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바닥분수 등 물놀이형 수경시설의 본격적인 실태점검에 앞서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명회를 5월 10일 대전광역시 동구 대전역 2층 대강당에서 개최한다.  

아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물놀이형 수경시설은 수돗물, 지하수 등을 이용하는 분수, 연못, 폭포, 실개천 등의 인공시설물 중 이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여 물놀이하도록 설치한 시설을 말한다.  

이번 설명회에는 지자체 담당자, 민간 물놀이형 수경시설 담당자, 대한주택관리사협회, 조경시설 업체,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관계자 400여 명이 참석하며, 제도 및 운영관리사례 설명과 제도개선 사항에 대한 질의응답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환경부는 이번 설명회 이후 본격적인 여름 물놀이 철이 오기 전에 물놀이형 수경시설이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관리 요령 등을 안내하여 수질 및 관리 기준이 준수될 수 있도록 지방유역환경청 및 지자체 합동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합동점검은 5월 말부터 6월 말까지 사전 실태점검을 실시하고, 7월부터 두달 동안 집중 점검을 실시한다.
환경부는 시설물 청소상태 등 경미한 사항은 현장 개선을 권고하고 수질기준 초과시설은 즉시 사용을 중지시킬 예정이다.

신고대상 물놀이형 수경시설은 2017년 8월 기준으로 전국에 1,131곳이 있으며, ▲국가·지자체·공공기관에서 설치·운영하는 시설 1,058곳과 ▲공공보건의료 수행기관, 관광지·관광단지, 도시공원, 체육시설, 어린이놀이시설에 설치된 민간시설 73곳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놀이형 수경시설 수질기준 항목은 수소이온농도(pH), 탁도, 대장균, 유리잔류염소 등 4가지다.

물놀이형 수경시설 관리자는 기준에 따라 15일 마다 1회 이상 수질검사를 해야 하며, 운영기간 중 저류조를 주1회 이상 청소하거나 물을 여과기에 1일 1회 이상 통과시키고, 소독제를 저류조 등에 투입하거나 소독시설을 설치해 관리해야 한다.

환경부는 신고대상에 해당되지 않으나 물놀이형 수경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시설에 대해서도 지자체 등과 협조하여, 자발적인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아울러 물놀이형 수경시설 관리제도 안내 책자(리플릿)를 이달 중으로 배포하고 물놀이형 수경시설 이용 준수사항 등도 환경부 누리집(http://www.me.go.kr)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홍보할 예정이다.

물놀이형 수경시설을 이용할 때 시설 내의 물을 마시거나 음식물 및 이물질을 버려서는 안 된다. 또한, 외출용 신발을 신고 이용하거나 애완동물을 함께 들여보내는 행위, 침 뱉기 등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한편, 환경부는 아파트나 대규모 점포에 설치된 바닥분수 등을 물놀이형 수경시설물 신고대상에 포함하기 위해 법령 개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된 '물환경보전법' 개정 국회토론회가 6월 말 개최될 예정이다.

강복규 환경부 물환경정책과장은 "물놀이형 수경시설에 대한 실태점검과 지속적인 제도 홍보로 국민이 안심하고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겠다"라면서, "안전한 물놀이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국민들도 시설 이용 시 아이들에게 물놀이 전용 신발을 신기고 침을 뱉지 않게 하는 등 준수사항을 잘 지켜야 한다"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18-05-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30 라벨 미표기된(헤이즐넛) 성분 함유되어 알레르기 위험 있는 MAISON COLIBRI 마들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2.08.24
2929 라벨 미표기된(헤즐넛) 성분 함유되어 알레르기 위험 있는 Godiva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2.05.04
2928 라벨 및 경고표시 미흡한 Science4You 향수 만들기 키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08.17
2927 라벨 표기 미성분 함유한 Rocky Mountain Soap Company 손소독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8.23
2926 라벨링 미흡으로 질식 위험 있는 CLEK 신생아 카시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2.03.10
2925 라벨링 미흡으로 질식 위험 있는 CLEK 신생아 카시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22.03.10
2924 라벨에 땅콩 성분 미표기로 위해 위험있는 수플레 판매 중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42 2015.04.23
2923 라벨에 미표기 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NISSIN 커리 누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3.10
2922 라벨에 미표기된 땅콩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Drizzilicious 쌀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3.04.03
2921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땅콩)이 포함된 Brooklyn Bean 캡슐 음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3.04.06
2920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땅콩)이 포함된 Go Max Go 초콜릿 캔디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23.04.05
2919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우유)가 함유된 Funny-frisch 프레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2.19
2918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우유)이 포함된 M & S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9 2023.03.10
2917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ONISIFOODS 레토르트 밥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3.04.05
2916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Skinnydipped 견과류 가공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23.03.10
2915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Skinnydipped 견과류 가공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3.03.10
2914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Tohato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3.03.10
2913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사과 차 및 초콜릿 캔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3.03.16
2912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이 함유된 Boots 유아 종합 비타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3.04.10
2911 라벨에 전성분 표시가 잘못된 Jurlique 에센스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20.07.01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