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SFTS 환자‧사망자 증가에 따른 감염주의 철저 당부
- 5월 25일까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18명(사망 7명)발생 -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예방의 최선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

◇ 야외활동시 긴옷 및 보호 장구 착용외출 후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 야외활동 후 2주 내 고열오심구토설사식욕부진 등의 증상 발생 시 즉시 진료받기

연도별 사망자수 : 16(’14)21(’15)19(’16)54(’17, 잠정통계)7(’18.5.25 기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8년 1월부터  5월 25일까지 중증열성혈소판 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이하 SFTS)으로 확인된 환자는 총 18명(사망 7명)으로, 전년 동기간 환자 5명(사망 1명)보다 증가함에 따라 SFTS에 대한 감염 주의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SFTS 환자 중 대부분은 60세 이상의 고 연령으로, 성별은 여자 14명
     (77.8%), 남자 4명(22.2%)으로 여자가 많고, 주로 낮은 자세로 농작업,   임산물 채취 등을 하였으며, 발생지역은 경북 4명, 제주 3명, 전북 3명,   경기 3명, 강원 1명, 경남 1명, 충남 1명, 부산 1명, 전남 1명으로 확인되었다.


  ○ SFTS는 주로 4~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주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린 후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을 나타내는 감염병으로 ‘13년 이후 *환자는 625명이었고 이중 **사망자는 134명(치명률21.4%)으로 확인되었다. (☞붙임1, 2참조)
      * 환자수 : 55명(’14)→79명(’15)→165명(’16)→272명(’17, 잠정통계)→18명(‘18, 5.25기준)
     ** 사망자수 : 16명(’14)→21명(’15)→19명(’16)→54명(’17, 잠정통계)→7명(‘18, 5.25기준)

 


작은소피참진드기
암컷, 수컷, 약충, 유충 순서(눈금한칸: 1mm)
흡혈 후 산란하는 작은소피참진드기
(3,000∼8,000개 알을 수 주간 산란)


□ SFTS는 예방백신과 표적치료제가 없어 농 작업, 풀 접촉 등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 특히, SFTS 감염자 중에는 50대 이상의 농업 및 임업 종사자의 비율이 높아 농촌지역 고 연령층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 야외활동 시 긴 옷 및 보호 장구를 착용하고 진드기 기피제 등을 사용하여 진드기 노출을 최소화 하고, 귀가 후 샤워, 목욕 등을 통해 몸에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야외활동 후 2주 이내에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식욕부진 ) 등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 또한, 의료종사자는 SFTS 발생 시기인 4~11월 사이에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환자에게는 야외활동 여부를 확인하여 SFTS의 신속한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유의하고, 심폐소생술이나 기도삽관술이 필요한 중증환자 시술 시에는 2차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

 

진드기 매개질환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 >

○ 작업 및 야외활동 전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하여 입기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진드기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작업 및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활동 시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돗자리를 펴서 앉고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 작업 및 야외활동 후

옷을 털고반드시 세탁하기

즉시 목욕하고옷 갈아입기

머리카락귀 주변팔 아래허리무릎 뒤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

진드기에 물린 것이 확인되면 바로 제거하지 말고 의료기관 방문

- 2주 이내에 고열오심구토설사 등의 증상 있을 경우 진료받기


   


[ 보건복지부 2018-05-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513 정부지원 저금리 서민금융상품 사칭 불법광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3.06.20
3512 정부지원 대출 빙자 불법광고 문자 주의!통신금융사기 피해예방 추진-이동통신3사 전가입자 대상 피해예방 문자메시지 발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4 2021.07.05
3511 정부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으로 9억원 피해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18.03.19
3510 접착제 분리돼 익사 위험 있는 Body Glove 튜브형 패들보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2.12.15
3509 접지불량으로 감전 위험 있는 IPSXP 전원공급장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0 2021.02.26
3508 접지단자 불량으로 감전 우려 있는 Micarro 에어프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07.12
3507 접지가 미흡하여 감전 위험있는 Puhui 예열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10.12
3506 접지가 미흡하여 감전 위험있는 Aisilan 벽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3.02.13
3505 접지 연결 미흡하고 감전 우려 있는 Vevor 그라인더 연마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3.11.16
3504 접지 불량 및 접지 단자 고정장치 미흡으로 감전 위험이 있는 DC전원공급장치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8 2023.02.10
3503 접지 미흡으로 감전 위험 있는 Puhui 히터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3.03.13
3502 접지 미흡 등으로 감전, 화재 우려 있는 Vevor 곡물분쇄기(푸드 그라인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3.11.16
3501 점점 더워지는 날씨, 에어컨과 선풍기 화재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8 2020.06.18
3500 젊은 여성(1인), 보이스피싱으로 8억원 피해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17.12.21
3499 절연체 열화로 전류 흐를 수 있는 Zojirushi 전기 조리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3.01.17
3498 절연장치가 미흡해 감전의 위험 있는 수족관 LED 조명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1.02.08
3497 절연 조치 미흡으로 감전 우려 있는 DSHOW 고데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9.07
3496 절연 미흡해 감전 위험있는 Micro-mobility 전기 킥보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3.02.13
3495 절연 미흡해 감전 위험 있는 LED 손전등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3.21
3494 절연 미흡으로 인한 화재발생 위험 있는 스마트 전기오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2.04.01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