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용기 형태 유사해 시력 좋지 않은 50대 이상 고령층에서 다발 -

최근 시력교정 등 안과수술이 보편화되고 미세먼지와 스마트폰 사용으로 안구건조증 환자가 늘면서 안약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안약과 유사한 형태의 다른 의약품이나 생활화학제품을 안약으로 오인하고 눈에 넣어 결막염, 화상 등 안구손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3년간(2015년~2017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안약 오인 점안사고는 총 133건**에 이른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연도별 현황 : ’15년 45건 → ’16년 51건 → ’17년 37건

여름철, 무좀약을 안약으로 착각해 눈에 넣는 사고 가장 많아

오인 품목은 ‘무좀약’이 41.4%(55건)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순간접착제’ 17.3%(23건), ‘전자담배 니코틴액’ 14.3%(19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제품은 눈에 들어갈 경우 자극감, 결막충혈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시력 저하 또는 이차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연령별로는 ‘60대’ 26.3%(35건), ‘50대’ 20.3%(27건), ‘70대 이상’ 13.5%(18건) 등의 순으로, 50대 이상 고령층이 전체의 60.1%를 차지했다.

연령대별로 다발 오인품목에 차이를 보였는데, ‘20대~30대’에서는 전자담배 니코틴액이 가장 많은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무좀약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연령대별 해당 제품의 접촉빈도와 관련된 것으로 분석됐다.

발생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131건을 분석한 결과, 미세먼지가 많고 건조한 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여름(6~8월)’이 전체의 35.1%(46건)로 가장 많았다.

무좀약 등, 용기 형상이 안약과 유사해 오인 사용할 우려 있어

무좀약, 순간접착제, 전자담배 니코틴액 등 주요 오인품목* 10종의 용기 형상을 확인한 결과, 용기 형태 및 크기, 입구, 개봉방식, 내용물의 색상 등이 안약과 유사했다. 또한, 제품에 표시된 글자 크기가 대체로 작아 시력이 좋지 않은 고령자, 안과수술 환자들이 오인 사용할 우려가 있었다.

* 무좀약 4종, 순간접착제 3종, 전자담배 니코틴액 3종(총 10종)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안약 오인 점안사고 예방을 위해 ▲의약품은 원래의 용기와 종이상자에 그대로 넣어 생활화학제품과 분리 보관할 것 ▲사용 전 반드시 제품명을 확인할 것 ▲저시력 환자가 안약을 사용할 때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을 것을 당부했다. 또한, 눈에 잘못 넣었을 때는 즉시 물이나 식염수 등으로 씻어낸 후 해당 제품을 가지고 병원을 방문해 눈의 손상유무를 확인해야 한다고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18-05-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812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Hicarer 팔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2 2022.06.13
3811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FOONEE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6 2022.06.13
3810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Flymind 펜던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4 2022.06.13
3809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CrystalTears 팔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5 2022.06.14
3808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Clearine 장신구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0 2022.06.13
3807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bifriend, Meirenpeizi - Zhijia Jewelry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6.13
3806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Beelittle 코스튬 액세서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2.06.13
3805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 있는 Tacobear 장신구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8.24
3804 카드뮴 과다 함유된 플라스틱 재질의 SHEN 물고기 샌들(슬리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3.09.08
3803 카드뮴 과다 검출된 뱀 모양 반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3.07.13
3802 카드뭄 기준이 초과 검출된 수입 ‘냉동 가리비살’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9.08
3801 칠레 전역에 여행경보 2단계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9.10.23
3800 칠갑농산㈜ ‘더 커진 쫄면떡볶이’, 양념소스 부패 우려로 교환·환불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9 2017.10.23
3799 치질.무좀.질염 의약품 온라인으로 구매? 안 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1.06.08
3798 치아 투명교정, 부실진료 관련 소비자불만 크게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18.03.29
3797 치아 교정치료, 치료 전 충분히 설명듣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3.12.18
3796 치과 진료 중 이물질 삼킴·흡인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12.06
3795 측정 오류가 발생하는 JK-A007 적외선 디지털 체온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2.03.14
3794 측정 오류가 발생하는 Air Steward 라돈 측정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11.15
3793 측면 충돌 시 보호가 미흡한 Urban Kanga 유아용 카시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09.28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