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4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올여름 처음으로 대구, 광주, 전남*, 경북**, 경남***지역에 2일 11시 부로 폭염주의보가 발효될 예정인 가운데 열사병 등 온열질환으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전남 : 나주, 곡성, 구례, 화순
** 경북 : 구미, 영천, 경산, 군위, 청도, 고령, 칠곡, 예천, 안동, 영주, 의성
*** 경남 : 밀양, 함안, 창녕, 하동, 합천

올해 여름철 기온 및 폭염 전망은, 기후변화로 여름철 평균 폭염일수는 1980년대 8.2일에서 2010년대 13.7일로 지속 증가하고 폭염 발생이 지속적으로 빨라지는 추세이며, 올해도 여름철 기온이 평년(23.6℃)과 비슷하거나 높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전국 폭염일수가 10.5일 이상 발생*될 것으로 전망된다.

폭염으로 인한 피해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1 ~'17년 매년 평균 1,132명의 온열질환자(사망 11명)와 가축 2,619천 마리, 어류 5,822천 마리 폐사 등 인명‧재산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인명피해 현황을 분석한 결과 장소별로는 논‧밭, 길가, 실외작업장, 비닐하우스 등이 사망사고에 취약하고, 연령별로는 70대 이상 고령자가 위험한 것으로 나타나 폭염특보 시 외출자제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폭염특보 시 인명‧재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행동요령은,

< 인명피해 >

야외활동을 최대한 자제하고 외출 시에는 물병을 휴대하며 창이 넓은 모자와 가벼운 옷차림을 하고, 논‧밭, 비닐하우스 등 인명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취약지역에서는 무더운 시간대 작업을 자제해야 한다. 또한, 건설현장 등 실외 작업장에서는 폭염 안전수칙(물,그늘,휴식)을 항상 준수하고 무더위 휴식시간제를 적극 시행해야 한다. 만약, 온열질환자가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119에 신고하고 그늘로 옮겨 휴식을 취하면서 물을 제공해야 한다.

< 시설물‧재산 >

가축 축사에서는 창문을 개방하고 환풍기를 활용하여 지속적인 환기 실시와 시원한 물을 충분히 제공하며, 양식장에서는 고수온 ‘관심단계’ 등 수온변화에 따라 양식어류를 꾸준히 관찰하고 차광막을 설치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김광용 행정안전부 재난대응정책관은 “폭염으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단계별 국민행동요령 등을 참고하여 대처해 주시길 바란다.”라고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06-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53 RXBAR 프로틴바,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19.06.14
3452 5300만명 대상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메시지 발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18.04.16
3451 여름철 단맛 음료 과잉 섭취, 청소년 건강 적신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17.08.14
3450 물놀이 사고, 생존수영 교육으로 대비하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17.07.24
3449 천장 누수 발생 가능성으로 리콜된 The North Face 텐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23.04.18
3448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20.05.11
3447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고수익 보장’에 충동계약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20.04.22
3446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20.03.09
3445 궁금한 독성정보, 톡스인포에서 찾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19.02.22
3444 ‘가구 넘어짐’으로 인한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17.11.06
3443 부품 부식 위험 있는 자전거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17.07.10
3442 2018년 제 2차 생리대 VOCs 자율모니터링 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8 2019.03.11
3441 2018년 해외유입 콜레라 첫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8 2018.07.04
3440 2016년 10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48 2017.01.04
3439 부품이탈로 위해우려 있는 송풍기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48 2017.04.27
3438 빈끌로 / VINCULO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7 2023.02.07
3437 에틸렌옥사이드가 초과 검출된 PATISDECOR 식품첨가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7 2021.10.14
3436 '코로나19 치료.예방' 허위.과대광고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7 2021.04.19
3435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문자 관련 보이스피싱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7 2020.02.03
3434 에틸렌 옥사이드가 검출된 stab 2000 아이스크림 안정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6 2022.01.03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