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골든타임 중요한 급성기뇌졸중...진료 잘하는 병원 미리 확인하세요!
- 심사평가원, 급성기뇌졸중 7차 적정성평가 결과 공개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 이하 ‘심사평가원’)은 ‘급성기뇌졸중 7차 적정성평가’ 결과를 5월 31일(목) 심사평가원 홈페이지와 건강정보 앱*를 통해 공개한다.

   * 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 또는 건강정보 앱 > 병원·약국 > 병원평가정보 > 분야별 또는 신체부위별 > 급성기뇌졸중

□ 뇌졸중이란 뇌에 혈류 공급이 중단(혈관이 터지거나 막힘)되어 뇌세포가 죽는 질환으로, 뇌졸중 등 뇌혈관 질환의 경우 단일 질환으로는 우리나라 사망 원인 2위 2016년 사망원인 통계결과(2017년, 통계청)
에 해당하는 위험도가 높은 질환이다. 또한 발병 이후 반신마비 등 심각한 후유장애 및 합병증으로 삶의 질 저하, 의료비 급증 등 사회경제적 부담을 초래한다.

 ○ 만약 특별한 이유 없이 갑자기 발생하는 두통, 어지러움, 어눌한 발음, 한쪽 팔다리의 감각이 둔해지거나 힘이 빠지는 등 급성기뇌졸중 의심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골든타임(뇌졸중 발생 3시간) 안에 병원에 도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에, 심사평가원은 급성기뇌졸중 환자가 전국 어디서나 적절하게 질 높은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2006년부터 급성기뇌졸중 적정성 평가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 7차 적정성 평가는 2016년 하반기(7월~12월)에 응급실을 통해 입원한 급성기뇌졸중 환자를 진료한 종합병원 이상 총 246기관, 2만6592건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이번 평가에서 대상기간을 3개월에서 6개월로 확대함에 따라, 그간 뇌졸중 진료를 하였으나 대상자 수가 적어 평가대상에 들지 못했던 상급종합병원 1기관, 종합병원 60기관이 신규 평가대상 기관으로 포함되었다.

□ 7차 적정성평가의 주요 평가지표별 결과를 살펴보면,

 ○ (전문인력 구성여부) 급성기뇌졸중 환자가 곧바로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신경과, 신경외과 전문의가 있어야 하고, 후유장애 최소화 및 재활치료를 위해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필요하다.
   - 평가 결과, 3개과 전문의가 상근하는 기관은 165개(67.1%), 신경과·신경외과 2개과 모두 전문의가 상근하는 기관은 213개(86.6%), 2개과 중 1개과 전문의가 상근하는 기관은 33개(13.4%)인 것으로 나타났다.

 ○ (뇌영상검사 실시율(1시간이내)) 뇌 속의 어떤 혈관이 막히거나 터졌는지 확인하고 향후 치료방침을 정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게 CT나 MRI를 찍어야 한다. 이를 반영하는 뇌영상검사 실시율(1시간이내)은 99.3%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정맥내 혈전용해제(t-PA)투여율(60분이내)) 혈전용해제는 뇌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녹이는 약물로, 증상발생 후 늦어도 4.5시간이내에 투여해야하며 빨리 투여할수록 예후가 좋아진다. 병원 도착으로부터 60분 이내 투여하는 비율을 평가한 결과 96.8%로 높게 나타났다.

 ○ (연하장애선별검사 실시율(첫 식이전)) 급성기뇌졸중 발병 시 뇌손상으로 인해 음식물 섭취가 어려워지고 잦은 사래로 흡인성 폐렴의 위험이 높아진다. 폐렴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예방하고, 적절한 영양섭취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첫 식이 전에 삼킴장애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평가결과 97.8%로 높게 나타났다.

□ 심사평가원은 평가영역을 구조, 과정, 결과지표로 구분하여 영역별로 가중치를 적용 후 종합점수를 산출하고, 평가 대상 기관을 종합점수에 따라 5개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 평가 결과를 종합한 결과, 6차 평가 대비 전반적으로 평가결과가 향상되었으나 새롭게 평가대상이 된 기관 중 일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 7차 및 6차 연속 평가기관(155기관)의 종합점수: 96.64점(6차 대비 2.63점↑)

 ○ 평가 대상 총 246기관 중 종합점수가 산출된 기관*은 226기관이고, 이 중 1등급 기관은 134기관(59.3%)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가등급별 지역분포 현황에서 1등급 기관은 모든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종합점수 산출 기관: 과정지표 7개 중 3개 이상 지표 값이 산출된 기관

<표 1: 평가등급별 지역분포 현황(단위기관, %)

구분

서울

경기권

강원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제주

경기

인천

충북

충남

대전

전북

전남

광주

경북

대구

경남

부산

울산

전체

226

41

39

13

7

11

12

9

10

10

8

16

8

13

19

4

6

(%)

100.0 

18.1

17.3

5.8

3.1

4.9

5.3

4.0

4.4

4.4

3.5

7.1

3.5

5.8

8.4

1.8

2.7

 

1등급

134

29

27

7

5

6

4

8

6

4

4

8

5

5

11

3

2

2등급

48

8

6

4

-

1

3

1

2

3

1

4

2

3

6

-

4

3등급

21

1

3

1

1

2

4

-

1

1

1

2

1

2

1

-

-

4등급

18

3

3

1

-

2

1

-

-

2

1

1

-

2

1

1

-

5등급

5

-

-

-

1

-

-

-

1

-

1

1

-

1

-

-

-

 

 


 주. 1등급: 95점 이상, 2등급: 85점~95점미만, 3등급: 75점~85점미만, 4등급: 55점~75점미만, 5등급: 55점미만

<지역별 평가등급별 기관 수> : 붙임 참조

□ 심사평가원은 요양기관의 적극적인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평가 결과에 따라 진료비를 가산하거나 감산하여 지급하고 있으며, 이번 평가 결과에 따른 가산지급*기관은 총 83기관, 감산지급**기관은 총 5기관이다.
    * 가산지급기준: 최우수기관(종합점수 상위 20%)
                     종합점수 향상기관(전차수 대비 종합점수 10점 이상 향상 기관)
    **감산지급기준: 감산기관(감액기준선(종합점수 55점) 미만 기관)

□ 김승택 심사평가원장은 “급성기뇌졸중 적정성평가에 대한 요양기관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7차 평가결과 및 8차 평가계획에 대한 설명회를 6월 중 시행할 예정이며, 앞으로도 국민이 보다 나은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정부․관련 학회․소비자 단체 등과 적극 협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18-05-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919 2020년 4/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1 33
7918 발달장애인을 가족이 돌보는 경우에도 급여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2 33
7917 설 연휴 주택화재, 음식 조리 중 부주의로 가장 많이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10 33
7916 설 연휴엔 ‘공유누리’에서 무료주차장을 마음껏 누리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10 33
7915 주민등록표 등·초본 신청시‘과거의 주소변동’기간 직접 설정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23 33
7914 '슬기로운 의료기기 안전사용' 방법 함께 나눠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15 33
7913 '다이옥신류 및 중금속' 통합위해성평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31 33
7912 대규모유통업법 반품지침 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7 33
7911 2021년 1분기 강원지역 경제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8 33
7910 우유팩 모양 바디워시 등 식품 모방 화장품 못판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18 33
7909 국민권익위, “본인명의 휴대전화 없으면 재난지원금 신청 어려워...방법 개선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33
7908 10월은 부가가치세 예정신고·고지 납부하는 달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12 33
7907 전동킥보드, 제품별로 주행거리, 주행성능 등에서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12 33
7906 「오피스텔 건축기준」 일부개정 고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13 33
7905 국민권익위, 공익신고로 인한 모든 쟁송절차 소요비용 지원...신고자 보호 두터워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0 33
Board Pagination Prev 1 ...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