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3월 이후 연속 3주간 유행기준(6.6/외래환자 1,000이하로 감소

◇ 감염병 예방을 위한 올바른 손씻기 및 기침예절 준수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7년 12월 1일 발령하였던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5월 25일(금)부터 해제한다고 밝혔다.
    * 2017-2018절기 유행기준: 6.6명(외래환자 1,000명당)

 ○ 인플루엔자 표본감시결과 의사환자수*는 제18주 (4.29~5.5) 6.2명 (외래환자 1,000명당), 제19주(5.6~5.12) 6.1명, 제20주(5.13~5.19) 6.0명으로 3주 연속 유행기준(6.6명)보다 낮았다.
     * 의사환자: 38℃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과 더불어 기침 또는 인후통을 보이는 자
     * 제20주(5.13∼5.19)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양성률 2.8%(7건/252건 의뢰)

 ○ 유행해제는 의사환자수가 3월 이후 3주 연속 유행기준이하일 경우 인플루엔자 자문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결정하고 있으며, 5월 23일 자문결과 2017-2018절기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5월 25일 해제하기로 결정했다.

 

<주간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 : 첨부 참고
<주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 : 첨부 참고


□ 2017-2018절기 인플루엔자는 2016-2017 절기에 비하여 2주 빠르게  정점에 도달하였고, 유행초기부터 B형 인플루엔자가 A형과 함께 유행하였으며, 3~4월의 봄철 인플루엔자 유행은 없었다.

 ○ 2017-2018절기의 정점은 ‘18년 1주(12.31~1.6) 72.1명으로 지난 절기의 정점인 ’16년 52주(12.18~2.24) 86.2명보다 시기가 빨랐으며 의사환자는 낮게 나타났다.
 ○ 그러나 과거 B형 인플루엔자는 봄철 유행을 하였으나, 이번 절기에는 유행초기부터 A형과 B형이 함께 발생하는 양상을 보였다.

발생분율*(/1,000)

 

(Week)

12

13

14

15

16

17

18

19

20

2016-2017절기

13.1

13.7

16.7

15.8

14.5

13.3

9.5

6.8

7.6

2017-2018절기

8.0

7.2

6.2

6.8

5.8

7.6

6.2

6.1

6.0

* 2013년 제36주부터 개편된 인플루엔자 표본감시체계를 통해 신고 된 자료임(200개 기관 참여)

 ○ 유행주의보 발령시점과 종료 시점 모두 지난절기에 비해 한 주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절기별 유행기준 및 유행주의보 발령·종료 시점

절기

유행기준

(/1,000)

유행주의보 발령 시점

(ILI/1,000)

유행주의보 해제 시점(ILI)

정점(ILI/1,000)

1

2

2017-2018

6.6

2017.12.1.(7.7)

2018.5.25.(6.0)

72.1(1)

-

2016-2017

8.9

2016.12.8.(13.5)

2017.6.2.(6.7)

86.2(52)

-

2015-2016

11.3

2016.1.4(12.3)

2016.5.27.(6.0)

53.8(7)

-

2014-2015

12.2

2015.1.22(14.0)

2015.5.21(6.2)

45.5(8)

35.6(12)

2013-2014

12.1

2014.1.2(15.3)

2014.5.1(6.4)

64.3(7)

-

2012-2013

4.0

2013.1.17(4.8)

2013.5.27(2.8)

12.7(9)

-

2011-2012

3.8

2012.1.5(4.7)

2012.5.25(2.8)

23.1(6)

20.3(13)

2010-2011

2.9

2010.10.1(4.48)

미실시

23.89(52)

-

2009-2010

2.6

[A(H1N1)pdm09 발생]

미실시

44.96(45)

20.45(15)

  

 

□ 질병관리본부는 인플루엔자 유행은 해제되었지만 수족구병 등이 증가하고 있고, 각종 감염병 예방을 위해 평소 철저한 손씻기 및 기침예절 준수를 당부하였다.
 

  

 개인위생수칙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외출 배변 후식사 전·기저귀 교체 전·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 후 등

 기침예절 실천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기침 후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실천

호흡기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 착용

 자기 손으로  만지지 않기


   


[ 보건복지부 2018-05-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32 유아․어린이 안전 위해제품 28개 리콜명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364 2015.05.11
3031 유아 질식 위험 있는 Toxic Waste 롤링 볼 사탕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5.07
3030 유사투자자문서비스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21.08.11
3029 유사투자자문 피해신고 급증, 금융소비자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18.08.27
3028 유모차, LED등기구, 가정용 서랍장 등 66개 제품 리콜 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1.06.04
3027 유모차 쇼핑몰 A KID / BABYSALEMALL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23.04.27
3026 유명 피트니스플랫폼 피해신고 급증…소비자 이용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11.04
3025 유명 패션브랜드 모방한 사칭사이트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4.01.22
3024 유명 패션 브랜드 ‘아미(ami)’ 사칭 해외 온라인 쇼핑몰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0 2021.05.27
3023 유명 아이돌그룹 굿즈 판매 온라인 쇼핑몰 소비자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1.02.04
3022 유명 선글라스 브랜드 ‘레이밴’ 사칭 사이트 거래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0.06.29
3021 유명 브랜드 사칭 해외직구 쇼핑몰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8.02.23
3020 유명 브랜드 가품 판매하는 해외쇼핑몰 “시크타임(Chic-Time)”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10.23
3019 유리파편 혼입되어 부상 위험 있는 Parsons Pickles 홍합절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7.19
3018 유리조각이 혼입된 ‘혼합음료’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2 2017.07.24
3017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Weleda 바디로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1.06.24
3016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Miss Vickie’s 과자 판매차단(4)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20.12.07
3015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Miss Vickie’s 과자 판매차단(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0.12.07
3014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Miss Vickie’s 과자 판매차단(1)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0 2020.12.07
3013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Miss Vickie’s 과자 판매차단 (3)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0.12.07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