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6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 호우(장마), 폭염, 물놀이사고, 전기감전, 자전거사고 -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6월에 중점 관리할 재난안전사고 유형을 선정하고, 피해예방을 위해 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중점 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은 통계(재해연보, 재난연감/행정안전부)에 따른 발생빈도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에 나타난 국민의 관심도를 고려하였다.

○ 정부는 중점 관리 유형을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하여 적극적인 예방 대책으로 이어지게 하고, 국민들에게는 재난 유형별 행동요령을 알려 대비하도록 할 계획이다.

□ (호우?장마) 6월 기상전망에 따르면 강수량은 평년(‘81~‘10, 158.6㎜)과 비슷하겠으나, 장마와 함께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생 위험이 높다.
○ 장마는 대체로 6월 중순 제주도를 시작으로 장마전선이 형성된 후 32일 정도 영향을 준 후 7월 하순 경 종료 될 것으로 예상된다.

○ 기상청에서는 짧은 시간에 많은 비가 내리는 최근의 호우 특성을 반영하여, 호우특보의 기준을 강화*하였다.(시행 6.1.)

○ 행정안전부는 때 이른 무더위에 대비하여 폭염대책기간(5.20~9.30) 동안 범정부 폭염 대응반*을 구성?운영하여 폭염 취약계층과 근로자, 농?어업인 등에 대한 분야별 맞춤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 폭염 특보가 내려지는 등 온도가 높은 날은 가급적 한낮의 뜨거운 햇볕을 피하고, 노약자와 영유아는 야외 활동을 삼가는 등 각별히 주의한다.

□ (물놀이)최근 5년간(‘13~‘17) 물놀이 사고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때 이른 무더위 등으로 6월 초순부터 물놀이 사고가 발생하였다.

○ 정부는 사고에 대비하여 물놀이 안전관리 민?관 협업을 확대한다. 또한, 전국 물놀이 지역을 전수 조사하여 관리지역과 위험구역을 지정,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 물놀이 위험 및 금지구역에서는 물놀이를 금하고, 자신의 수영능력을 과신하여 무리한 행동은 하지 않는다.

□ (전기감전)여름철에는 전기감전사고 발생이 가장 많다. 특히 6월은 장마 전의 고온 다습한 날씨 등으로 감전사고 위험이 높다.

○ 감전 형태별로는 전기 충전부 직접 접촉이 60%로 가장 많았고, 전기 합선 등 아크 27%, 전기 누전 10% 순으로 발생하였다.

○ 비가 오거나 습한 날씨에는 가로등이나 신호등을 포함한 에어컨 실외기?입간판 등과의 접촉을 피하고, 사업장에서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며, 전기기기를 정비 할 때는 전원을 차단하는 등 안전수칙을 지킨다.

□ (자전거)6월은 연중 자전거 사고 발생이 가장 많은 시기로, 안전한 자전거 이용을 위해 반드시 안전모를 쓰고, 다른 자전거와 속도 경쟁을 하지 않아야 한다.

○ 행정안전부는 안전모 착용 생활화와 안전한 자전거 이용문화 정착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및 경찰과 협력하여 홍보와 안전교육 등을 강화하고 있다.

○ 자전거로 도로를 건널 때 자전거횡단도가 없는 경우 반드시 횡단보도를 이용하여 내려서 천천히 끌고 가고 교통법규를 지킨다.

□ 김석진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6월에 발생하기 쉬운 재난안전사고에 대비, 각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함께 중점 관리하여 소중한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국민 여러분도 이러한 재난안전사고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사전에 행동요령을 숙지하는 등 적극 대비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린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8-05-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32 동남아 방문 시 모기매개 감염병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3.03.22
3031 동남아 지역 여행 시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8.02.28
3030 동남아 지역 우리국민 대상 취업사기 범죄에 유의요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2.28
3029 동남아 패키지여행과 연계된 쇼핑센터 판매 제품 구입에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19.12.03
3028 동물용의약품이 검출된 `중국산 활미꾸라지`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1 2017.09.04
3027 동영상으로 알기 쉽게 배우는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09.16
3026 동충하초 판매중단 및 교환 또는 환불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90 2017.01.26
3025 두부 손상 가능성이 있는 Xinerter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9.06
3024 뒷바퀴 탈락 위험 있는 Inglesina Quid 유모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1.07.12
3023 드럼통 모양 슬라임 완구(Barrel-o-Slime), 붕소 과다 검출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5 2019.11.04
3022 드레스룸 / 골라골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0.08.12
3021 드론으로 독성 해파리 쏘임 피해 예방 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18.08.17
3020 드림레포츠 / 골프드림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6.20
3019 등교 수업 맞아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20.06.03
3018 등록 캠핑장에서 안전한 여름휴가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4 2020.07.31
3017 등반 중 핸드 레버가 분리돼 부상 위험 있는 Beal Sas 등반장비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1.12.01
3016 등받이가 경사진 바운서, 요람 등에서 아기를 재우지 말아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0.07.02
3015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등 유해물질 과다 함유한 Music LED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7.12
3014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등 유해물질 과다 함유한 유아용 디지털 카메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07.12
3013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등 유해물질 과다 함유한 유아용 스마트워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7.12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