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사용 시 주의사항을 담은 동영상 및 소책자 제작·배포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멜라민수지 주방용품을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국민들에게 올바른 사용방법을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 멜라민수지는 합성수지제의 한 종류로 잘 깨지지 않고 가격이 저렴하여 식판, 접시, 밥‧국그릇, 컵, 조리기구 등 다양한 주방용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멜라민수지: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결합하여 만드는 단단한 플라스틱의 한 종류로 매끈하고 단단한 표면의 질감과 촉감이 도자기와 비슷한 특징
○ 국내 유통되는 멜라민수지 기구‧용기는 유해물질 규격을 설정하여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으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면서 고온에 직접 또는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균열이 생겨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가 용출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멜라민 용출규격(mg/L): 우리나라(2.5 이하), 유럽(2.5 이하)
포름알데히드 용출규격(mg/L): 우리나라(4 이하), 유럽(15 이하)

□ 실생활에서 멜라민수지 주방용품을 사용할 때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멜라민수지로 만들어진 기구‧용기를 구입할 때는 ‘식품용’으로 표시가 되어있는 제품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 비식품용 기구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식품 안전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식품용 기구 구분 표시제도’를 2015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
(‘15년 금속제→‘16년 고무제→‘17년 합성수지제→‘18년 유리제 등 7종)
○ 멜라민수지 주방용품의 내열온도는 대부분 110~120℃이나 제품마다 내열온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제품에 표시되어 있는 주의사항을 확인하고 안전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 오븐의 열이나 전자레인지의 고주파에 의해 멜라민수지가 가열되어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직접 열을 가하여 조리하는 용도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멜라민수지는 자외선소독기와 같이 자외선이 강한 환경에 오랫동안 노출 될 경우에는 변색되거나 균열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자외선소독기를 사용하여 소독할 때에는 오랫동안 방치하지 말고 3시간 이내로 짧게 사용해야 합니다.
○ 멜라민수지 주방용품을 세척할 때는 솔 또는 연마분으로 세척하지 말고 부드러운 스펀지를 사용하여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변색되거나 균열, 파손이 있는 경우 새 제품으로 교체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들이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올바른 사용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아울러 멜라민수지 주방용품을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알기 쉽게 ‘멜라민수지 주방용품 똑똑하게 사용하기’ 소책자와 동영상으로도 제작하였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 > 이슈·뉴스·홍보·교육 > 홍보자료 > 기구 및 용기‧포장)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05-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225 농번기, 농기계 안전수칙 지켜 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0 2018.04.19
1224 농기계사고 경운기가 절반, 60세 이상 67%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20.04.10
1223 농기계 체인·벨트에 신체가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3.04.28
1222 농기계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19.04.11
1221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19.10.24
1220 농기계 사고 절반은 경운기 운행 중 발생, 이중 74%가 전도 및 추락!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1.03.18
1219 녹이 발생할 수 있는 스프링이 혼입된 GEX 반려동물용 물 디스펜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 2023.05.12
1218 녹말 이쑤시개는 식품이 아닙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4.01.24
1217 녹농균 오염 위험 있는 Activilong Acticurl 샴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1.10.28
1216 녹농균 오염 가능성이 있는 영유아용 Maryruth’s 유산균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21.12.27
1215 녹농균 오염 가능성 있는 Livia One 유산균 스프레이[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2.03.07
1214 녹농균 오염 가능성 있는 Livia One 액상 유산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2.03.07
1213 녹농균 오염 가능성 있는 Linia One 유산균 스프레이[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2.03.07
1212 녹농균 오염 가능성 있는 Essence 컨실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3.08.18
1211 녹농균 오염 가능성 있는 Bio Life Pet 고양이용 유산균 액상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2.03.08
1210 녹농균 검출된 샴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07.13
1209 녹농균 검출된 샴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07.13
1208 녹농균 검출된 목욕용 물티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2.07.11
1207 녹농균 감염 위험 있는 Method 핸드워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21.01.27
1206 노후아파트, 전기안전 취약하고 화재 위험 높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17.11.02
Board Pagination Prev 1 ...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