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바닥분수 등 물놀이형 수경시설의 본격적인 실태점검에 앞서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명회를 5월 10일 대전광역시 동구 대전역 2층 대강당에서 개최한다.  

아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물놀이형 수경시설은 수돗물, 지하수 등을 이용하는 분수, 연못, 폭포, 실개천 등의 인공시설물 중 이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여 물놀이하도록 설치한 시설을 말한다.  

이번 설명회에는 지자체 담당자, 민간 물놀이형 수경시설 담당자, 대한주택관리사협회, 조경시설 업체,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관계자 400여 명이 참석하며, 제도 및 운영관리사례 설명과 제도개선 사항에 대한 질의응답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환경부는 이번 설명회 이후 본격적인 여름 물놀이 철이 오기 전에 물놀이형 수경시설이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관리 요령 등을 안내하여 수질 및 관리 기준이 준수될 수 있도록 지방유역환경청 및 지자체 합동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합동점검은 5월 말부터 6월 말까지 사전 실태점검을 실시하고, 7월부터 두달 동안 집중 점검을 실시한다.
환경부는 시설물 청소상태 등 경미한 사항은 현장 개선을 권고하고 수질기준 초과시설은 즉시 사용을 중지시킬 예정이다.

신고대상 물놀이형 수경시설은 2017년 8월 기준으로 전국에 1,131곳이 있으며, ▲국가·지자체·공공기관에서 설치·운영하는 시설 1,058곳과 ▲공공보건의료 수행기관, 관광지·관광단지, 도시공원, 체육시설, 어린이놀이시설에 설치된 민간시설 73곳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놀이형 수경시설 수질기준 항목은 수소이온농도(pH), 탁도, 대장균, 유리잔류염소 등 4가지다.

물놀이형 수경시설 관리자는 기준에 따라 15일 마다 1회 이상 수질검사를 해야 하며, 운영기간 중 저류조를 주1회 이상 청소하거나 물을 여과기에 1일 1회 이상 통과시키고, 소독제를 저류조 등에 투입하거나 소독시설을 설치해 관리해야 한다.

환경부는 신고대상에 해당되지 않으나 물놀이형 수경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시설에 대해서도 지자체 등과 협조하여, 자발적인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아울러 물놀이형 수경시설 관리제도 안내 책자(리플릿)를 이달 중으로 배포하고 물놀이형 수경시설 이용 준수사항 등도 환경부 누리집(http://www.me.go.kr)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홍보할 예정이다.

물놀이형 수경시설을 이용할 때 시설 내의 물을 마시거나 음식물 및 이물질을 버려서는 안 된다. 또한, 외출용 신발을 신고 이용하거나 애완동물을 함께 들여보내는 행위, 침 뱉기 등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한편, 환경부는 아파트나 대규모 점포에 설치된 바닥분수 등을 물놀이형 수경시설물 신고대상에 포함하기 위해 법령 개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된 '물환경보전법' 개정 국회토론회가 6월 말 개최될 예정이다.

강복규 환경부 물환경정책과장은 "물놀이형 수경시설에 대한 실태점검과 지속적인 제도 홍보로 국민이 안심하고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겠다"라면서, "안전한 물놀이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국민들도 시설 이용 시 아이들에게 물놀이 전용 신발을 신기고 침을 뱉지 않게 하는 등 준수사항을 잘 지켜야 한다"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18-05-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93 향정신성의약품 식욕억제제, 사용 전에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1 2021.01.27
1892 산업시설 화재, 작은 담배꽁초가 가장 큰 원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1.21
1891 코로나19 방역 용도로 손소독제(의약외품)를 사용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1.01.21
1890 건물 주차장 차량 진ㆍ출입로, 시각장애인 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01.20
1889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14-3330로 전화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1.01.20
1888 식품 등에 '불면증 치료.완화 등' 불법 광고행위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21.01.19
1887 고춧대 차(茶), 코로나19 예방.치료 광고에 현혹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1.01.19
1886 "일반의약품 사용설명서 버리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1.01.18
1885 화재 발생하면 피난 유도등 보고 신속히 대피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21.01.14
1884 눈에 넣기 전에 안약인지 다시 한번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1.13
1883 온라인으로 주문하는 '배달회' 안전하게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1.01.11
1882 '불법 스테로이드', 사용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21.01.11
1881 '클로로퀸' 코로나19 치료.예방 효과 입증되지 않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1.01.05
1880 지퍼가 탈락되어 해외에서 리콜된 시마노(SHIMANO) 낚시 조끼 무상수리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01.04
1879 작은 조각으로 파손될 가능성 있어 해외에서 리콜된 Herobility 영·유아용 식기 구입가 환급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21.01.04
1878 종합마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6 2020.12.31
1877 연말연시 강추위 예상, 한랭질환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0.12.30
1876 가구 소비자피해 2건 중 1건은 온라인 구입 제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0.12.24
1875 금융감독원을 사칭하여 추가 신규대출은 금융법위반이라며 자금을 편취하는 보이스피싱 주의 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7 2020.12.24
1874 일부 자외선 살균제품, 살균파장 방출되지 않거나 오존 발생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0.12.23
Board Pagination Prev 1 ...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