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대피소·야영장 예약부도 낼 때 7월 1일부터 이용 제한 정책 실시

▷ 사용 5일전 문자알림서비스…국립공원 시설 예약문화 정착 기대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권경업)은 대피소, 야영장 등의 국립공원 시설을 예약하고 이용하지 않는 사용자에게 1개월에서 최대 3개월간 이용을 제한하는 정책을 7월 1일부터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책은 국립공원 시설의 예약부도를 낮춰 다수의 사용자에게 이용 기회를 늘리기 위해 마련됐다.  

이에 따라 당일 취소자와 1회 예약부도자에게 1개월, 2회 이상 예약부도자에게는 3개월간 국립공원 시설 이용을 일시적으로 제한한다.

다만, 1년 이내에 추가적으로 예약부도 사실이 없을 경우에는 모든 기록이 소멸된다.  

예약부도자 이용제한이 적용되는 시설은 국립공원 대피소 14곳, 야영장 31곳, 태백산 민박촌, 탐방예약제 12개 구간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이번 정책의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5월 14일부터 한달간 예약 사이트(http://www.reservation.knps.or.kr) 등을 통해 관련 정보를 알릴 예정이다.

아울러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시설 사용 5일전 예약내역을 문자로 안내하여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 사전에 취소할 수 있도록 사전 알림 서비스를 실시할 계획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최근 국립공원 대피소 14곳의 예약부도율을 파악한 결과, 지난해 주말 기준으로 평균 약 15%의 예약부도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양폭 26.7%, 중청 19.6%, 소청 19.1% 등 설악산 대피소의 예약부도율이 평균보다 높았다.  

같은 기간 동안 국립공원 야영장 31곳도 평균 약 7%의 예약부도가 발생했다.

가야산 삼정 야영장 18.9%, 치악산 금대에코힐링 야영장 10%, 지리산 내원 야영장 9.2% 등에서 평균 이상의 예약부도가 발생했다.

주말마다 예약이 만석되면서 인기가 높은 월악산 닷돈재풀옵션 캠핑장은 약 2%의 예약부도가 발생했으며, 특히 성수기인 7월에는 5.6% 예약부도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당일 예약 취소 및 부도를 합산하면 지난해 공실률은 대피소 17.6%, 야영장 10.2%로 나타났다. 특히 당일 예약 취소의 경우 시간이 촉박하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가 이용하기가 어려워 고스란히 공실로 남는다.  

강동익 국립공원관리공단 탐방정책부장은 "비록 예약할 때 시설 이용금을 사전에 냈다고 하더라도 취소 사유가 발생할 때는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최소 이틀전에는 예약을 취소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예약 사이트(http://www.reservation.knps.or.kr)를 통해 대기 신청을 받고 있으며, 예약 취소가 발생할 경우 다음 순위 예약자에게 문자로 즉각 알려주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 환경부 2018-05-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08 다양한 교통수단의 검색·예약·결제 서비스를 하나의 앱으로 빠르고 편리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07 99
5707 다양한 공공자원 공유서비스, 이렇게 이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4 14
5706 다양한 가족을 위한 소통,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9 75
5705 다양한 가족에 대한 국민 수용도 높아져(2020년 가족실태조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31 15
5704 다수의 향신료 제품, 금속성 이물(쇳가루) 기준 초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21 19
5703 다수의 계열회사 보유를 가장한 그룹형 유사수신업체에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2 106
5702 다수 의료기관이 백내장 수술 허위청구 등 실손의료보험 사기에 연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7 80
5701 다소비 의료기기 등 허가사항 변경으로 안전관리 강화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7 31
5700 다소비 간편식품, 유통업태 간 최대 49.1% 가격 차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9 39
5699 다소비 가공식품 2020년 5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3 11
5698 다소비 가공식품 2020년 4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7 12
5697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9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8 18
5696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8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5 18
5695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7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2 17
5694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6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9 11
Board Pagination Prev 1 ...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