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11:09에 B지방경찰청 상황실에 여객선이 암초에 걸려 좌초하여 표류중이라는 신고가 접수되었다. 신고를 접수받은 A경사는 해양사고임을 파악하자마자 바로 B해양경찰서로 신고를 이관하였다. B해양경찰서 상황실 접수요원으로 근무 중인 C경위는 11:10에 신고를 이관받자마자 즉시 경광봉과 공청장치를 작동하였고, 신고자와 통화를 계속 하였다. 이에 따라 상황실 내 경광봉에 빨간 불이 들어오면서 B해양경찰서 관할 파출소와 함정, 구조대까지 동시에 사고알림과 공동청취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신고접수를 완료한 C경위는 사고지점 인근 파출소 2곳, 해역에 가까이 있던 함정 3척에 11:12에 출동지시를 내렸고 구조대는 경광봉과 공청으로 사전 출동준비를 하게 되어 11:17에 출동하게 되었다. 그동안 긴급신고가 접수되면 C경위의 마음은 항상 초조했다. 신고접수를 받고 파출소, 경비함정, 구조대에 자세히 설명하며 출동지령을 내려 구조세력이 출동하기까지 시간이 다소 소요됐기 때문이다. 해양사건사고 특성상 현장까지의 이동시간도 오래 걸려 신고접수 후 출동까지 시간단축이 필수적이라, 이번에 C경위는 유관기관들과의 지속적인 훈련으로 원활한 신고접수가 가능해지고, 경광봉과 공청으로 출동시간이 줄어든 것에 대해 안도감을 느끼게 되었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16년부터 시작한 긴급신고 통합서비스의 2단계 사업이 올 3월에 마무리됨에 따라 기관 간 신고출동정보를 확대 공유하면서 더욱 빠른 신고접수와 출동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긴급신고전화 통합사업은 지난 2014년 세월호 침몰사고 발생 시 신고과정에서 반복설명 등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지적에 따라 행안부 주관으로 4개의 유관기관(경찰, 소방, 해경, 국민권익위원회)과 함께 57개 상황실 간 신고정보 공유와 협력기반을 마련하여(’16년 10월~) 신고정보가 단 한 번의 클릭만으로 통합시스템을 통해 공유되고 각 기관으로 신고이관은 169초에서 110초로 35%, 공동대응은 기존 466초에서 250초로 46% 단축하게 되었다.

이번 2단계 사업은 지난 ’16년 1단계 사업으로 신고전화 통합 이후 시스템 운영상 미흡한 부분을 개선하고자, 기관 간 정보전달 방식, 신고접수 방식, 공동대응 요청 처리절차 간소화 등 단계와 시간을 축소⋅단축하여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신고접수뿐만 아니라 출동시간 또한 단축하기 위하여 경찰 순찰차 태블릿에 신고내용, 위치, 녹취록 등 공동대응 정보를 공유하여 현장 대응력이 더욱 강화되었으며, 해경청에서는 해경서, 파출소 및 함정까지 경광봉을 설치하여 출동예고 알림과 신고전화 LTE 공청기능 등을 구축하여 출동대는 사고내용을 사전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출동시간을 17분에서 11분으로 약 6분 정도가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긴급신고전화 통합 이후 국민들의 정책 인지도가 높아졌으며 운영평가 또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국민 인지도가 2016년 말 38.2%*에서 2017년 말 66.9%**로 28.7%p 대폭 상승하여 국민들이 긴급 상황이 발생하거나 생활불편민원 발생 시 더욱더 편리하게 신고를 할 수 있는 기반이 다져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조사에 따르면 긴급신고전화 통합 운영에 대한 조사 대상자 중 90% 이상이 긍정적으로 답하였다.

향후 행정안전부는 더욱 빠르고 정확한 신고접수를 위해 신고접수자에게 체계적인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음성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지능형 신고접수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여 신고접수 대응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석진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긴급신고전화 접수체계를 효율적으로 운영토록 개선한데 이어, 향후 대응기관 간 숙달훈련을 통해 대응능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면서, “각종 사건‧사고 발생 시 당황하지 말고 112, 119로 즉시 신고하고, 나머지 모든 민원상담은 110으로 전화하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당부 드린다.”라고 말했다.

담당: 안전제도과 김형환(044-205-8337)

 

[행정안전부 2018-05-2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55 프리미엄 고속버스, 중·장거리 노선확대로 이용객 선택권 및 편의성 제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6 30
5754 천재지변·질병·사고 등으로 응시 못하면 중·고등학교 입학전형료 돌려줘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6 33
5753 공설 묘지·납골당 중도해지 및 사용료 반환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6 742
5752 정책관련 정보도 ‘정부24’에서 손쉽게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2 28
5751 식품 원료로 수입할 수 없는 수입 수산부산물로 제조한 조미건어포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2 40
5750 어린이집 교사의 쉼(休)을 위해, 보조교사 6000명 추가 채용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1 43
5749 질병관리본부와 친구가 되어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1 56
5748 장례식장 등 장사시설에서 거래명세서 발급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1 40
5747 BMW MINI, FCA, 푸조, 시트로엥, FMK 리콜 실시(총 25개 차종 1,351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1 37
5746 불법촬영물, 9월부터 국가가 가해자에 ‘삭제비용’받아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0 38
5745 7월부터 저소득층 589만 세대 건강보험료 21% 내려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0 28
5744 보다 편리해진 정보공개 이제 스마트폰 신청도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0 33
5743 국가전문자격 취득 시 경력증명이 보다 간편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0 27
5742 난임 환자와 임신부, 산모에 대한 의학적, 심리적 지원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0 31
5741 의원급 건강검진기관,“우수등급”은 늘고“미흡등급”은 줄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0 28
Board Pagination Prev 1 ...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