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골든타임 중요한 급성기뇌졸중...진료 잘하는 병원 미리 확인하세요!
- 심사평가원, 급성기뇌졸중 7차 적정성평가 결과 공개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 이하 ‘심사평가원’)은 ‘급성기뇌졸중 7차 적정성평가’ 결과를 5월 31일(목) 심사평가원 홈페이지와 건강정보 앱*를 통해 공개한다.

   * 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 또는 건강정보 앱 > 병원·약국 > 병원평가정보 > 분야별 또는 신체부위별 > 급성기뇌졸중

□ 뇌졸중이란 뇌에 혈류 공급이 중단(혈관이 터지거나 막힘)되어 뇌세포가 죽는 질환으로, 뇌졸중 등 뇌혈관 질환의 경우 단일 질환으로는 우리나라 사망 원인 2위 2016년 사망원인 통계결과(2017년, 통계청)
에 해당하는 위험도가 높은 질환이다. 또한 발병 이후 반신마비 등 심각한 후유장애 및 합병증으로 삶의 질 저하, 의료비 급증 등 사회경제적 부담을 초래한다.

 ○ 만약 특별한 이유 없이 갑자기 발생하는 두통, 어지러움, 어눌한 발음, 한쪽 팔다리의 감각이 둔해지거나 힘이 빠지는 등 급성기뇌졸중 의심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골든타임(뇌졸중 발생 3시간) 안에 병원에 도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에, 심사평가원은 급성기뇌졸중 환자가 전국 어디서나 적절하게 질 높은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2006년부터 급성기뇌졸중 적정성 평가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 7차 적정성 평가는 2016년 하반기(7월~12월)에 응급실을 통해 입원한 급성기뇌졸중 환자를 진료한 종합병원 이상 총 246기관, 2만6592건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이번 평가에서 대상기간을 3개월에서 6개월로 확대함에 따라, 그간 뇌졸중 진료를 하였으나 대상자 수가 적어 평가대상에 들지 못했던 상급종합병원 1기관, 종합병원 60기관이 신규 평가대상 기관으로 포함되었다.

□ 7차 적정성평가의 주요 평가지표별 결과를 살펴보면,

 ○ (전문인력 구성여부) 급성기뇌졸중 환자가 곧바로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신경과, 신경외과 전문의가 있어야 하고, 후유장애 최소화 및 재활치료를 위해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필요하다.
   - 평가 결과, 3개과 전문의가 상근하는 기관은 165개(67.1%), 신경과·신경외과 2개과 모두 전문의가 상근하는 기관은 213개(86.6%), 2개과 중 1개과 전문의가 상근하는 기관은 33개(13.4%)인 것으로 나타났다.

 ○ (뇌영상검사 실시율(1시간이내)) 뇌 속의 어떤 혈관이 막히거나 터졌는지 확인하고 향후 치료방침을 정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게 CT나 MRI를 찍어야 한다. 이를 반영하는 뇌영상검사 실시율(1시간이내)은 99.3%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정맥내 혈전용해제(t-PA)투여율(60분이내)) 혈전용해제는 뇌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녹이는 약물로, 증상발생 후 늦어도 4.5시간이내에 투여해야하며 빨리 투여할수록 예후가 좋아진다. 병원 도착으로부터 60분 이내 투여하는 비율을 평가한 결과 96.8%로 높게 나타났다.

 ○ (연하장애선별검사 실시율(첫 식이전)) 급성기뇌졸중 발병 시 뇌손상으로 인해 음식물 섭취가 어려워지고 잦은 사래로 흡인성 폐렴의 위험이 높아진다. 폐렴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예방하고, 적절한 영양섭취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첫 식이 전에 삼킴장애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평가결과 97.8%로 높게 나타났다.

□ 심사평가원은 평가영역을 구조, 과정, 결과지표로 구분하여 영역별로 가중치를 적용 후 종합점수를 산출하고, 평가 대상 기관을 종합점수에 따라 5개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 평가 결과를 종합한 결과, 6차 평가 대비 전반적으로 평가결과가 향상되었으나 새롭게 평가대상이 된 기관 중 일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 7차 및 6차 연속 평가기관(155기관)의 종합점수: 96.64점(6차 대비 2.63점↑)

 ○ 평가 대상 총 246기관 중 종합점수가 산출된 기관*은 226기관이고, 이 중 1등급 기관은 134기관(59.3%)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가등급별 지역분포 현황에서 1등급 기관은 모든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종합점수 산출 기관: 과정지표 7개 중 3개 이상 지표 값이 산출된 기관

<표 1: 평가등급별 지역분포 현황(단위기관, %)

구분

서울

경기권

강원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제주

경기

인천

충북

충남

대전

전북

전남

광주

경북

대구

경남

부산

울산

전체

226

41

39

13

7

11

12

9

10

10

8

16

8

13

19

4

6

(%)

100.0 

18.1

17.3

5.8

3.1

4.9

5.3

4.0

4.4

4.4

3.5

7.1

3.5

5.8

8.4

1.8

2.7

 

1등급

134

29

27

7

5

6

4

8

6

4

4

8

5

5

11

3

2

2등급

48

8

6

4

-

1

3

1

2

3

1

4

2

3

6

-

4

3등급

21

1

3

1

1

2

4

-

1

1

1

2

1

2

1

-

-

4등급

18

3

3

1

-

2

1

-

-

2

1

1

-

2

1

1

-

5등급

5

-

-

-

1

-

-

-

1

-

1

1

-

1

-

-

-

 

 


 주. 1등급: 95점 이상, 2등급: 85점~95점미만, 3등급: 75점~85점미만, 4등급: 55점~75점미만, 5등급: 55점미만

<지역별 평가등급별 기관 수> : 붙임 참조

□ 심사평가원은 요양기관의 적극적인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평가 결과에 따라 진료비를 가산하거나 감산하여 지급하고 있으며, 이번 평가 결과에 따른 가산지급*기관은 총 83기관, 감산지급**기관은 총 5기관이다.
    * 가산지급기준: 최우수기관(종합점수 상위 20%)
                     종합점수 향상기관(전차수 대비 종합점수 10점 이상 향상 기관)
    **감산지급기준: 감산기관(감액기준선(종합점수 55점) 미만 기관)

□ 김승택 심사평가원장은 “급성기뇌졸중 적정성평가에 대한 요양기관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7차 평가결과 및 8차 평가계획에 대한 설명회를 6월 중 시행할 예정이며, 앞으로도 국민이 보다 나은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정부․관련 학회․소비자 단체 등과 적극 협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18-05-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71 학교내 홍역발생, 전파 확산 차단 조치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9 24
8170 석면해체작업 관리 '깐깐하게'…개정된 석면법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9 37
8169 신용카드 포인트 사용이 더욱 편리해 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9 23
8168 7개 공기청정 제품 제조·판매사업자의 부당한 표시·광고행위 제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9 33
8167 BMW, 혼다 리콜 실시(총 23개 차종 2,806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0 28
8166 매매·임대 부동산 검색부터 전자계약까지 ‘한방’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0 26
8165 최저임금법 개정안(5.28. 국회 통과) 관련 주요내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0 22
8164 장기요양 수급자의 지역사회 생활을 돕는 통합 서비스 제공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0 33
8163 민간 주도 의료광고 심의로 불법 의료광고 사전 방지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0 23
8162 환불받던 공공시설 할인요금, 이제 인터넷으로 즉시 감면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0 92
8161 정책모기지 유한책임대출 제도 확대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29
8160 5.31부터 직업적 트라우마 전문상담센터 시범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27
» 골든타임 중요한 급성기뇌졸중...진료 잘하는 병원 미리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33
8158 대진 침대관련 1372 소비자상담분석 보도자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30
8157 내 민원처리 어디까지 왔나...쉽게 알 수 있게 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28
Board Pagination Prev 1 ...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