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인도 남부 케랄라(Kerala)주 니파바이러스감염증 발생

인도 여행객귀국 시 검역관에게 건강상태질문서 필히 제출

발생지역 방문 후 14일 이내 의심증상(발열 등발생 시 1339콜센터 문의

◇ 여행시 동물·환자 접촉금지 등 예방수칙 철저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5월 22일(화) 인도에서 니파바이러스감염증 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인도 여행을 고려하는 국민들에게 해당 지역 방문 시 감염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 인도 보건부는 5월 23일 인도(India)의 남부 케랄라(Kerala)주에서 니파바이러스감염증으로 인해 환자 13명(사망자 10명)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 케랄라주는 서남부 해안 지역으로 수도 뉴델리와는 2,600km이상 떨어져 있음

< 니파바이러스감염증 환자발생지역(케랄라 주 코지코드 및 말라푸람 지역) > : 붙임 참고
 

 ○ 질병관리본부는 제한된 범위에서의 사람간 전파가 가능하고, 정확한 환자수가 파악되지 않아 추가적인 환자보고가 있을 것으로 분석하였다.
     * 94명 자택격리, 9명 병원감시, 7명 입원중(‘18.5.22 기준, 인도 보건부)

□ 니파바이러스감염증은 니파바이러스(Nipah virus) 감염에 의한 바이러스성 인수공통감염병으로, 평균 5-14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 두통 등 증상이 3-14일간 지속되며, 이후 나른함, 정신 혼란·착란 등의 임상 양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제는 없고 증상에 대한 치료만 가능하며, 인체감염 예방 백신은 아직 개발되어있지 않다.

□ 질병관리본부는 발생지역에서는 동물 및 환자와의 접촉 등을 통해서도 전파가 가능하므로, 손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발생지역에서 박쥐, 돼지 등 동물과 접촉을 피하고, 대추야자 수액을 섭취하지 않는 등 여행 시 주의사항을 준수할 것을 권고하였다.
 ○ 아울러, 발생지역 방문자는 귀국 시 검역관에게 건강상태질문서를 제출하고, 발열, 두통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검역관에게 신고할 것과 귀국 후 14일 이내 발열, 두통 등 이상증상 발생 시 ☎1339 질병관리본부 콜센터로 문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 니파바이러스감염증 특성 등은 발생지역의 정보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보건복지부 2018-05-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26 제조 결함으로 화재나 감전 위험 있는 Diago 전원공급장치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3 2018.05.17
4125 화재나 화학적 화상의 위험 있는 AmazonBasics 보조배터리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2 2018.05.17
4124 부처님 오신 날 촛불·전기 화재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18.05.18
4123 보이스피싱 범죄의 재구성, '바로 이 목소리'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5 2018.05.23
4122 일상화 되고 있는 임플란트, 보험사기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18.05.24
4121 한낮은 이미 여름,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9 2018.05.24
» 인도 니파바이러스감염증 발생…여행자 감염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2 2018.05.25
4119 2017-2018절기 인플루엔자“유행주의보 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18.05.25
4118 식약처, 구강용 ‘벤조카인 제제’ 24개월 미만 영아에 사용 금지토록하는 안전성 서한 배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8.05.29
4117 멜라민수지 주방용품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1 2018.05.29
4116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계약해지 시 위약금 과다청구 등 피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4 2018.05.30
4115 2018년 1/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4 2018.05.30
4114 SFTS 환자&#8231;사망자 증가에 따른 감염주의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18.05.31
4113 무좀약 등, 안약으로 오인해 눈에 넣는 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8.05.31
4112 6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9 2018.05.31
4111 국민 10명 중 7명은 아파트 단지 내 보행안전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8.05.31
4110 「해외안전지킴센터」, 24시간·365일 가동 해외체류 국민 안전 책임지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8.05.31
4109 유행성각결막염 감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8.06.01
4108 폭염 시 외출이나 야외활동 자제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3 2018.06.04
4107 여름 산행 한낮 더위는 피해서 쉬엄쉬엄 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18.06.07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251 Next
/ 25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