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용기 형태 유사해 시력 좋지 않은 50대 이상 고령층에서 다발 -

최근 시력교정 등 안과수술이 보편화되고 미세먼지와 스마트폰 사용으로 안구건조증 환자가 늘면서 안약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안약과 유사한 형태의 다른 의약품이나 생활화학제품을 안약으로 오인하고 눈에 넣어 결막염, 화상 등 안구손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3년간(2015년~2017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안약 오인 점안사고는 총 133건**에 이른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연도별 현황 : ’15년 45건 → ’16년 51건 → ’17년 37건

여름철, 무좀약을 안약으로 착각해 눈에 넣는 사고 가장 많아

오인 품목은 ‘무좀약’이 41.4%(55건)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순간접착제’ 17.3%(23건), ‘전자담배 니코틴액’ 14.3%(19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제품은 눈에 들어갈 경우 자극감, 결막충혈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시력 저하 또는 이차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연령별로는 ‘60대’ 26.3%(35건), ‘50대’ 20.3%(27건), ‘70대 이상’ 13.5%(18건) 등의 순으로, 50대 이상 고령층이 전체의 60.1%를 차지했다.

연령대별로 다발 오인품목에 차이를 보였는데, ‘20대~30대’에서는 전자담배 니코틴액이 가장 많은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무좀약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연령대별 해당 제품의 접촉빈도와 관련된 것으로 분석됐다.

발생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131건을 분석한 결과, 미세먼지가 많고 건조한 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여름(6~8월)’이 전체의 35.1%(46건)로 가장 많았다.

무좀약 등, 용기 형상이 안약과 유사해 오인 사용할 우려 있어

무좀약, 순간접착제, 전자담배 니코틴액 등 주요 오인품목* 10종의 용기 형상을 확인한 결과, 용기 형태 및 크기, 입구, 개봉방식, 내용물의 색상 등이 안약과 유사했다. 또한, 제품에 표시된 글자 크기가 대체로 작아 시력이 좋지 않은 고령자, 안과수술 환자들이 오인 사용할 우려가 있었다.

* 무좀약 4종, 순간접착제 3종, 전자담배 니코틴액 3종(총 10종)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안약 오인 점안사고 예방을 위해 ▲의약품은 원래의 용기와 종이상자에 그대로 넣어 생활화학제품과 분리 보관할 것 ▲사용 전 반드시 제품명을 확인할 것 ▲저시력 환자가 안약을 사용할 때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을 것을 당부했다. 또한, 눈에 잘못 넣었을 때는 즉시 물이나 식염수 등으로 씻어낸 후 해당 제품을 가지고 병원을 방문해 눈의 손상유무를 확인해야 한다고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18-05-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591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Skinnydipped 견과류 가공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3.03.10
1590 테리종합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3.03.21
1589 톨루엔 안전기준 위반한 Zhanlida 접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3.04.04
1588 국립공원 사망사고 절반은 심장돌연사, 가을철 산행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7.09.29
1587 시중 유통 가공식품 중 표백제 및 발색제 사용 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8.02.01
1586 Swanliss 전동 빗, 감전·화상의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8.03.21
1585 Paw Patrol 어린이 코스튬 의상,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8.04.12
1584 멜라루카 인터내셔날코리아㈜, MIT 포함된 세정제 2종 회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8.08.27
1583 Wish Bone 샐러드드레싱,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8.09.07
1582 여름철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9.08.02
1581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0.04.29
1580 자전거 안전하게 즐기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0.07.10
1579 불법사금융 이제 그만! 불법대부광고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1.06.21
1578 버크홀데리아 세파시아균 오염 위험있는 CHATTANOOGA 초음파 로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1.12.21
1577 접지가 미흡하여 감전 위험있는 Aisilan 벽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3.02.13
1576 플라스틱 부품이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크리스마스 초콜릿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3.03.16
1575 청소년, 고카페인 음료 과다섭취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3.04.03
1574 라벨에 미표기된 땅콩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Drizzilicious 쌀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3.04.03
1573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ONISIFOODS 레토르트 밥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3.04.05
1572 노후아파트, 전기안전 취약하고 화재 위험 높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17.11.02
Board Pagination Prev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