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상위법령과 다르게 과태료 금액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위법령에 반하는 절차로 주민에게 불편을 주고 행정 처리에 혼란을 야기하는 과태료 관련 자치법규(조례·규칙) 규정 2,730건을 정비할 예정이다.

과태료는 행정질서에 장해를 야기할 우려가 있는 의무위반에 대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일정 금액을 부과하는 대표적인 제재로, 2016년 1,410만 건에 대해 8,100억 원 정도를 징수할 정도로 국민 생활에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제도이다.

과태료는 제재처분이라는 점에서 반드시 법률에 부과 근거가 있어야 하고 법률의 위임이 있는 경우에만 금액 등 필요한 사항을 정할 수 있다. 법령의 구체적인 위임 없이 자치법규에서 임의로 부과 근거나 금액 등을 정할 수 없고, 과태료를 부과하려는 경우 반드시 「질서위반행위규제법」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야만 하는데, 자치법규에서 법령의 위임 없이 자의적으로 과태료 부과금액을 정하거나 「질서위반행위규제법」과 상충되는 내용을 정하는 등 위법한 규정이 많아 이를 정비하려는 것이다.

자치법규에서 과태료 금액을 정한 경우를 검토한 결과, 법령의 위임이 없는데도 자치법규에서 상위법령과 다르게 정한 규정은 총 320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위법령에서 금액을 정하고 있는데 자치법규에서 위임 없이 금액을 훨씬 높여서 규정하거나 상위법령에 없는 이유로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다고 정한 237건의 규정 등을 발굴하였다.

이 밖에도 법령의 위임은 있으나 그 위임 범위를 벗어나게 정한 자치법규 규정은 63건으로, 그 중 41건이 법령에서 정한 한도보다 높게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자치법규 중 「질서위반행위규제법」에서 규정한 내용과 다르게 정하여 주민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통일적인 법적용을 저해하는 규정은 1,866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법률에서 과태료 체납처분 시 100분의 3에 상당하는 가산금을 부과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보다 많은 100분의 5로 정함으로써 과도하게 가산금을 부과하도록 허용한 규정 25건, 법률에서 이의신청 기간을 60일로 규정하고 있음에도 그보다 짧은 30일로 정하여 주민이 과태료 부과에 대해 다툴 수 있는 기회를 제한하는 규정 229건 등을 발굴하였다. 그 밖에 「질서위반행위규제법」에 따라 처리해야 할 사항을 다른 조례나 법령을 우선 적용하도록 하거나 법원에 대한 이의신청 사실 통보기간을 모호하게 규정하는 등 업무처리에 혼란을 유발하는 규정 역시 다수 발굴하였다.

마지막으로, “OO 과태료 부과·징수 조례” 등의 형식으로 규정하고 있는 자치법규 중 상위법령의 위임 없이 과태료 부과 절차를 정한 113건의 자치법규를 발굴하였다. 이러한 자치법규는 상위법이나 「질서위반행위규제법」에 따라야 하는 과태료 관련 사항을 규정하고 있어 별다른 제정 실익이 없을 뿐 아니라, 위법한 자치법규 규정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법체계상 문제 및 행정 현장에서의 혼란을 유발하고 있다.

행안부는 위와 같이 발굴한 총 2,730건의 위법한 자치법규 규정을 정비과제로 선정하여, 법령에서 과태료 금액을 자치법규로 정할 수 있도록 위임한 경우에는 적법하게 개정하도록 하고, 법령의 위임 없이 과태료 절차 및 금액 등을 규정한 정비과제는 위법한 부분을 삭제하도록 하는 한편, 상위법령의 위임 없이 과태료 부과 절차를 정한 113건의 자치법규는 전면 폐지하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상위법령 등의 내용을 그대로 재기재하여 그 자체로 위법하지는 않으나 법체계상 부적절하고 향후 상위법령 개정으로 인해 위법하게 될 가능성이 있는 자치법규에 대해서는 지자체에서 자율적으로 발굴․정비하도록 할 방침이다.

윤종인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분권실장은 “이번 정비는 자치법규 상의 잘못된 과태료 규정을 정비함으로써 위법한 자치법규로 인해 주민의 재산권이 쉽게 침해될 수 없도록 하려는 것”이라고 의미를 평가하면서 “앞으로도 자치법규가 주민의 권리를 부당하게 침해하지 않도록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해소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 2018-05-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00 벌리(Burley), 유아용 자전거 트레일러 안전 개선부품 무상 지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09 193
7099 범정부 소비자종합지원시스템 구축사업 착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2 84
7098 범정부 전세사기 특별단속 기간 연말까지 연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5 16
7097 범정부 차원의 『복지?보조금 부정 신고센터』출범 확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06 435
7096 범죄에 악용될 수 있는 은행사칭 불법스팸을 근절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8 12
7095 범죄피해 외국인을 위한 112 전문 통역 서비스 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3 18
7094 범죄피해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형사소송법 등 8개 법률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7 22
7093 범칙금·과태료 미납자 ‘착한운전 마일리지’가입 못 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5 11
7092 범퍼 긁힘 등 경미한 자동차사고는 복원수리비만 지급토록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1 426
7091 법령상 근거 없는 주민번호 수집 단속 및 처분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6 123
7090 법령상 근거없는 주민번호 수집 허용 자치법규 일제정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6 97
7089 법령에 근거 없이 주민번호 수집하는 자치법규 뿌리 뽑는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2 68
7088 법령정보의 활용, 더 쉽고 편하게 …「법령정보의 관리 및 제공에 관한 법률」제정, 12월 10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01 18
» 법률 위반 과태료 관련 자치법규 정비해 주민편의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15 28
7086 법률검토결과,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 사전협의대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3 83
Board Pagination Prev 1 ...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