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3월 이후 연속 3주간 유행기준(6.6/외래환자 1,000이하로 감소

◇ 감염병 예방을 위한 올바른 손씻기 및 기침예절 준수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7년 12월 1일 발령하였던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5월 25일(금)부터 해제한다고 밝혔다.
    * 2017-2018절기 유행기준: 6.6명(외래환자 1,000명당)

 ○ 인플루엔자 표본감시결과 의사환자수*는 제18주 (4.29~5.5) 6.2명 (외래환자 1,000명당), 제19주(5.6~5.12) 6.1명, 제20주(5.13~5.19) 6.0명으로 3주 연속 유행기준(6.6명)보다 낮았다.
     * 의사환자: 38℃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과 더불어 기침 또는 인후통을 보이는 자
     * 제20주(5.13∼5.19)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양성률 2.8%(7건/252건 의뢰)

 ○ 유행해제는 의사환자수가 3월 이후 3주 연속 유행기준이하일 경우 인플루엔자 자문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결정하고 있으며, 5월 23일 자문결과 2017-2018절기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5월 25일 해제하기로 결정했다.

 

<주간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 : 첨부 참고
<주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 : 첨부 참고


□ 2017-2018절기 인플루엔자는 2016-2017 절기에 비하여 2주 빠르게  정점에 도달하였고, 유행초기부터 B형 인플루엔자가 A형과 함께 유행하였으며, 3~4월의 봄철 인플루엔자 유행은 없었다.

 ○ 2017-2018절기의 정점은 ‘18년 1주(12.31~1.6) 72.1명으로 지난 절기의 정점인 ’16년 52주(12.18~2.24) 86.2명보다 시기가 빨랐으며 의사환자는 낮게 나타났다.
 ○ 그러나 과거 B형 인플루엔자는 봄철 유행을 하였으나, 이번 절기에는 유행초기부터 A형과 B형이 함께 발생하는 양상을 보였다.

발생분율*(/1,000)

 

(Week)

12

13

14

15

16

17

18

19

20

2016-2017절기

13.1

13.7

16.7

15.8

14.5

13.3

9.5

6.8

7.6

2017-2018절기

8.0

7.2

6.2

6.8

5.8

7.6

6.2

6.1

6.0

* 2013년 제36주부터 개편된 인플루엔자 표본감시체계를 통해 신고 된 자료임(200개 기관 참여)

 ○ 유행주의보 발령시점과 종료 시점 모두 지난절기에 비해 한 주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절기별 유행기준 및 유행주의보 발령·종료 시점

절기

유행기준

(/1,000)

유행주의보 발령 시점

(ILI/1,000)

유행주의보 해제 시점(ILI)

정점(ILI/1,000)

1

2

2017-2018

6.6

2017.12.1.(7.7)

2018.5.25.(6.0)

72.1(1)

-

2016-2017

8.9

2016.12.8.(13.5)

2017.6.2.(6.7)

86.2(52)

-

2015-2016

11.3

2016.1.4(12.3)

2016.5.27.(6.0)

53.8(7)

-

2014-2015

12.2

2015.1.22(14.0)

2015.5.21(6.2)

45.5(8)

35.6(12)

2013-2014

12.1

2014.1.2(15.3)

2014.5.1(6.4)

64.3(7)

-

2012-2013

4.0

2013.1.17(4.8)

2013.5.27(2.8)

12.7(9)

-

2011-2012

3.8

2012.1.5(4.7)

2012.5.25(2.8)

23.1(6)

20.3(13)

2010-2011

2.9

2010.10.1(4.48)

미실시

23.89(52)

-

2009-2010

2.6

[A(H1N1)pdm09 발생]

미실시

44.96(45)

20.45(15)

  

 

□ 질병관리본부는 인플루엔자 유행은 해제되었지만 수족구병 등이 증가하고 있고, 각종 감염병 예방을 위해 평소 철저한 손씻기 및 기침예절 준수를 당부하였다.
 

  

 개인위생수칙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외출 배변 후식사 전·기저귀 교체 전·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 후 등

 기침예절 실천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기침 후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 실천

호흡기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 착용

 자기 손으로  만지지 않기


   


[ 보건복지부 2018-05-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73 단추형 전지 삼킴 위험 있는 DIY 테라리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9.28
3072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커피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09.28
3071 산악사고, 산불 등 위험 요인은 안전신문고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09.28
3070 화로용 ‘에탄올 연료’ 화재 위험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09.28
3069 피부 쥐젖(연성 섬유종), 함부로 제거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09.28
3068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4)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09.27
3067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3)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2.09.27
3066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2)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2.09.27
3065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1)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2.09.27
3064 벤젠 검출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2.09.27
3063 알레르기 유발물질(우유) 미표시한 초콜릿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09.27
3062 알레르기 유발물질(땅콩 등 견과류, 참깨) 미표시한 스무디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9.27
3061 식품첨가제(식용색소, 산화방지제) 기준치 초과 검출된 씨리얼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2.09.27
3060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경관식 음료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9.27
3059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프로틴 음료(4)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09.27
3058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프로틴 음료(3)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2.09.27
3057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프로틴 음료(2)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2.09.27
3056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프로틴 음료(1)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09.27
3055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우유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09.27
3054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귀리 음료(2)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09.27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