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용기 형태 유사해 시력 좋지 않은 50대 이상 고령층에서 다발 -

최근 시력교정 등 안과수술이 보편화되고 미세먼지와 스마트폰 사용으로 안구건조증 환자가 늘면서 안약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안약과 유사한 형태의 다른 의약품이나 생활화학제품을 안약으로 오인하고 눈에 넣어 결막염, 화상 등 안구손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3년간(2015년~2017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안약 오인 점안사고는 총 133건**에 이른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연도별 현황 : ’15년 45건 → ’16년 51건 → ’17년 37건

여름철, 무좀약을 안약으로 착각해 눈에 넣는 사고 가장 많아

오인 품목은 ‘무좀약’이 41.4%(55건)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순간접착제’ 17.3%(23건), ‘전자담배 니코틴액’ 14.3%(19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제품은 눈에 들어갈 경우 자극감, 결막충혈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시력 저하 또는 이차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연령별로는 ‘60대’ 26.3%(35건), ‘50대’ 20.3%(27건), ‘70대 이상’ 13.5%(18건) 등의 순으로, 50대 이상 고령층이 전체의 60.1%를 차지했다.

연령대별로 다발 오인품목에 차이를 보였는데, ‘20대~30대’에서는 전자담배 니코틴액이 가장 많은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무좀약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연령대별 해당 제품의 접촉빈도와 관련된 것으로 분석됐다.

발생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131건을 분석한 결과, 미세먼지가 많고 건조한 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여름(6~8월)’이 전체의 35.1%(46건)로 가장 많았다.

무좀약 등, 용기 형상이 안약과 유사해 오인 사용할 우려 있어

무좀약, 순간접착제, 전자담배 니코틴액 등 주요 오인품목* 10종의 용기 형상을 확인한 결과, 용기 형태 및 크기, 입구, 개봉방식, 내용물의 색상 등이 안약과 유사했다. 또한, 제품에 표시된 글자 크기가 대체로 작아 시력이 좋지 않은 고령자, 안과수술 환자들이 오인 사용할 우려가 있었다.

* 무좀약 4종, 순간접착제 3종, 전자담배 니코틴액 3종(총 10종)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안약 오인 점안사고 예방을 위해 ▲의약품은 원래의 용기와 종이상자에 그대로 넣어 생활화학제품과 분리 보관할 것 ▲사용 전 반드시 제품명을 확인할 것 ▲저시력 환자가 안약을 사용할 때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을 것을 당부했다. 또한, 눈에 잘못 넣었을 때는 즉시 물이나 식염수 등으로 씻어낸 후 해당 제품을 가지고 병원을 방문해 눈의 손상유무를 확인해야 한다고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18-05-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600 dellawang / 와썸컴퍼니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2 2020.04.17
1599 비슷비슷한 봄나물과 독초, 함부로 먹으면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1 2020.04.16
1598 코로나 긴급재난지원금 스미싱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1 2020.04.14
1597 충전재가 노출되어 영유아 질식 위험 있는 수박모양 봉제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0.04.14
1596 작은 장난감 삼킴 사고 우려 있는 Bomb Cosmetic 입욕제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78 2020.04.14
1595 작은 장난감 삼킴 사고 우려 있는 Bomb Cosmetic 입욕제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6372 2020.04.14
1594 작은 장난감 삼킴 사고 우려 있는 Bomb Cosmetic 입욕제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38 2020.04.14
1593 탄소 혼입에 따른 누전 위험 있는 옴(OHM) 고무 전기 플러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0.04.14
1592 작은 부품 삼킴 사고 우려 있는 타이(Ty) 유니콘 봉제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0.04.14
1591 작은 부품 삼킴 사고 우려 있는 Sunnylife 목욕장난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0.04.14
1590 작은 부품 삼킴 사고 우려 있는 동물 모양 치발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0.04.14
1589 작은 부품 삼킴 사고 우려 있는 나무 딸랑이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20.04.14
1588 작은 부품 삼킴 사고 우려 있는 Innobaby 치발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0.04.14
1587 작은 부품 삼킴 사고 우려 있는 Bee Wooden Toy 목재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0.04.14
1586 작은 부품 삼킴 사고 우려 있는 곰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8 2020.04.14
1585 수은 함유해 신경계 손상 위험 있는 Carotone 피부미백제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20.04.13
1584 유해물질 함유된 KELY 푸쉬업 운동기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20.04.13
1583 유해물질 함유된 키스(KISS) 인조손톱 세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 2020.04.13
1582 유해물질 함유된 Tina Davies 문신잉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0.04.13
1581 유해물질 함유되어 발암 위험 있는 Clear Essence 바디로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0.04.13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