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앞으로 신규 감리원은 초급 또는 중급 건설기술자로서 만 34세 이하여야 하고, 여성 감리원의 출산휴가나 육아휴직은 감리원 교체건수에 포함하지 않도록 개선된다.

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는 공동주택 감리제도의 도입 취지에 부합하고, 부실감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주택건설공사 감리자지정기준」과 「주택건설공사 감리업무 세부기준」의 개정안을 마련해 8월 31일(월)부터 행정예고 한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주택건설공사 감리자지정기준 개정 사항 》

① 신규감리원의 자격요건 개선

현행 신규감리원은 초급 또는 중금건설기술자로서 총 경력*이 4년 이하인 자로서, 청년취업난을 해소하고 전문감리원을 육성하기 위하여 도입되었으나, 제도의 취지와 다르게 나이와 경력이 많은 자가 신규감리원으로 배치되는 사례가 발생하여, 신규감리원 자격요건을 초급 또는 중급건설기술자로서 만 34세 이하인 자로 변경하기로 하였다.
* 분야별 감리원의 경력 및 실적 산정방법에 따라 산정

② 감리원 교체건수 제외대상의 확대

감리원의 입대·이민·3월 이상의 요양을 요하는 부상 또는 질병으로 감리원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교체건수*에서 제외되나, 여성감리원의 출산휴가, 육아휴직은 교체건수에 포함되어 현장에서 여성감리원의 배치를 기피하고 있어, 출산장려 및 여성고용창출을 위해 감리원 교체건수 제외대상에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포함하기로 하였다.
* 감리자 입찰참여 시 감리자 및 감리원에 대하여 교체빈도(건수)를 평가

③ 행정제재(부실벌점) 평가기준 개선

감리자의 부실벌점을 누계평균*으로 평가하고 있으나, 여러 현장을 감리하는 감리자가 대부분으로 누계평균 방식으로는 부실감리자에 대한 행정제재 효과가 떨어지고 있어, 감리자의 부실벌점을 평가할 경우, 최근 2년간의 벌점합계로 평가하여 감리자 선정 시 실질적으로 부실감리자가 감점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최근 2년간의 평균벌점(해당 반기에 동일 업체의 건설공사 또는 건설기술용역을 2개 이상 점검한 경우에는 업체가 해당 공사 또는 용역에서 받은 벌점의 합을 그 점검한 공사 또는 용역의 수로 나누어 산정한 벌점)의 합계를 2로 나눈 값

④ 비평가대상감리원 등 실명 기재 대상 확대

감리원 배치계획서에 비평가대상감리원, 조경감리원 등은 등급만 표기하도록 하여 사업마다 감리원의 채용과 퇴사가 반복되어 감리원의 책임의식·소속감 부족으로 부실감리 발생이 우려되어, 감리원 배치 시 비평가대상감리원, 조경감리원 및 신규감리원도 실명을 기입하게 하여 감리원의 소속감을 고취시켜 부실감리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하였다.

⑤ 토목감리원 경력인정 내용 및 비율 조정

모든 설비공사의 경력을 인정하는 설비분야 감리원과 달리 토목분야 감리원은 주택건설공사, 건축공사, 도로·택지조성공사에 한해 감리경력을 인정함에 따라 형평성에 대한 논란이 있어, 이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고자 토목분야 역시 모든 토목공사의 경력을 인정하고, 주택건설공사 외의 공사종류별 경력의 인정비율을 설비분야와 동일한 수준으로 일원화하였다.

《 주택건설공사 감리업무 세부기준 개정 사항 》

① 유사직종 대체감리원의 범위 명확화

감리원이 3일 이상 현장을 이탈하게 되는 경우, 해당 현장의 동급 이상 동일직종 또는 유사직종 감리원으로 대체할 수 있으나 ‘유사직종’에 대한 해석에 대한 혼선이 있어, 분야별 감리원이 현장 이탈 시 동급 이상의 동일직종 감리원 또는 총괄감리원이 대체하고, 총괄감리원이 현장을 이탈하는 경우에는 건축분야 감리원 중 총괄감리원이 지정하는 자가 대체하도록 기준을 명확하게 하였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이번에 마련된 개정안에 따라 보다 투명하고 건실한 감리가 수행될 뿐만 아니라, 신규감리원·여성감리원 등의 처우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밖에 기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http://www.molit.go.kr)의 법령정보/입법예고·행정예고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의견이 있는 경우 9월 21일까지 우편, 팩스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 의견제출처: 30103 세종특별자치시 도움6로 11 국토교통부 주택건설공급과 (전화: 044-201-3378, 팩스 044-201-5684)

 

[국토교통부 2015-08-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06 엘리베이터, 영유아 손 끼임 사고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7 123
12705 해외 인터넷 사이트 판매 제품 구입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9 123
12704 '15.11월말 국내은행의 대출채권 및 연체율 현황(잠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9 123
12703 내년 6월부터 붙박이장ㆍ드레스룸에 배기ㆍ난방 설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6 123
12702 감전 위험이 있는 Shark 진공청소기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7 123
12701 해외 주요국의 금융사기 피해실태-대응조치 및 시사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2 123
12700 9월부터 대형병원의 일반병상 늘어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0 123
12699 대형마트 안전사고 10건 중 3건은 쇼핑카트 사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30 123
12698 2014년 병원 많이 찾은 이유?...디스크.기관지염 환자 늘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6 123
12697 설 명절 성수식품 합동 감시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2 123
12696 법령상 근거 없는 주민번호 수집 단속 및 처분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6 123
12695 국민이 안심하는 교통안전 확보를 위해 혼란을 야기하는 도로 노면표시 일제 정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2 122
12694 2022년 5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3 122
12693 이젠 인감증명서 대신 집에서 전자본인서명확인서 발급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30 122
12692 신용카드‘부가 서비스(상품)’불이행 피해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0 122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