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연등과 촛불 등 화기 취급이 늘면서 국민들에게 화재 발생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12~‘16) 사찰에서 발생한 화재는 총 262건이며, 13명의 인명피해(사망1, 부상12)가 발생하였다.

발생 원인을 자세히 살펴보면, 불씨‧불꽃 방치 등 부주의가 36%(94건)로 가장 많았고, 전기 접촉 불량이나 열화 등으로 인한 전기적 요인이 27%(71건),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도 24%(63건)나 발생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전국의 2만7천여 불교 사찰 중 966개소가 민족문화 유산으로 보존 가치가 있는 전통사찰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국가지정문화재* 현황을 살펴보면 목조와 종이 등 불이 옮겨 붙기 쉽고 타기 쉬운 문화재 비율은 전체(4,525건)의 31%(1,413건)로 높은 편이다. 이 중, 종교별 문화재 보유 현황을 보면 기타를 제외하고는 불교가 가장 많아 사찰 화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부처님 오신 날(5.22) 즈음에는 각종 불교 행사로 화기 취급이 증가하고 평소보다 많은 전기와 가스 사용으로 화재 위험이 높다.

특히, 목조 건축물이 대부분인 전통사찰은 일반적인(철근 콘크리트) 건물과 달리 화재 시 연소 확대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연등을 달 때는 전선이 꼬이거나 눌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콘센트를 문어발처럼 꽂아 쓰면 과열되어 위험하니 단독 콘센트를 사용한다.

촛불이나 향불을 피울 때는 주변에 불이 옮겨 붙기 쉬운 가연성 물질은 멀리하고, 불을 켜 놓은 채 자리를 비우지 않는다.

특히, 조리실 등 불이 나기 쉽고 화재 위험이 높은 장소일수록 눈에 잘 띄는 곳에 소화기를 비치하여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연등축제나 봉축법요식 등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곳에서는 사소한 부주의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니 기본질서와 안전수칙을 지켜 사고를 예방한다.

한성원 행정안전부 안전관리정책관은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연등행사나 봉축법요식에 참가하는 국민들도 화재 발생에 각별히 주의하고, 기본질서를 잘 지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것”을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05-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26 제조 결함으로 화재나 감전 위험 있는 Diago 전원공급장치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3 2018.05.17
4125 화재나 화학적 화상의 위험 있는 AmazonBasics 보조배터리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2 2018.05.17
» 부처님 오신 날 촛불·전기 화재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18.05.18
4123 보이스피싱 범죄의 재구성, '바로 이 목소리'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5 2018.05.23
4122 일상화 되고 있는 임플란트, 보험사기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18.05.24
4121 한낮은 이미 여름,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9 2018.05.24
4120 인도 니파바이러스감염증 발생…여행자 감염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2 2018.05.25
4119 2017-2018절기 인플루엔자“유행주의보 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18.05.25
4118 식약처, 구강용 ‘벤조카인 제제’ 24개월 미만 영아에 사용 금지토록하는 안전성 서한 배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8.05.29
4117 멜라민수지 주방용품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1 2018.05.29
4116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계약해지 시 위약금 과다청구 등 피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4 2018.05.30
4115 2018년 1/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4 2018.05.30
4114 SFTS 환자‧사망자 증가에 따른 감염주의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18.05.31
4113 무좀약 등, 안약으로 오인해 눈에 넣는 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8.05.31
4112 6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9 2018.05.31
4111 국민 10명 중 7명은 아파트 단지 내 보행안전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8.05.31
4110 「해외안전지킴센터」, 24시간·365일 가동 해외체류 국민 안전 책임지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8.05.31
4109 유행성각결막염 감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8.06.01
4108 폭염 시 외출이나 야외활동 자제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3 2018.06.04
4107 여름 산행 한낮 더위는 피해서 쉬엄쉬엄 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18.06.07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251 Next
/ 25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