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3월 이후 연속 3주간 유행기준(6.6/외래환자 1,000이하로 감소

◇ 감염병 예방을 위한 올바른 손씻기 및 기침예절 준수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7년 12월 1일 발령하였던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5월 25일(금)부터 해제한다고 밝혔다.
    * 2017-2018절기 유행기준: 6.6명(외래환자 1,000명당)

 ○ 인플루엔자 표본감시결과 의사환자수*는 제18주 (4.29~5.5) 6.2명 (외래환자 1,000명당), 제19주(5.6~5.12) 6.1명, 제20주(5.13~5.19) 6.0명으로 3주 연속 유행기준(6.6명)보다 낮았다.
     * 의사환자: 38℃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과 더불어 기침 또는 인후통을 보이는 자
     * 제20주(5.13∼5.19)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양성률 2.8%(7건/252건 의뢰)

 ○ 유행해제는 의사환자수가 3월 이후 3주 연속 유행기준이하일 경우 인플루엔자 자문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결정하고 있으며, 5월 23일 자문결과 2017-2018절기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5월 25일 해제하기로 결정했다.

 

<주간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 : 첨부 참고
<주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 : 첨부 참고


□ 2017-2018절기 인플루엔자는 2016-2017 절기에 비하여 2주 빠르게  정점에 도달하였고, 유행초기부터 B형 인플루엔자가 A형과 함께 유행하였으며, 3~4월의 봄철 인플루엔자 유행은 없었다.

 ○ 2017-2018절기의 정점은 ‘18년 1주(12.31~1.6) 72.1명으로 지난 절기의 정점인 ’16년 52주(12.18~2.24) 86.2명보다 시기가 빨랐으며 의사환자는 낮게 나타났다.
 ○ 그러나 과거 B형 인플루엔자는 봄철 유행을 하였으나, 이번 절기에는 유행초기부터 A형과 B형이 함께 발생하는 양상을 보였다.

발생분율*(/1,000)

 

(Week)

12

13

14

15

16

17

18

19

20

2016-2017절기

13.1

13.7

16.7

15.8

14.5

13.3

9.5

6.8

7.6

2017-2018절기

8.0

7.2

6.2

6.8

5.8

7.6

6.2

6.1

6.0

* 2013년 제36주부터 개편된 인플루엔자 표본감시체계를 통해 신고 된 자료임(200개 기관 참여)

 ○ 유행주의보 발령시점과 종료 시점 모두 지난절기에 비해 한 주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절기별 유행기준 및 유행주의보 발령·종료 시점

절기

유행기준

(/1,000)

유행주의보 발령 시점

(ILI/1,000)

유행주의보 해제 시점(ILI)

정점(ILI/1,000)

1

2

2017-2018

6.6

2017.12.1.(7.7)

2018.5.25.(6.0)

72.1(1)

-

2016-2017

8.9

2016.12.8.(13.5)

2017.6.2.(6.7)

86.2(52)

-

2015-2016

11.3

2016.1.4(12.3)

2016.5.27.(6.0)

53.8(7)

-

2014-2015

12.2

2015.1.22(14.0)

2015.5.21(6.2)

45.5(8)

35.6(12)

2013-2014

12.1

2014.1.2(15.3)

2014.5.1(6.4)

64.3(7)

-

2012-2013

4.0

2013.1.17(4.8)

2013.5.27(2.8)

12.7(9)

-

2011-2012

3.8

2012.1.5(4.7)

2012.5.25(2.8)

23.1(6)

20.3(13)

2010-2011

2.9

2010.10.1(4.48)

미실시

23.89(52)

-

2009-2010

2.6

[A(H1N1)pdm09 발생]

미실시

44.96(45)

20.45(15)

  

 

□ 질병관리본부는 인플루엔자 유행은 해제되었지만 수족구병 등이 증가하고 있고, 각종 감염병 예방을 위해 평소 철저한 손씻기 및 기침예절 준수를 당부하였다.
 

  

 개인위생수칙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외출 배변 후식사 전·기저귀 교체 전·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 후 등

 기침예절 실천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기침 후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실천

호흡기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 착용

 자기 손으로  만지지 않기


   


[ 보건복지부 2018-05-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73 핸들바 파손으로 낙상 위험 있는 자전거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1 2017.07.31
4172 핸들바 파손위험 있는 킥보드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44 2017.04.27
4171 핸들 쏠림 현상이 발생하는 볼트EUV 차량 무상수리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05.22
4170 해파리에 쏘이면 즉시 물 밖으로 나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5 2017.07.24
4169 해파리 쏘임 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8 2019.07.18
4168 해충방지 효과 없는 논‧밭두렁 태우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6 2020.02.13
4167 해외직구식품, 위해성분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1.09.17
4166 해외직구를 통한 건강식품 소비자 구매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4.01
4165 해외직구 화장품에서 MIT(메칠이소치아졸리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3 2019.11.14
4164 해외직구 시 사기의심 사이트 거래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3 2019.02.01
4163 해외직구 배송대행 서비스‘미배송·배송지연’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4 2019.07.31
4162 해외주식 거래 관련 투자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2.08.22
4161 해외제조업소 현지실사 결과에 따른 필리핀 스낵과자 수입중단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4 2017.10.10
4160 해외용 포켓 와이파이, 통신 장애 시 배상받기 어려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5 2019.03.06
4159 해외여행객 모기매개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6 2018.07.18
4158 해외여행 전에 꼭 확인해요, 국가별 여행경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5 2019.02.27
4157 해외여행 시 주의해야 할 감염병, 알고 계신가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7.25
4156 해외여행 시 뎅기열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2 2022.06.14
4155 해외여행 다녀오셨나요, 감염병이 의심되면 이렇게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1 2017.10.10
4154 해외식품 구매대행 안전하게 이용하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18.04.26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