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경찰청(청장 이철성), 최근 보이스피싱 피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국민 여러분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2017년 피해규모가 크게 늘어나 2016년 대비 발생건수는 42.4%, 피해액은 68.3% 각각 상승했다.

 

2017년 기준, 매일 평균 67건의 보이스피싱 피해사건이 경찰에 접수되고, 6.7억 원 상당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보이스피싱 피해 증가추세는 2018년에도 계속되고 있어 많은 관심과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보이스피싱 피해현황 분석결과(20181~4), 11,196·1,184억 원의 피해가 발생했고, 이중 대출사기형의 비중이 컸다.

 

대출사기형은 전체 발생건수의 81%, 피해금액의 66%를 차지하고 있었고, 기관사칭형보다 전년대비 증가 폭도 컸다.

 

기관사칭형은 경찰·검찰·금감원 등을 사칭하여 범죄에 연루되었다거나 대포통장 개설 등을 빙자, 불법자금인지 여부를 확인해야한다거나 보호조치가 필요하다며 돈을 요구하는 수법으로, 검사(검찰)를 사칭한 범행으로 인한 피해사례가 1,590건으로 전체 기관사칭형 2,130건 중 과반 이상을 차지(74.6%)했다.

 

피해는 20·30대 여성에게 집중(70%)되어있고, 피해금을 사기범이 알려준 계좌로 이체(50%) 하거나 금감원 직원 등을 사칭한 범인에게 직접 건네는 사례(42%)가 많았다.

 

대출사기형은 금융기관을 사칭하여 대환대출(고금리저금리), 신용등급 상향, 보험료, 공증료 납부 등 대출에 필요하다며 갖은 명목으로 선 입금을 요구하는 수법으로,

 

사칭대상은 캐피탈(33.3%, 3,017), 시중은행(28.2%, 2,555), 저축은행(21%, 1,901), 특수은행(9%, 819), 대부업체(3%, 269)순으로 많고, 피해자는 40·50대 남성이 많고(37%), 수법으로는 이용 중인 금리보다 싼 금리로 대출해 주겠다는 대환대출이 많았다(66%).

 

보이스피싱 피해가 증가하는 이유로는 법죄수법의 진화, 경각심 둔화, 인식과 현실의 차이 등을 들 수 있다.

 

보이스피싱은 특정한 성별·연령층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누구나 피해당사자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경찰청·금감원 등에서 제공하는 범죄수법이나 예방방법, 행동요령 등에 대해 평소 관심을 갖고 숙지해야 한다.

 

경찰청·금감원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보이스피싱 지킴이홈페이지에 방문하면 실제 사기범의 목소리, 주요 범죄수법, 예방방법, 피해구제 절차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경찰·검찰·금감원이라면서 현금인출, 계좌이체를 요구한다거나, 금융기관이라며 대출에 필요하니 선입금을 요구하는 전화는 무조건 보이스피싱을 의심해야 한다.

 

사기로 의심되는 전화나 메일·문자를 받았다면 인터넷진흥원에서 운영하는 보호나라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신고하고, 모르는 상대방이 보내준 문자 메시지나 메일에 포함된 링크를 확인하면 악성 프로그램이 설치되거나 가짜 공공기관·금융기관 홈페이지로 접속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의심스러우면 금융감독원(1332)과 상담하고, 만일 금전피해가 발생했다면 곧바로 경찰청(112)에 신고하여 도움을 받아야 한다.

 

앞으로 경찰청은 보이스피싱 사기범에 대해 강력히 단속하는 한편, 금감원 등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조로 피해를 줄여나겠다고 밝혔다.

 


[ 경찰청 2018-05-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83 새학년·신학기 고민은 청소년상담1388로 지금 연락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5 11
7582 새학년, 새학기 고민 ‘청소년상담1388’에서 나눠보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05 27
7581 새학기 청소년 고민, 사회관계망서비스에서 상담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2 60
7580 새치용 염모제, 염색 밝기·윤기 등 제품 특성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4 68
7579 새집증후군 예방 위한 친환경 건축자재 성능·안전성 점검 진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1 41
7578 새일센터에서 직업훈련부터 취업까지 한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6 19
7577 새일센터, 올해 경력단절여성 1만 5천명 대상 774개 무료 직업훈련과정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6 37
7576 새벽배송, 배송지연 시 자체 보상기준 없고 유통기한 등 표시 미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24 22
7575 새마을금고, 지역주민을 위한 금융지원 서비스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4 83
7574 새마을금고, 중도해지한 예적금 재예치 혜택기한이 이틀 뒤 종료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3 18
7573 새마을금고 민원 말로만 신청해도 OK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3 151
7572 새마을금고 맡기신 예적금, 안전하게 보호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6 19
7571 새마을·무궁화호 열차 서비스 크게 개선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3 75
7570 새롭게 더해진‘영사민원24’ 5가지 서비스를 이용해 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9 19
7569 새롭게 개편된 생활안전지도에서 안전정보를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07 16
Board Pagination Prev 1 ...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