는 연령별로 19~29세가 6.8점으로 가장 높았고 30(6.6), 40(6.4), 50(6.3) 순이었으며, 60대 이상은 5.9점으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만족도는 6.0점으로 4인 가구의 6.6, 5인 이상 가구의 6.3점보다 훨씬 낮았고, 2인 가구의 6.2점보다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가구 구성원과 관련해서도 1인 가구는 1세대(부부) 가구 6.2, 2세대(부부 + 자녀) 가구 6.5, 3세대(부모 + 부부 + 자녀) 가구 6.6점보다 만족도가 낮았으며, 가족 구성원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별로 분석해보면 월 100만 원 미만 소득층은 5.5점으로 300~399만 원(6.3), 600~699만 원(7.2)보다 각각 0.8, 1.7점이 낮아, 가구소득과 삶의 질 만족도는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일과 생활의 균형 점수 평균 6.2

 

  일과 생활의 균형(워라밸, Work-Life Balance)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10점 만점에 평균 점수가 6.2점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일과 생활의 균형 정도가 8점 이상이라고 응답한 국민의 삶의 질 만족도는 7.7점으로 종합 평균(6.4)보다 높았고, 2점 이하라고 응답한 국민의 평균점인 2.8점보다 월등히 높아, ‘일과 생활의 균형삶의 만족도 간의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줬다.

 

만족도가 가장 높은 부문은 가족관계

 

  분야별로 삶의 질 만족도가 높은 부문은 가족관계(7.9), 건강·의료(6.7), 자녀양육·교육, 주거환경(이상 6.4) 순이었으며, 일자리·소득, 사회보장·복지, 자연환경·재난안전(이상 5.8), 문화·여가생활(5.6) 만족도는 평균점을 밑돌았다.

 

  건강·의료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낮았고, 일자리·소득은 왕성한 경제활동 계층인 30~40대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은퇴를 앞두거나 은퇴한 50대 이상의 만족도가 낮았다.

 

삶과 관련해 국민들의 가장 큰 걱정거리는 건강·의료, 일자리·소득

 

  국민들은 건강·의료(57.2%), 일자리·소득(49.4%)을 가장 많이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사회보장·복지(30.2%), 자녀양육·교육(28.5%), 자연환경·재난안전(27.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건강·의료는 60대 이상(71.7%), 일자리·소득은 19~29(72.9%)에서 가장 많이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가장 힘써야 할 부문도 일자리·소득(36.3%)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사회보장·복지(30.4%), 건강·의료(10.4%)를 꼽았다. 일자리·소득은 19~29(42.4%), 사회보장·복지는 30(34.6%), 건강·의료는 60대 이상(19.1%)에서 정부의 노력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민 절반, 5년 후 삶의 질 좋아질 것긍정적으로 기대

 

  5년 후 자신의 삶의 질 전망에 대해서는 응답자 48.6%가 긍정적으로 답변해, 우리 국민 절반은 미래에 자신의 삶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빠질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14.7%에 불과했다.

 

  현재 우리 사회가 전반적으로 삶의 질이 좋아지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응답자 중 42.2%그렇다.”라고 응답했으며,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25.4%였다.

 

현재보다 시간적 여유가 더 생긴다면 일보다는 생활을 위해 사용

 

  현재보다 시간적 여유가 더 생긴다면 어떤 분야에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자기계발·취미·스포츠 등을 위해(38.9%), 자신의 휴식을 위해(24.4%), 가족을 위해(23.2%)라고 답해 일보다는 자신 또는 가족을 위해 사용할 생각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사회활동을 위해, 일을 위해는 각각 8.4%, 4.4%였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여론조사는 삶의 질을 구성하는 8개 부문에 대해 국민들의 만족도와 관심사 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했다. 조사 결과가 삶의 질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관련 부처와 공유하고, 앞으로 매년 동일한 문항으로 조사해 국민들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가족관계, 건강·의료, 자녀양육·교육, 주거환경, 일자리·소득, 사회보장·복지, 자연환경·재난안전, 문화·여가

 

  이번 여론조사는 515()부터 21()까지 일주일간 전국 19세 이상 국민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방법은 무작위로 선정된 유무선 전화번호를 이용한 방식(Random Digit Dialing, RDD)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5%포인트이다. 자세한 내용은 정책브리핑 누리집(www.korea.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문화체육관광부 2018-06-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24 인터넷을 통한 무료 금융자문서비스 받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2 82
3523 인터넷전문은행이 도입됩니다. 보다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손쉽고 저렴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2 74
3522 인터넷주소·접속기록 확보로 실종아동 빨리 찾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4 42
3521 인터넷판매 축산물 허위.과대광고 행위 집중 점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07 64
3520 인터넷판매 축산물 허위·과대광고 행위 집중 점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6 51
3519 인파관리시스템 시범서비스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26 8
3518 인플루언서 마케팅 실태조사 실시 계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5 31
3517 인플루엔자 감소세 주춤, 예방수칙 준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8 117
3516 인플루엔자 감소세 지속, 안심은 일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0 65
3515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 9월 20일부터 시작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9 9
3514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 지원, 생후 6-12개월에서 생후 6-59개월까지 어린이 214만명으로 확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21 37
3513 인플루엔자 무료 접종 가능한 의료기관, 보건소나129(보건복지콜센터)전화 문의 후 방문해주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4 103
3512 인플루엔자 무료예방접종 9월 14일부터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06 35
3511 인플루엔자 무료예방접종 9월 22일부터 확대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8 48
3510 인플루엔자 및 급성호흡기감염증 증가세 지속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21
Board Pagination Prev 1 ... 686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695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