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SFTS 환자‧사망자 증가에 따른 감염주의 철저 당부
- 5월 25일까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18명(사망 7명)발생 -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예방의 최선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

◇ 야외활동시 긴옷 및 보호 장구 착용외출 후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 야외활동 후 2주 내 고열오심구토설사식욕부진 등의 증상 발생 시 즉시 진료받기

연도별 사망자수 : 16(’14)21(’15)19(’16)54(’17, 잠정통계)7(’18.5.25 기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8년 1월부터  5월 25일까지 중증열성혈소판 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이하 SFTS)으로 확인된 환자는 총 18명(사망 7명)으로, 전년 동기간 환자 5명(사망 1명)보다 증가함에 따라 SFTS에 대한 감염 주의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SFTS 환자 중 대부분은 60세 이상의 고 연령으로, 성별은 여자 14명
     (77.8%), 남자 4명(22.2%)으로 여자가 많고, 주로 낮은 자세로 농작업,   임산물 채취 등을 하였으며, 발생지역은 경북 4명, 제주 3명, 전북 3명,   경기 3명, 강원 1명, 경남 1명, 충남 1명, 부산 1명, 전남 1명으로 확인되었다.


  ○ SFTS는 주로 4~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주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린 후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을 나타내는 감염병으로 ‘13년 이후 *환자는 625명이었고 이중 **사망자는 134명(치명률21.4%)으로 확인되었다. (☞붙임1, 2참조)
      * 환자수 : 55명(’14)→79명(’15)→165명(’16)→272명(’17, 잠정통계)→18명(‘18, 5.25기준)
     ** 사망자수 : 16명(’14)→21명(’15)→19명(’16)→54명(’17, 잠정통계)→7명(‘18, 5.25기준)

 


작은소피참진드기
암컷, 수컷, 약충, 유충 순서(눈금한칸: 1mm)
흡혈 후 산란하는 작은소피참진드기
(3,000∼8,000개 알을 수 주간 산란)


□ SFTS는 예방백신과 표적치료제가 없어 농 작업, 풀 접촉 등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 특히, SFTS 감염자 중에는 50대 이상의 농업 및 임업 종사자의 비율이 높아 농촌지역 고 연령층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 야외활동 시 긴 옷 및 보호 장구를 착용하고 진드기 기피제 등을 사용하여 진드기 노출을 최소화 하고, 귀가 후 샤워, 목욕 등을 통해 몸에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야외활동 후 2주 이내에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식욕부진 ) 등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 또한, 의료종사자는 SFTS 발생 시기인 4~11월 사이에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환자에게는 야외활동 여부를 확인하여 SFTS의 신속한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유의하고, 심폐소생술이나 기도삽관술이 필요한 중증환자 시술 시에는 2차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

 

진드기 매개질환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 >

○ 작업 및 야외활동 전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하여 입기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진드기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작업 및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활동 시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돗자리를 펴서 앉고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 작업 및 야외활동 후

옷을 털고반드시 세탁하기

즉시 목욕하고옷 갈아입기

머리카락귀 주변팔 아래허리무릎 뒤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

진드기에 물린 것이 확인되면 바로 제거하지 말고 의료기관 방문

- 2주 이내에 고열오심구토설사 등의 증상 있을 경우 진료받기


   


[ 보건복지부 2018-05-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953 최근 4주간 쯔쯔가무시증 환자 5배 이상 증가, 야외활동 시 진드기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1.15
3952 품질 및 위조품 문제로 리콜된 Vevor 휴대용 공기 압축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1.16
3951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Ozona Organics 반려동물 프로바이오틱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1.21
3950 배터리 오작동으로 화재가 발생한 Anchor 로봇청소기 (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1.22
3949 불법적인 채권추심 관련 금융소비자 주의사항 금융소비자 2차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2.06
3948 화재, 유독가스 확산 전에 신속히 대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2.13
3947 미생물에 오염된 TheraBreath 유아용 가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2.13
3946 전문의약품 성분이 함유된 Hado Labo 폼클렌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2.13
3945 감전 사고 위험 있는 Konges Sloejd 야간 조명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2.19
3944 특정 온도에서 부상 방지 효과가 미흡한 Dunlop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2.19
3943 유명 패션브랜드 모방한 사칭사이트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1.22
3942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트로피칼 망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2.16
3941 과열보호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아 화재 위험이 있는 Jigong 열풍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2.15
3940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Frisia 캔디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2.15
3939 사용 중 파손위험 있는 골프 가방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3.18
3938 소비기한이 미표시된 FritoLay 팝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5.10
3937 국내․외 대규모 축제 전후 엠폭스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3.06.20
3936 ‘손 씻기, 음식 익혀 먹기’로 안전하고 건강한 여름 나기 준비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3.07.05
3935 아동·청소년 중심 인플루엔자 본격 유행, 예방접종 서두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3.11.06
3934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미야자키 토무라 드레싱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3.11.21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